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1년 3월 23일, 러시아의 작곡가•지휘자•피아니스트 니콜라이 루빈시테인 (Nikolai Rubinstein, 1835 ~ 1881) 별세
니콜라이 그리고리예비치 루빈시테인 (Nikolai Rubinstein, 러: Никола́й Григо́рьевич Рубинште́йн, 1835년 6월 2일 ~ 1881년 3월 23일)은 러시아의 작곡가, 지휘자, 피아니스트이다.
안톤 루빈시테인의 동생이다.

– 니콜라이 루빈시테인 (Nikolai Rubinstein)
.본명: 니콜라이 그리고리예비치 루빈시테인 (Nikolai Rubinstein)
.출생: 1835년 6월 2일, 러시아 모스크바
.사망: 1881년 3월 23일, 프랑스 파리
.부모: 그리고리 로마노비치 루빈스타인
.형제자매: 안톤 루빈시테인
.학력: 모스크바 국립 대학교
.설립 조직: 모스크바 음악원
루빈시테인은 어려서는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고, 후에는 알렉산드르의 제자가 되었다.
피아노의 신동으로 알려졌다.
작곡가로서 그는 독일 낭만파의 수법에 의하였으며, 관학파라 하여 국민악파로부터 비난을 받았으나, 러시아 음악 가운데 아카데믹한 수법을 주입한 점은 그의 피아노 연주자·지휘자로서의 활동과 함께 큰 공적이다.
1862년 페테르부르크에 음악 학교를 세웠으며, 후에 이 음악 학교에서 많은 유명한 작곡가들이 배출되었는데,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도 그 중 하나이다.
가극, 교향곡, 피아노 곡 등 많은 작품이 있는데, 특히 〈가극〉, 〈바벨 탑〉, 〈악마〉, 〈네로〉와 합주곡 〈실락원〉 등이 유명하다.

○ 생애 및 활동
니콜라이 루빈시테인 (Nikolai Rubinstein, 1835 ~ 1881)은 1835년 6월 2일,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출생했다.
베를린에서 테오도어 쿨라크(Theodor Kullak)와 지크프리드 덴 (Siegfried Den)으로부터 피아노와 작곡을 배웠고,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형의 스승이었던 A.빌루앵 (A. Villoin) 밑에서 음악공부를 했다.
1866년 모스크바 음악원을 개설하고 초대 원장을 지냈으며 형 안톤의 제자 차이콥스키를 음악원의 교수로 초빙했다.
차이콥스키는 자신의 첫 번째 피아노 협주곡을 니콜라이에게 헌정하기로 생각하고 헌정사를 쓴 초고를 가지고 니콜라이를 찾아갔다.
차이콥스키는 자신의 첫 피아노 협주곡의 완성도에 만족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에게 좋은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지만 니콜라이는 피아니스트가 아닌 차이콥스키가 자신에게 의논도 없이 곡을 쓴 것을 언짢게 생각했다.
그는 차이콥스키의 협주곡을 혹평하고 이런 곡은 제대로 칠 수 없기 때문에 대대적인 개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차이콥스키는 니콜라이를 존경하고 있었지만 그의 처사에 분노를 느껴 그에게 쓴 헌정사를 찢어버리고 독일의 피아니스트 겸 지휘자인 한스 폰 뷜로에게 헌정했다.
뷜로는 1875년 10월 25일 미국에서 이 협주곡을 보스턴 교향악단과의 초연하여 성공을 거두었다.
3년 뒤 니콜라이는 차이콥스키에게 사과했고 자신의 연주회에서 피아노 협주곡 1번을 자주 연주하여 두 사람의 관계는 회복되었다. 차이콥스키는 이후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니콜라이에게 헌정했다.
차이콥스키는 니콜라이를 위해 7곡을 헌정했다.
Symphony No. 1 in G minor (“Winter Daydreams”), Op. 13 (1866–68)
Scherzo à la russe, for piano, Op. 1, No. 1 (1867)
Serenade for Nikolay Rubinstein’s Name-Day, TH 43 (1872)
So What? — No. 5 of the Six Romances, Op. 16 (1872)
Piano Concerto No. 2 in G major, Op. 44 (1879–80)
Piano Trio in A minor (“In memory of a great artist”), Op. 50 (1881–82) — dedicated posthumously.
1878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국제박람회의 러시아콘서트에 참가했다.
니콜라이는 1881년 3월 23일 프랑스 파리에서 결핵으로 사망했다.
차이콥스키는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피아노 3중주 가단조를 썼다.

○ Correspondence with Tchaikovsky
19 letters from Tchaikovsky to Nikolay Rubinstein have survived, dating from 1870 to 1880, of which those highlighted in bold have been translated into English on this website:
Letter 193 – 18/30 May 1870, from Saint Petersburg
Letter 281 – 1872, from Moscow (addressed jointly to Rubinstein and Karl Albrecht)
Letter 318 – early/mid October 1873, from Moscow
Letter 617 – 11/23 October 1877, from Clarens
Letter 623 – 20 October/1 November 1877, from Clarens
Letter 630 – 27 October/8 November 1877, from Clarens
Letter 642 – 9/21 November 1877, from Rome
Letter 652 – 21 November/3 December 1877, from Vienna
Letter 658 – 22 November/4 December or 23 November/5 December 1877, from Vienna
Letter 675 – 4/16 December 1877, from Venice

Letter 699 – 21 December 1877/2 January 1878, from San Remo
Letter 702 – 23 December 1877/4 January 1878, from San Remo
Letter 713 – 1/13 January 1878, from San Remo
Letter 727 – 14/26 January 1878, from San Remo
Letter 745 – 30 January/11 February 1878, from San Remo
Letter 814 – 18/30 April 1878, from Kamenka
Letter 951 – 26 October/7 November 1878, from Saint Petersburg
Letter 1329 – 8/20 November 1879, from Saint Petersburg
Letter 1495 – 13/25 May 1880, from Kamenka
4 letters from Nikolay Rubinstein to Tchaikovsky, dating from 1877 to 1881, are preserved in the Klin House-Museum Archive.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