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52년 2월 21일, 러시아 (우크라이나)의 작가 니콜라이 고골 (Nikolai Vasilievich Gogol, 1809 ~ 1852) 별세
니콜라이 바실리예비치 고골 (Nikolai Vasilievich Gogol, 러: Николай Васильевич Гоголь, 우: Мико́ла Васи́льович Го́голь, 1809년 3월 20일 ~ 1852년 2월 21일)은 우크라이나의 작가이며 극작가이다.

– 니콜라이 고골 (Nikolai Vasilievich Gogol)
.출생: 1809년 3월 20일, 제정 러시아 폴타바현 Sorochyntsi
.사망: 1852년 2월 21일 (42세), 제정 러시아 모스크바
.국적: 제정 러시아
.직업: 극·소설작가
.언어: 러시아어
.장르: 드라마, 산문
.활동기간: 1840 ~ 1851년
.가족: 아버지 바실 파나소비치 호홀야노우스키, 어머니 마리야 이바니우나 코샤로우스카, 남동생 이반, 여동생 안나, 여동생 올하, 여동생 마리야, 여동생 옐리자베타
.주요작품: 《간스 꾸헬가르쩬》(1829), 《지간까 부근 농가에서의 밤》(1부 1831, 2부 1832), 《미르고로드》(1835), 《아라베스끄》(1835), 《초상화》(1835), 《코》(1836), 《마차》(1836), 《감찰관》(1836), 《죽은 혼》 (1부 1842, 2부 일부 1855), 《외투》, 《결혼》, 《도박사》 (『작품집』에 묶어서 출간 1842), 《‘감찰관’의 이해를 위한 열쇠》(1846), 《친구와의 편지교환선》(1847) 《작가의 고백》(1847), 《종교 전례에 관한 고찰》(1852), 《전작 전집》(총 14권, 1937~1952), 《뻬쩨르부르크 이야기》 등 다수
러시아의 작가로 알렉산드르 푸시킨, 미하일 레르몬토프와 함께 러시아 근대문학의 시작을 알린 문호이자 사실주의 문학의 선구자다.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가지만 출신지는 동부 우크라이나 출신이다. 정확히는 폴란드계와 우크라이나 (거기에 카자크계 조상을 두었다) 계이다.
고골 본인에게 러시아어는 제2 외국어로, 우크라이나어를 모어로, 고골의 원래 성 역시 호홀야노우스키로 폴란드계 느낌이 강하다.

○ 생애 및 활동
1809년 우크라이나에서 소지주의 아들로 태어나 1818년 풀타바 군립 학교를 거쳐 1829년 네진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
젊었을 때 배우를 지망했으나 성공하지 못해 문학으로 전환한 고골은 철학, 문학, 역사에 관심을 두었고 이후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작품을 쓰게 된다.
1827년에 페테르스부르크로 이주하여 우크라이나 인민의 생활을 취재한 소설 《디카니카 근교 농촌 야화》를 출판하여 크게 명성을 얻었으며, 이때부터 푸시킨을 사귀고 이후 그가 남긴 대작의 소재는 거의 대부분 푸시킨으로부터 영감을 받았다.
1834년 페테르스부르크 대학의 조교로서 세계사를 강의했으나 실패하여 곧 퇴직하였다.
1836년 희극 《감찰관》을 알렉산더 극장과 모스크바에서 상연하였다. 이는 진보 세력의 절찬을 받았지만, 지배 세력으로부터는 공격을 받게 되어 그는 로마로 갔다. 그 후 계속하여 스위스·파리·로마 등지에 거주하였다.
1847년에 또 하나의 대표작 《결혼》을 쓰고, 같은 시기에 로마에서 명작 《죽은 혼》의 제1부를 완성했고 제2부의 집필을 시작하며, 1848년에 다시 러시아로 돌아왔을 때는 이미 건강을 해친 뒤였다.
결국 《죽은 혼》을 모스크바에서 완성했으나 자신의 뜻을 전달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정신적 고뇌와 사상적 동요로 인해 정신 착란에 빠져 원고를 불 속에 던지고 10일간의 단식으로 자살하였다.

○ 주요 작품
그는 작품 속에 당시의 러시아의 현실, 특히 지주 사회의 도덕적 퇴폐와 관료 세계의 결함과 부정 등을 예리한 풍자의 필치로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고골의 사실주의 정신이 훗날의 러시아 문학과 연극에 미친 영향은 매우 크다고 하겠다.
《간스 꾸헬가르쩬》(1829)
《지간까 부근 농가에서의 밤》(1부 1831, 2부 1832)
《미르고로드》(1835)
《아라베스끄》(1835)
《초상화》(1835)
《코》(1836)
《마차》(1836)
《감찰관》(1836)
《죽은 혼》 (1부 1842, 2부 일부 1855)
《외투》, 《결혼》, 《도박사》 (『작품집』에 묶어서 출간 1842)
《‘감찰관’의 이해를 위한 열쇠》(1846)
《친구와의 편지교환선》(1847)
《작가의 고백》(1847)
《종교 전례에 관한 고찰》(1852)
《전작 전집》(총 14권, 1937~1952)
《뻬쩨르부르크 이야기》
《네프스키 거리》
《옛 기질의 지주들》
《타라스 부리바》
《광인일기》 등이 있다.

– 시
이탈리아(1829)
간츠 큐헬가르텐(1829)
– 소설
디칸카 근교 마을의 야회(1831~32)
1부
소로친치 정기시장
성 요한제 전야
오월의 밤 또는 물에 빠져 죽은 처녀
잃어버린 편지
2부
성탄절 전야
무서운 복수
이반 표도로비치 시폰카와 그의 이모
저주받은 땅
미르고로드(1835)
구시대의 지주들
타라스 불바(1842년 개정판 발표)
비이
이반 이바노비치와 이반 니키포로비치가 싸운 이야기
아라베스키(1835)
광인일기
초상화(1842년 개정판 발표)
넵스키거리
코(1836)
마차(1836)
죽은 혼(1842)
외투(1842)
로마(1842)
– 희곡
검찰관(1836)
결혼(1842)
도박꾼(1842)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