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9년 2월 22일, 덴마크의 화학자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 (Johannes Nicolaus Brønsted, 1879 ~ 1947) 출생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 (Johannes Nicolaus Brønsted, 1879년 2월 22일 ~ 1947년 12월 17일)는 덴마크의 화학자이다.

–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 (Johannes Nicolaus Brønsted)
.출생: 1879년 2월 22일, 바르데
.사망: 1947년 12월 17일
.성별: 남성
.국적: 덴마크
.학력: 코펜하겐 대학 졸업
.경력: 덴마크 의원 (당선, 취임 전 사망)
.직업: 화학자
덴마크의 화학자로 토마스 마틴 로리와 브뢴스테드-로리 산염기를 정의하였다.
○ 생애 및 활동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는 1879년 2월 22일 덴마크 바르데에서 출생해 코펜하겐 대학을 졸업했다.
1923년 아레니우스의 산·염기 개념을 넓혀 새로운 산·염기의 이론을 발표했다.
브뢴스테드의 산·염기 이론은 영국의 토머스 마틴 로리가 내놓은 이론과 같았기 때문에, 브뢴스테드-로리의 산·염기라고도 한다.
제2차 세계대전당시 나치즘에 반대하여 1947년 덴마크 의원에 당선되었으나, 병으로 취임하지 못하고 1947년 12월 17일 별세했다.

–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론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론 (Brønsted–Lowry acid–base theory)은 1923년 덴마크의 화학자 요하네스 니콜라우스 브뢴스테드와 영국의 화학자 토머스 마틴 라우리가 독자적으로 발표한 산염기 이론이다.
- 내용
브뢴스테드-로우리 모형은 양성자 (H+)를 기준으로 산과 염기를 정의하였다. 이에 따르면 산은 양성자 주개이고, 염기는 양성자 받개이다.
- 특성
.발전
아레니우스 산염기의 경우 염기를 수산화 이온만으로 정의함으로서 제한적이었는데, 이를 넘어서는 큰 범주의 규정을 만들었다. 예로 브뢴스테드-로우리 산염기 이전의 아레니우스 산염기에 포함되지 않았던 기체 염화 수소와 암모니아의 반응 역시 산과 염기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단점
그러나 이온화 되기 위한 양성자가 존재하지 않는 산 (브뢴스테드-로우리 산)과 염기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 부분에 관해 루이스 산 염기를 통해 설명한다.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