1844년 4월 16일, 프랑스의 작가 아나톨 프랑스 (Anatole France, 1844 ~ 1924) 출생
아나톨 프랑스 (Anatole France, 1844년 4월 16일 ~ 1924년 10월 12일)는 프랑스의 작가, 소설가, 비평가이다.
본명은 자크아나톨 프랑수아 티보 (Jacques-Anatole-François Thibault)이다.
아나톨 프랑스는 19세기 후반에 활동한 프랑스 작가다.

– 아나톨 프랑스 (Anatole France)
.본명: 자크아나톨 프랑수아 티보 (Jacques-Anatole-François Thibault)
.출생: 1844년 4월 16일, 프랑스 파리
.사망: 1924년 10월 12일, 프랑스 생시르쉬르루아르
.묘소: Neuilly-sur-Seine Old Communal Cemetery
.국적: 프랑스
.직업: 작가, 시인, 소설가, 사서, 문학 평론가, SF 작가, 산문가, 전기 작가, 평론가
.언어: 프랑스어
.학력: Collège Stanislas de Paris
.사조: 자유사상
.수상: 노벨 문학상 (1921), Montyon Prizes (1882), Vitet Prize (1889), Officer of the Legion of Honour (1895), Knight of the Legion of Honour (1884)
.배우자: 발레리 게랭 드 소빌, 에마 라프레보트
.주요 작품: 타이스, 신들은 목마르다
프랑스의 소설가이자 비평가로, 그리스 · 라틴 · 프랑스의 고전을 읽고 철저한 고전주의자가 되었다.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일원이었고, 노벨문학상의 수상자였다.

○ 생애 및 활동
아나톨 프랑스 (Anatole France)은 1844년 4월 16일, 프랑스 파리에서 출생했다.
중학교 졸업 후 《황금 시집》을 발표하였다. 그 후에는 소설과 비평을 썼으며, 아카데미 문학상을 받았다.
소설 《실베스트르 보나르의 죄》, 《타이스》, 《붉은 백합》 등으로 명성을 떨쳤다. 5년 동안 정기적으로 문예 시평을 썼으며, 극평에도 뛰어났다.
1896년 아카데미 프랑세스 회원에 선출되었고, 1910년에는 철학적인 풍자 소설을 썼으며, 제1차 세계대전 후에는 평화주의를 강조하였다.
1921년 노벨 문학상을 받았다.
그는 드레퓌스 사건 당시 에밀 졸라 등과 함께 드레퓌스의 무죄를 주장하며 반유태주의와 반드레퓌스파에 맞서 싸웠다. 훗날 에밀 졸라가 의문의 가스중독 사고로 죽었을 때 그의 장례식에 참석해 〈진실과 정의의 수호자에게 바치는 경의〉라는 명문의 조사를 바쳤다.
드레퓌스의 유죄를 주장하며 끝없이 반유태주의를 퍼뜨리던 로마가톨릭교회는 에밀 졸라의 모든 작품들과 함께 아나톨 프랑스의 모든 작품들을 금서 목록 (Index Librorum Prohibitorum)에 올렸다.
아나톨 프랑스 (Anatole France)는 1924년 10월 12일, 프랑스 생시르쉬르루아르에서 별세했다. 향년 80세

○ 작품
주요 작품으로 『실베스트르 보나르의 죄』(1881), 『타이스』(1890), 『붉은 백합』(1894), 『신들은 목마르다』(1912) 등이 있다.
*Works
-Poetry
“Les Légions de Varus”, poem published in 1867 in the Gazette rimée.
Poèmes dorés (1873)
Les Noces corinthiennes (The Bride of Corinth) (1876)
-Prose fiction
Jocaste et le chat maigre (Jocasta and the Famished Cat) (1879)
Le Crime de Sylvestre Bonnard (The Crime of Sylvestre Bonnard) (1881)
Les Désirs de Jean Servien (The Aspirations of Jean Servien) (1882)
Abeille (Honey-Bee) (1883)
Balthasar (1889)
Thaïs (1890)
L’Étui de nacre (Mother of Pearl) (1892)
La Rôtisserie de la reine Pédauque (At the Sign of the Reine Pédauque) (1892)
Les Opinions de Jérôme Coignard (The Opinions of Jerome Coignard) (1893)
Le Lys rouge (The Red Lily) (1894)
Le Puits de Sainte Claire (The Well of Saint Clare) (1895)
L’Histoire contemporaine (A Chronicle of Our Own Times)
1: L’Orme du mail (The Elm-Tree on the Mall)(1897)
2: Le Mannequin d’osier (The Wicker-Work Woman) (1897)
3: L’Anneau d’améthyste (The Amethyst Ring) (1899)
4: Monsieur Bergeret à Paris (Monsieur Bergeret in Paris) (1901)
Clio (1900)
Histoire comique (A Mummer’s Tale) (1903)
Sur la pierre blanche (The White Stone) (1905)
L’Affaire Crainquebille (1901)
L’Île des Pingouins (Penguin Island) (1908)
Les Contes de Jacques Tournebroche (The Merrie Tales of Jacques Tournebroche) (1908)
Les Sept Femmes de Barbe bleue et autres contes merveilleux (The Seven Wives of Bluebeard and Other Marvelous Tales) (1909)
Les dieux ont soif (The Gods Are Athirst) (1912)
La Révolte des anges (The Revolt of the Angels) (1914)

-Memoirs
Le Livre de mon ami (My Friend’s Book) (1885)
Pierre Nozière (1899)
Le Petit Pierre (Little Pierre) (1918)
La Vie en fleur (The Bloom of Life) (1922)
-Plays
Au petit bonheur (1898)
Crainquebille (1903)
La Comédie de celui qui épousa une femme muette (The Man Who Married A Dumb Wife) (1908)
Le Mannequin d’osier (The Wicker Woman) (1928)
-Historical biography
Vie de Jeanne d’Arc (The Life of Joan of Arc) (1908)
-Literary criticism
Alfred de Vigny (1869)
Le Château de Vaux-le-Vicomte (1888)
Le Génie Latin (The Latin Genius) (1909)
-Social criticism
Le Jardin d’Épicure (The Garden of Epicurus) (1895)
Opinions sociales (1902)
Le Parti noir (1904)
Vers les temps meilleurs (1906)
Sur la voie glorieuse (1915)
Trente ans de vie sociale, in four volumes, (1949, 1953, 1964, 1973)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