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5년 2월 22일, 프랑스의 화가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 (Jean-Baptiste-Camille Corot, 1796 ~ 1875) 별세
장바티스트카미유 코로 (Jean-Baptiste-Camille Corot, 1796년 7월 17일 ~ 1875년 2월 22일)는 프랑스의 화가이다.

– 장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Jean-Baptiste-Camille Corot)
.출생: 1796년 7월 16일, 파리 rue du Bac
.사망: 1875년 2월 22일, 파리 rue du Faubourg-Poissonnière
.직업: 화가, 사진가, 판화가, 데생화가, 제도사
.부모: 루이스 자크 코롯, Marie Françoise Oberson Corot
.학력: 피에르코르네유 고등학교 (1807 ~ 1812), Académie Suisse
.스승: Achille Etna Michallon, Jean-Victor Bertin
.제자: 베르트 모리조, Charles Le Roux, Victor Vignon, Auguste Anastasi, Louis-Augustin Auguin, Louis Aimé Japy, Marcellin de Groiseilliez, Léopold Desbrosses, Antoine Chintreuil
.사조: 사실주의, 바르비종파
.수상: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 (1846), Officer of the Legion of Honour (1867)
.주요 작품: Nymphs and Fawns
파리의 유복한 포목상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1815년부터 7년동안 포목상의 도제로 있었으며, 평생 독신으로 산 코로가 그림으로 생계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은 50세가 넘어서였고 그때까지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의존했다. 기본적인 교육은 루앙 (College de Rouen)에서 받았는데 이때 장-자크 루소의 영향을 받은 범신론적인 자연 사랑을 키우게 된다. 포목상의 도제로 있을 때 저녁에는 아카데미 스위스에 나가 그림을 배우며 화가로서의 꿈을 키운다. 26세가 되는 1822년에야 부모로부터 그림에 전념할 수 있는 허락을 얻어서 이때부터 전업작가의 길에 들어섰다. 코로에게 영향을 준 스승은 아실 에트나 미샬롱 (Achille Etna Michallon)과 장-빅토르 베르탱 (Jean-Victor Bertin)이며 이들에게 풍경화를 배우며, 이탈리아 여행을 권고 받게된다. 평생 세차례어 걸쳐 이탈리아 여행을 하면서 사실성을 바탕으로한 독자적인 서정적아름다운을 지닌 풍경화를 제작한다. 살롱에 출품한 것은 1827년부터이며, 이후에는 오래도록 계속 출품하지만, 시종 풍경화가로서 그렸다. 작품은 엄정한 데생을 주장하는 측으로부터는 공격을 받으나 그 겸허한 진실에서 코로는 점차 조용한 존경을 모으고 있었다. 삽화도 적지 않다.

○ 생애 및 활동
장 바티스트 카미유 코로 (Jean-Baptiste-Camille Corot, 1796년 7월 17일 ~ 1875년 2월 22일)는 파리의 유복한 가발 제조업자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처음 한동안은 양복점의 점원으로 있었다.
1821년 이름을 알리기 시작하던 동갑내기 풍경화가 아실 에트나 미 샬롱에게 첫 정규 미술 교육을 받았으며 고전주의 방식으로 풍경을 담아내는 미 샬롱에게 큰 영향을 받았다. 하지만 스승인 미 샬롱은 1822년 젊은 나이에 폐렴으로 사망하게 되었다. 이후 코로는 미 샬롱의 스승인 장 빅토르 베르텡의 화실로 옮겨 1825년까지 미술 교육을 받았다.
회화에 마음이 이끌려 다소는 스승을 따라 배우기도 했으나 역시 자연이 그의 스승이었다.
이어 동경하던 이탈리아의 정다운 풍경에 감동했다.
그 이탈리아에서의 제작은 아름다웠으며 그는 모두 세번 이탈리아를 찾았다.
부모님의 지원으로 이탈리아를 여행하게 된 코로는 1825년부터 1828년까지 이탈리아에 머물며 르네상스 시대의 대가들에 대해 공부했다. 또한 많은 시간 이탈리아의 뜨거운 햇빛아래서 그림을 그리며 빛의 변화를 캔버스에 담아내기 위해 노력했다.
살롱에 출품한 것은 1827년부터이며, 이후에는 오래도록 계속 출품하지만, 시종 풍경화가로서 그렸다.
작품은 엄정한 데생을 주장하는 측으로부터는 공격을 받으나 그 겸허한 진실에서 코로는 점차 조용한 존경을 모으고 있었다.
그 생활은 담담하여 화단의 대립에도 관계 없이 자연의 깊이와 벗하는 조용한 생활을 계속하고, 또한 도미에와의 우정 등 아름다운 삽화도 적지 않다.

1827년부터는 살롱전에 자신의 작품을 출품하기 시작했으며, 평생 살롱전에 출품했던 작품이 100점이 넘는다고 한다. 짧고 힘 있는 붓터치로 빠르게 그려내는 그의 풍경화는 많은 인상파 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져 있다.
종종 바르비종에서 그림을 그리며 바르비종의 예술가들과 교류하기도 했다.
꾸준히 작품활동을 하며 살롱전에 출품했지만 비평가들의 평은 그리 좋지 않았다. 가끔 그림이 판매되기도 했지만 그림으로만 생계를 이어갈 수는 없었으며 여전히 부모님의 지원을 받아야 했다. 1840년대 그가 쉰이 다 되어갈 무렵이 되어서야 비평가들에게 호의적인 평가를 받게 되었으며 프랑스 정부로부터 뢰종 드뇌르 훈장을 받았다.
1851년 살롱에 출품한 ‘아침, 님프들의 춤’으로 그의 위상은 높아지게 되었으며, 그의 작품은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가끔은 주문이 너무 밀려 제자들이 그린 작품에 자신의 이름을 서명해 판매하기도 했다고 한다. ‘코로는 3천 점의 그림을 그렸는데 미국에만 10만 점의 코로 작품이 있다’ 는 말이 나올 정도로 생전부터 그의 작품은 복제되고 모사되었다.
부모님의 재산과 자신의 작품을 판 돈까지 어마어마한 부를 가지게 된 코로는 어려운 사람들에게 여러 도움을 주기도 했다. 전쟁이 일어나자 파리의 어려운 사람들을 위해 거금을 기부하였으며 친한 친구인 화가 오노로 도미에가 시력을 잃고 빈털터리가 되자 그를 위해 집을 사주었다. 밀레가 죽고 밀레의 부인이 아이들의 양육비에 허덕이자 10,000 프랑을 그녀에게 주기도 했다.
노년이 되어서도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며 어려운 사람들의 친구가 되었던 코로는 1875년 일흔여덜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작품으로는 《이탈리아의 풍경》도 볼만하지만 또 《두에의 종각 (鐘閣)》(1871)과 그 밖의 것도 미묘한 정적 (靜寂)을 나타내는 외에, 연못가의 온화한 매력에 넘친 《모르트퐁텐의 추억》 등 다수의 작품이 그려졌다.
코로는 생애에 수많은 풍경화를 남기고 있으나, 그 제작은 언제나 겸양하면서도, 다른 어떤 제작에도 못지 않는 높은 인식으로 풍경화를 드높였다.
더구나 만년엔 즐겨 인물을 그리고 있는데, 만년의 인물은 더욱더 맑아져 조용한 감동을 주는《푸른 옷을 입은 여인》(1874) 외에 《진주의 여인》(1868 ~ 1870)의 모나리자와 같은 포즈는 그 품격과 묘사의 적확 (的確)으로 19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코로의 풍경에는 시와 진실이 이상하리만큼 조용히 용해되어 있다.
코로는 빌 다브리에도 집을 가지고 있어 못가를 되풀이하여 그렸는데 코로의 화필에 그 수목은 현실과 꿈의 아름다움을 융합시킨 듯하다.
코로는 겸허하고 타인에 대한 따뜻한 인품 때문에 그 생애는 회화에만 전념하는 진실로 평화로운 것이어서 인생의 풍파도 이 사람을 피하고 있는 것 같다.

○ 평가
위대한 많은 예술가들이 그의 영향을 받았으며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의 풍경화 대부분은 그의 영향안에 있다고도 본다. 따듯한 마음만큼이나 따듯하고 서정적인 그의 작품은 현재까지도 여전히 우리를 위로해 주고 있다.
○ 작품
작품으로는 《이탈리아의 풍경》도 볼만하지만 또 《두에의 종각 (鐘閣)》(1871)과 그 밖의 것도 미묘한 정적 (靜寂)을 나타내는 외에, 연못가의 온화한 매력에 넘친 《모르트퐁텐의 추억》 등 다수의 작품이 그려졌다. 코로는 생애에 수많은 풍경화를 남기고 있으나, 그 제작은 언제나 겸양하면서도, 다른 어떤 제작에도 못지 않는 높은 인식으로 풍경화를 드높였다. 더구나 만년엔 즐겨 인물을 그리고 있는데, 만년의 인물은 더욱더 맑아져 조용한 감동을 주는 《푸른 옷을 입은 여인》(1874) 외에 《진주의 여인》(1868 ~ 1870)의 모나리자와 같은 포즈는 그 품격과 묘사의 적확(的確)으로 19세기를 대표하는 작품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코로의 풍경에는 시와 진실이 이상하리만큼 조용히 용해되어 있다. 코로는 빌 다브리에도 집을 가지고 있어 못가를 되풀이하여 그렸는데 코로의 화필에 그 수목은 현실과 꿈의 아름다움을 융합시킨 듯하다. 코로는 겸허하고 타인에 대한 따뜻한 인품 때문에 그 생애는 회화에만 전념하는 진실로 평화로운 것이어서 인생의 풍파도 이 사람을 피하고 있는 것 같다.

– Works
The Bridge at Narni (1826), Musée du Louvre
Venise, La Piazetta (1835), Musée du Louvre
Le Baptême du Christ (1845–1847), Paris, Eglise Saint-Nicolas-du-Chardonnet
Une Matinée, la Danse des Nymphes (1850), Musée d’Orsay
Le concert champêtre (1857), Musée Condé, Chantilly
Macbeth and the Witches (1859), Wallace Collection
Baigneuses au Bord d’un Lac (1861), private collection
Orpheus Leading Eurydice from the Underworld (1861), The Museum of Fine Arts, Houston
Meadow by the Swamp, National Museum of Serbia
Vist of Castel Sant’Angelo, National Museum of Decorative Arts, Buenos Aires
Souvenir de Mortefontaine (1864), Musée du Louvre
L’Arbre brisé (1865)
Ville d’Avray (1867), National Gallery of Art
A Woman Reading (1869),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Nymphes et Faunes (before 1870), Birmingham Museum of Art, Alabama
L’Albanese (1872)
Pastorale—Souvenir d’Italie (1873), Glasgow Art Gallery
Biblis (1875)
Stream with a White Horse, Toledo Museum of Art
Landscape (unknown), Bass-Dwyer Collection

– Gallery
The Bridge of Narni
1825, Paper monted on canvas, 34 X 48 cm, Musée du Louvre, Paris
Self-Portrait
c. 1825, Paper mounted on canvas, 32 x 24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Coliseum Seen from the Farnese Gardens
1826, Paper mounted on canvas, 30 x 49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Forum Seen from the Farnese Gardens
1826, Paper mounted on canvas, 28 x 50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Cathedral of Chartres
1830, Oil on canvas, 64 x 51 cm
Musée du Louvre, Paris
Volterra, the Citadel
1834, Oil on canvas, 47 x 82 cm
Musée du Louvre, Paris
Landscape near Riva on Lake Garda
1835, Oil on canvas, 99 x 142 cm
Neue Pinakothek, Munich
Young Woman (Madame Legois)
1838, Oil on canvas, 53 x 40 cm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Poetry
Oil on canvas, 55 x 46 cm, Wallraf-Richartz-Museum, Cologne
Peasants under the Trees at Dawn
1840-45, Oil on canvas, 28 x 40 cm
National Gallery, London
The Reader Wreathed with Flowers (Virgil’s Muse)
1845, Oil on canvas, 47 x 34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Vale
1855-60, Oil on wood, 35 x 53 cm
Musée du Louvre, Paris
Morning at Beauvais
c. 1860, Oil on canvas, 36 x 42 cm
Museum of Fine Arts, Boston
In a Park
c. 1862, Oil on canvas, 47 x 48 cm
National Museum, Belgrade
Souvenir of Mortefontaine
1864, Oil on canvas, 65 x 89 cm
Musée du Louvre, Paris
Goat-herds
1866, Oil on canvas, 60 x 78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Solitude. Recollection of Vigen, Limousin
1866, Oil on canvas, 95 x 130 cm
Museo Thyssen-Bornemisza, Madrid
Peasant Woman Pasturing a Cow by the Edge of a Forest
1865-70, Oil on canvas, 48 x 35 cm
The Hermitage, St. Petersburg
The Church of Marissel, near Beauvais
1866, Oil on canvas, 55 x 42 cm
Musée du Louvre, Paris
Young Woman in Pink Dress
1860-65, Oil on wood, 45 x 32 cm
Musée d’Orsay, Paris
Agostina
1866, Oil on canvas, 132 x 98 cm
National Gallery of Art, Washington
Ville-d’Avray
1860s, Oil on canvas, 55 x 80c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The Artist’s Studio
1865-70, Oil on canvas, 56 x 46 cm
Musée d’Orsay, Paris
The Bridge at Mantes
1868-70, Oil on canvas, 38 x 55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Woman with the Pearl
1868-70, Oil on canvas, 70 x 55 cm
Musée du Louvre, Paris
Vall�da
1868-70, Oil on wood, 83 x 55 cm
Musée du Louvre, Paris
The Bridge at Mantes
1868-70, Oil on canvas, 46 x 60 cm
Museu Calouste Gulbenkian, Lisbon
Hayd�e, Young Woman in Greek Dress
1870-72, Oil on canvas, 60 x 44 cm
Musée du Louvre, Paris
Promenade in the Parc des Lions at Port-Marly
1872, Oil on canvas, 78 x 65 cm
Museo Thyssen-Bornemisza, Madrid
The Tanneries of Mantes
1873, Oil on canvas, 61 x 43 cm
Musée du Louvre, Paris
Corot’s Studio
c. 1873, Oil on canvas, 63 x 42 cm
Musée du Louvre, Paris
Lady in Blue
1874, Oil on canvas, 80 x 50 cm
Musée du Louvre, Paris
Mill at Saint-Nicolas-les-Arras
1874, Oil on canvas, 65 x 81 cm
Musée d’Orsay, Paris
Camille Corot – A Woman Reading
1869/1870, Metropolitan Museum of Art
La Trinité-des-Monts, seen from the Villa Medici
1825–1828, oil on canvas. Paris: Musée du Louvre.
The Bridge at Narni, 1826, oil on paper. Paris: Musée du Louvre.
A product of one of the artist’s youthful sojourns to Italy, and in Kenneth Clark’s words “as free as the most vigorous Constable”.
View of the Forest of Fontainebleau (1830)
Plaque on the home of Camille Corot where he died 22 February 1875 at: 56, rue du Faubourg-Poissionnière, Paris, 10th arr.
St Sebastian Succoured by Holy Women
1851-1873, oil on canvas, The Walters Art Museum
Ville d’Avray
ca. 1867, oil on canvas. Washington, D.C.: National Gallery of Art.
Bornova, İzmir, 1873
The Little Bird Nesters, 1873-1874
Monk Reading Book, 1850-1855
Agostina, die Italienerin, 1866
Deutsch: Frau mit Margeriten , 1868-1870
A Girl Reading
Greek Girl
Young Girl Reading, c1868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