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2년 3월 24일, 이탈리아의 병리학자 에밀리오 베라티 (Emilio Veratti, 1872 ~ 1967) 출생
에밀리오 베라티 (Emilio Veratti, 1872년 3월 24일, 바레세 ~ 1967년 2월 24일)는 이탈리아 출신의 해부학자이자 병리학자이다. 근소포체를 최초로 발견하였으며 이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공하였다.

– 에밀리오 베라티 (Emilio Veratti)
.출생: 1872년 3월 24일, 이탈리아 바레세
.사망: 1967년 2월 24일
.성별: 남성
.국적: 이탈리아
.학력: 파비아 대학교 의학 박사
.경력: 파비아 일반 병리학 연구소 연구원, 파비아 병원 세균학 실험실 설립, 파비아 대학교 일반 병리학 교수
.직업: 해부학자, 병리학자
.업적: 근형질 세망 발견
에밀리오 베라티는 근소포체 발견을 포함한 주요 연구 업적을 남긴 과학자이다.
그는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으며, 관련 출판물을 발표했다. 그의 연구는 후속 연구에 영향을 미쳤다.
○ 생애 및 활동
에밀리오 베라티는 1872년 3월 24일, 이탈리아 바레세에서 태어났다.
파비아와 볼로냐의 대학에서 의학을 공부했고 1896년에 박사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에는 파비아에 있는 일반 병리학 연구소의 카밀로 골지 (1843 ~ 1926) 밑에서 일하며, 조직학 및 미생물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하며 두각을 나타내었다.
결국 그는 조직학 및 일반 병리학에서 “libero docente”(사강사, privat-docent에 해당)라는 칭호를 얻었다.
1921년, 그는 파비아의 병원에 세균학 실험실을 세웠다. 1930년에는 Aldo Perroncito(1882-1929)의 뒤를 이어 일반 병리학 교수가 되었고, 1942년 은퇴할 때까지 그 직책을 유지했다.
1902년 3월, 그는 최초로 골격근 근세포에 있는 근소포체에 대한 정확한 설명을 제공했다.
그는 광학현미경을 통해 근형질의 그물 모양 구조에 대해 정확히 기술하였다.
그러나 그의 발견은 당시에는 거의 주목을 받지 못했고 세월이 흐르면서 그의 발견은 거의 잊혀졌으나, 1961년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Veratti’s reticulum”이 재발견되었다.
에밀리오 베라티는 1967년 2월 24일에 별세했다.
○ 주요연구서
베라티 E., 1902.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 Mem. R. Ist. Lombardo, Cl. Sc. Mat. Nat., 19: 87-133.
베라티 E., 1961.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 J. Biophys. Biochem. Cytol., 10 (4) Suppl.: 3-59 (이탈리아어 / Ricerche sulla fine struttura della fibra muscolare striatait에서 C. 브루니, H.S. 베넷, D. 드 코벤에 의해 번역).[2]
베라티의 논문 중 영어 등으로 번역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베라티 E., 1961.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 J. Biophys. Biochem. Cytol., 10 (4) Suppl.: 3-59 (리체르케 술라 피네 스트루투라 델라 피브라 무스콜라레 스트리아타 / Ricerche sulla fine struttura della fibra muscolare striatait). C. 브루니, H.S. 베넷, D. 드 코벤에 의해 이탈리아어에서 번역됨.
– 원저 논문
베라티 E., 1902.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 Mem. R. Ist. Lombardo, Cl. Sc. Mat. Nat., 19: 87-133.
베라티 E., 1961.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 J. Biophys. Biochem. Cytol., 10 (4) Suppl.: 3-59 (이탈리아어/Ricerche sulla fine struttura della fibra muscolare striatait에서 C. 브루니, H.S. 베넷, D. 드 코벤에 의해 번역).
– 번역 논문
베라티의 논문 중 영어 등으로 번역된 논문은 다음과 같다.
베라티 E., 1961. “선상 근육 섬유의 미세 구조에 관한 연구”. J. Biophys. Biochem. Cytol., 10 (4) Suppl.: 3-59 (리체르케 술라 피네 스트루투라 델라 피브라 무스콜라레 스트리아타 / Ricerche sulla fine struttura della fibra muscolare striatait). C. 브루니, H.S. 베넷, D. 드 코벤에 의해 이탈리아어에서 번역됨.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