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0년 3월 31일, 폴란드의 작곡가 · 바이올리니스트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Henryk Wieniawski, 1835 ~ 1880) 별세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Henryk Wieniawski, 1835년 7월 10일 ~ 1880년 3월 31일)는 폴란드의 작곡가이자 바이올리니스트이다.

– 헨리크 비에니아프스키 (Henryk Wieniawski)
.출생: 1835년 7월 10일, 폴란드 루블린
.사망: 1880년 3월 31일, 러시아 모스크바
.배우자: 이사벨라 햄튼 (1860년–1880년)
.자녀: Poldowski
.부모: 레지나 니 울프, 타데우시 비에니아프스키
.형제자매: 요제프 비에니아프스키
동시대의 파블로 데 사라사테 (Pablo de Sarasate, 1844 ~ 1908)와 같이 19세기의 악단을 장식한 바이올린의 명수이다.
니콜로 파가니니가 1840년 죽고나서 요아힘 (Joseph Joachim), 앙리 비외탕 (Henry Vieuxtemps) 등과 같이 바이올린 기교의 절정을 다했다.

○ 생애 및 활동
비에니아프스키는 러시아가 지배하고 있었던 당시, 루블린주 루블린 시에서 태어났으며, 어렸을 때부터 음악에 대한 재능을 나타냈다.
그는 1847년에 《Grand Caprice Fantastique》 작품번호 1을 출판했다. 총 24개 작품이 출판되었다.
비에니아프스키는 이사벨라 햄프턴과 약혼했지만, 이를 이사벨라의 부모가 반대하자 《Légende》 작품번호 17을 썼고, 그것으로 부모의 마음을 돌려놓아 1860년 결혼했다.
1860년 안톤 루빈슈타인의 초청으로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1872년까지 살았다. 그곳에 있는 Russian Musical Society에서 그는 바이올린을 가르치면서 오케스트라와 현악 사중주 활동을 했다.
1872년부터 1874년까지 비에니아프스키는 안톤 루빈슈타인과 함께 미국을 여행했다.
1875년에는 브뤼셀에 있는 콘소바토리에서 앙리 비외탕의 후임으로 바이올린 교수를 지냈다.
몇 해 동안 건강이 악화되어 콘서트를 몇 년간 가지지 못했다.
1879년 4월 오데사에서 마지막 콘서트를 갖고 이듬해에 사망했다.
비에니아프스키는 천재적인 바이올리니스트로 여겨지고 있다.
두 개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포함해서 그의 작품은 어려운 기교를 가지고 있어 바이올린 레퍼토리로서 많이 연주되고 있다. 그는 사후에 얻은 명성이 많다.
1952년과 1957년, 폴란드 우편 직인에는 그의 얼굴이 도안되었다.
1979년 주화된 100 즈워티 동전에는 그의 얼굴이 있다. 체코브카 강에 있는 한 도시에는 비에니아프스카라는 이름이 붙었다.
흔히 ‘Russian bow grip’이라고 불리는 기법은 ‘Wieniawski bow grip’이 더 올바른 이름이다.
이는 비에니아프스키가 그의 학생들에게 악마의 트릴을 연주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지도했던 기법이기 때문이다.
비에니아프스키는 콘서트 순회 중 모스크바에서 숨졌다. 그의 시신은 바르샤바의 포와즈키 묘지에 안장되어 있다.
첫회의 비에니아프스키 바이올린 콩쿨이 1935년 바르샤바에서 열렸고, 1952년부터 5년마다 국제 콩쿨이 열리고 있다.

○ 기타
2017년 11월 우리나라 바이올리니스트 김봄소리가 워너 클래식 레이블에서 바르샤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함께 비에니아프스키의 바이올린 협주곡 2번과 쇼스타코비치의 바이올린 협주곡 1번을 녹음하여 발매하였다.
1935년에는 그의 탄생 100주년을 맞아 지금도 바이올리니스트의 등용문으로 알려진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콩쿠르가 창설됐다. 1957년 비에니아프스키 국제 바이올린 제작 콩쿠르가 창설됐다.
○ 작품
전설
바이올린 협주곡 1번 올림바단조
바이올린 협주곡 2번 라단조

- Compositions
– Published works, with opus numbers
Grand caprice fantastique, Op. 1
Allegro de Sonate, Op. 2
Souvenir de Posen, Op. 3
Polonaise de Concert No. 1, Op. 4 (sometimes known as Polonaise brillante)
Adagio élégiaque, Op. 5
Souvenir de Moscow, 2 Russian Romances, Op. 6 (in this work he quoted Alexander Egorovich Varlamov’s song The Red Sarafan)
Capriccio-Valse, Op. 7
Grand duo polonaise, for violin and piano, Op. 8
Romance sans paroles et rondo elegant, Op. 9
L’École moderne, 10 Études-Caprices, for violin solo, Op. 10
Le Carnaval Russe, Improvisations and Variations, Op. 11
2 Mazurkas de Salon: Sielanka et Piesn Polska (Chanson polonaise), Op. 12
Fantasie pastorale, Op. 13 (Lost)
Concerto No. 1 in F♯ minor, Op. 14
Thème original varié, Op. 15
Scherzo-Tarantelle, Op. 16
Légende, Op. 17
8 Études-Caprices, for 2 violins, Op. 18
2 Mazurkas caractéristiques: Obertass et Dudziarz (Le Ménétrier), Op. 19 (NB.: no 2 is known as both “The Bagpipe Player” [ABRSM Vln Gr VIII Syllabus] and “The Village Fiddler” [Naxos Records])
Fantaisie brillante sur Faust de Gounod, Op. 20
Polonaise brillante, Op. 21
Concerto No. 2 in D minor, Op. 22
Gigue in E minor, Op. 23
Fantasie orientale, Op. 24

– Unpublished works, and works without opus numbers
Wariacje na Temat Własnego Mazurka (c. 1847)
Aria with Variations in E major (before 1848)
Fantasia and Variations in E major (1848)
Nocturne for solo violin (1848)
Romance (c. 1848)
Rondo Alla Polacca in E minor (1848)
Duo Concertant on themes from Donizetti’s Lucia di Lammermoor (c. 1850)
Duo Concertant na Temat Hymnu Rosyjskiego A. Lwowa (c. 1850)
Duo Concertant na Temat Rosyjskiej Melodii Ludowej (c. 1850)
Fantasia on themes from Meyerbeer’s Le prophète (oc. 1850)
Mazur Wiejski (c. 1850)
Fantasia on themes from Grétry’s Richard Coeur-de-lion (c. 1851)
Duet on themes from Finnish songs (c. 1851)
Two Mazurkas (1851)
March (1851)
Kujawiak in A minor (1853)
Variations on the Russian hymn (c. 1851)
Variations on Polish folk song “Jechał Kozak Zza Dunaju” (c. 1851)
Variations on the Austrian Hymn (1853)
Rozumiem, pieśń na głos z fortepianem (1854)
Souvenir de Lublin, concert polka (c. 1855)
Fantasia on themes from Bellini’s La sonnambula (c. 1855)
Reminiscences of San Francisco (c. 1874)
Kujawiak in C major
Polonaise triomphale
Rêverie in F sharp minor, for viola and piano
Violin Concerto No. 3 in A minor? (1878, unpublished, disappeared? Premiered in Moscow, 27 December 1878)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