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6년 2월 19일, 프랑스의 시인 앙드레 브르통 (André Breton, 1896 ~ 1966) 출생
앙드레 브르통 (André Breton, 1896년 2월 19일 ~ 1966년 9월 28일)은 20세기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프랑스의 시인이자 미술 이론가이다.

– 앙드레 브르통 (André Breton)
.출생: 1896년 2월, 프랑스 땅슈브헤-보꺄쥬 땅슈브헤
.사망: 1966년 9월 28일, 프랑스 파리
.배우자: 엘리사 브레튼 (1945 ~ 1966년), 자클린 람바 (1934 ~ 1943년)
.예술 사조: 초현실주의, 다다이즘
.영향을 준 인물: 트리스탕 차라, 지그문트 프로이트, 기욤 아폴리네르, 조르조 데 키리코 등
.영향을 받은 사람: 폴 엘뤼아르, 루이 아라공, 르네 마그리트, 호안 미로, 로베르토 마타, 기 드보르 등
1920년대 초현실주의 예술 운동의 창립자 가운데 한명으로 “사람들은 동료를 찾기 위해 출판한다!”라고 주장했다.

○ 생애 및 활동
앙드레 브르통 (Andre Breton)은 초현실주의를 주창한 프랑스 시인, 작가, 평론가, 편집자, 화상(畵商)이기도 하다.
- 생애
앙드레 브르통 (Andre Breton)은 1896년 2월 19일 노르망디 지방의 탱슈브레에서 태어났으며, 열네 살 때부터 시를 쓰기 시작했다.
파리 대학교 의과대학에 진학하여 1차 세계대전 기간에는 신경정신과 군의관으로 복무했다.
프로이트, 상징주의, 다다이즘에 영향을 받았으며, 1919년 루이 아라공 및 필리프 수포와 함께 《리테라튀르》를 창간하고 수포와 함께 쓴 최초의 자동기술 (오토마티슴) 시 「자장 (磁場)」(1920)을 발표했다.
1923년 ‘초현실주의 그룹’을 결성하고, 1924년 「초현실주의 선언」을 발표했으며, 1929년 『나자』를 출간했다.
그 밖에 중요한 작품으로 시집 『땅의 빛』, 산문 작품 『연통관 (連通管)』, 꿈과 현실의 관계를 탐구한 『무모한 사랑』 등이 있으며, 『길 잃은 발걸음』, 『정당방위』, 『초현실주의와 그림』, 『초현실주의란 무엇인가?』, 『들판으로 가는 열쇠』 등 많은 이론서와 평론을 썼다.
1930년에 발표한 두 번째 「초현실주의 선언」은 초현실주의의 철학적 의미를 탐구했다.
공산당과 결별했지만 마르크스주의의 이상에는 여전히 매료되었던 브르통은 1938년 멕시코에서 레온 트로츠키와 함께 「독자적 혁명 예술을 위하여」를 작성하고 “예술의 완벽한 독립”을 선언했다.
2차 세계대전 동안 프랑스가 독일에 점령당했을 때 비시 정권이 브르통의 글을 금지하자 미국으로 망명하여, 1942년 세 번째 「초현실주의 선언」을 발표했다. 1946년 다시 프랑스로 돌아왔으며, 1966년 9월 28일 세상을 떠났다.
- 활동
제1차 세계대전 때 군의관으로 소집되어, 프로이트의 정신분석법을 치료에 도입하여 큰 시사를 얻는다. 처음에는 말라르메류의 시를 썼으나 현실을 일변케 하는 ‘검은 유머’의 실행자 자크 바세와 만난다든지 아폴리네르와의 교우와 다다이즘 운동에 자극되어 수포와 공저 (共著)한 <자장 (磁場)> (1919)에는 무의미하고 비논리적인 언어와 영상에 넘치는 자동필기의 최초의 범례를 보였고 이어서 <쉬르레알리즘 선언> (1924)과 <쉬르레알리즘 혁명>지 (誌)를 간행하여 뛰어난 시인과 화가를 모아 그 지도적 위치에 섰다.
그의 의도는 유머와 일상 속에 숨은 시적 경이의 발견, 꿈의 기술, 광기의 모방, 우연적 오브제의 진열, 떨어진 두 이미지의 비교 등의 수단으로써 예술뿐만이 아니라 ‘인생과 세계를 변혁하는’ 것이었다. 또한 ‘내적 경험에 대하여는 어떠한 외적 제약도 받지 않는다’는 선은 양보하지 않아 아라공 등과 인연을 끊고 <제2선언> (1930)에는 ‘생과 사, 현실과 초현실이 일치하는 지고점 (至高點)’의 획득을 목표로 하여 나갔다. 1937년부터 해외로 여행하여 멕시코에서 트로츠키와 친교를 맺고 대전 중에 미국으로 망명하여 신비적인 에로스를 칭송한 <광기의 사랑> (1937)과 <비법 (秘法)17> (1943)을 냈으며, 소설 <나쟈> (1928)도 광기의 여성을 둘러싸고 이야기하는 사람이 파리에서 마주치는 시적 우연과 ‘경련적인 미 (美)’가 넘친 대표작이다. 전후에도 기관지 발행과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정력적인 활약을 계속하였다.
○ 초현실주의 (Surréalisme)
초현실주의 (Surréalisme)라는 말을 처음으로 쓴 이는 프랑스의 문인 기욤 아폴리네르 (Guillaume Apollinaire)였다. 그러나 이 용어에 보다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의미를 부여한 이는 한때 프로이트 (Sigmund Freud)의 무의식 이론에 몰두했던 의학도 출신의 시인이자 비평가 앙드레 브르통 (André Breton)이었다. 그가 1924년에 발표한 『초현실주의 선언 (Manifeste du surréalisme)』에서 사전적으로 정의한 ‘초현실주의’는 다음과 같다.
초현실주의. 남성명사. 순수한 심리적 자동기술 (automatisme)로서, 이를 통해 말로든 글로든, 그 외 어떤 방식으로든, 사유의 실제 작용을 표현하는 것. 이성에 의한 모든 통제가 부재하는, 미학적이고 도덕적인 모든 선입견에서 벗어난, 사유의 받아쓰기.
이성의 간섭 없이, 논리에 지배되지 않고 드러나는 ‘절대적 현실성’, 브르통에게 있어 ‘초현실 (surréalité)’이란 바로 그런 것이었다.

- 앙드레 브르통과 초현실주의, 그리고 미술의 관계
사실상 초현실주의는 문학운동으로 출발했다. 1922년 무렵 루이 아라공 (Louis Aragon)과 함께 다다이즘 (Dadaism)에 동조해 활동할 당시에도, 그로부터 분리되어 1924년 이른바 초현실주의를 공식적으로 출범시킨 이후에도 브르통이 주요 멤버로 꼽는 이들은 시인과 같은 문학가 일색이었다. 그러나 위의 초현실주의에 대한 정의를 보면 그가 언어 이외에 다른 표현 방식에 대한 가능성 또한 열어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언문 가운데 ‘이미지’에 관한 지속적인 언급이 아마도 여기에 해당할 것이다.
특히 브르통이 초현실주의 시인 피에르 르베르디 (Pierre Reverdy)가 말한 “이미지는 정신의 순수한 창조물이다. … 병치된 두 현실의 관계가 멀고도 정확할수록, 이미지는 보다 강력해질 것이며- 정서적으로 더 강한 힘과 시적 현실성을 얻게 될 것이다”라는 문장을 인용한 점은 되짚어볼 만하다. 브르통은 이러한 시적인 이미지의 효과를 그가 경험한 몇몇 화가들의 그림, 즉 시각적인 이미지에서도 발견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를테면 피카소 (Pablo Picasso)나 조르조 데 키리코 (Giorgio de Chirico), 막스 에른스트 (Max Ernst), 만 레이 (Man Ray), 앙드레 마송 (André Masson), 장 아르프 (Jean Arp), 후앙 미로 (Joan Miro), 이브 탕기 (Yves Tanguy) 등이 그가 지지한 화가들이었다.
- 자동기술법, 우아한 시체놀이에서 데페이즈망까지
시적이든 시각적이든, 초현실주의 이미지를 얻기 위해 브르통 이하 그룹의 멤버들이 택한 방법은 ‘오토마티즘, 즉 자동기술법 (automatisme)’이었다. 이는 브르통이 1차 세계대전 중 근무했던 병원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터득한 기법으로, 노이로제 환자들이 뱉어내는 독백과 같은 의식의 자유로운 흐름을 가능한 빠르게 받아 적는 방식이었다. 그 실험적인 예로 브르통은 필리프 수포 (philippe soupault)와 함께 1919년에 쓰고 1년 후 출간한 『자기장 (Les champs magnétiques)』이라는 최초의 자동기술 창작물을 만들어낼 수 있었다.
이름도 희한한 ‘우아한 시체 (cadavre exquis)’ 놀이는 자동기술의 한 방법으로, 종이 위에 글을 적거나 그림을 그리고 접어서 다음 사람에게 넘기면 앞의 글 또는 그림을 보지 못한 채 계속해서 이어 나가는 놀이였다. 화가들 역시 이처럼 의식의 검열 없이 이미지를 창출할 수 있는 기법을 고안해 냈는데, 콜라주 (collage), 프로타주 (frottage), 데칼코마니 (décalcomanie) 등이 이에 속한다. 에른스트로 대표되는 초현실주의 콜라주의 경우, 여전히 회화적 재현 체계 안에 머물러 있는 입체파 콜라주와는 달리, 전혀 다른 곳에서 가져온 이질적인 이미지들을 병치시킴으로써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생경한 효과를 자아냈다. 그리고 그것이 추구하는 궁극의 목표는 초현실을 창출하는 것이었다.
익숙한 일상의 이미지를 뚝 떼어내어 엉뚱한 곳에 가져다 놓고 낯설게 만드는 것, 이른바 데페이즈망 (dépaysement)은 르네 마그리트 (René Magritte)와 같은 화가들이 즐겨 사용한 기법이었다. 마그리트는 처음부터 자동기술법과는 전혀 다른 세밀한 재현에 기초한 초현실주의 이미지를 만들어 냈는데, 브르통은 이와 같은 ‘전적으로 의도적인’ 마그리트의 회화를 초현실주의 이미지의 다른 한 축으로 설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마그리트는 이미지와 대상물, 그리고 언어의 관계 체계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하며 초현실주의 이미지의 범주를 넘어 보다 철학적이고 인식론적인 문제에 접근한 화가이기도 했다.
- 초현실주의 미술과 미학
초현실주의가 문학운동에 훨씬 큰 비중을 두고 출발했으며 그룹 내에서 초현실주의 미술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데 진통을 겪어온 것은 사실이었다.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자동기술과 같은 기법이 문학에서만큼 미술에서도 작동할 수 있는지가 관건이었다. 그러나 이 논란은 브르통이1928년에 『초현실주의와 미술 (Le Surréalisme et la peinture)』을 출간하면서 어느 정도 일단락되는 양상을 보였다. 문제는 의식의 개입을 최소화하면서, 즉 무의식과 상응하면서 현실과 마주하는, 그 속에 묻혀 있던 예기치 않은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것이었다. 브르통의 표현대로라면 이는 ‘경이 (le merveilleux)’의 아름다움이다.
1919년에 수포와 함께 브르통이 최초의 초현실주의 작품을 만들어낸 이후 1930년대 들어서면서 초현실주의는 절정을 맞이했다. 1936년에 런던에서 열린 국제 초현실주의 전시 (London International Surrealist Exhibition)를 비롯해 마르셀 뒤샹 (Marcel Duchamp)이 전시 디자인에 합류해 파리에서 개최된 1938년의 초현실주의 국제 전람회 (Exposition Internationale du Surréalisme) 등은 대중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물론 초현실주의 멤버들의 개별적, 혹은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긴장이 고조되면서 이미 그룹은 분열되고 있었다. 마침내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고 브르통을 비롯한 대부분이 망명을 택해 초현실주의는 막을 내린다. 이후 이들의 영향은 미국의 추상표현주의와 팝아트 등에 전해져 그 바탕을 이루게된다다. _ 네이버캐스트 (이민수)

○ 저작
- 저작 목록
.시집, 중단편
1919『몽 드 피에테 (공영 전당포)』
1920『자기장』
1923『대지의 빛』
1924『동동걸음』, 『녹는 물고기』
1928『나자』(1963년에 복간)
1929『예수회의 보배』(루이 아라공 공저)
1930『작업을 늦추다』(르네 샤르, 폴 엘뤼아르 공저), 『무렴수태』(폴 엘뤼아르 공저)
1931『자유 결합』
1932『백발의 리볼버』, 『연통관』
1934『물의 노래』, 『해 돋음』
1936『검은 세탁선에서』
1937『별이 빛나는 성』, 『미친 사랑』
1940『파타 모르가나』
1942『상승하는 표식』
1943『큰 여백』
1944~1947 『비법 17』
1946『산토끼가 어찌할 수 없는 버찌나무』
1948『마르티니크, 뱀 부리는 여인』, 『시계 속의 램프』
1949『신명들의 시선 아래서』
1953『들판의 열쇠』
1954『고별은 기뻐하지 않을지니』
1959『별자리』(후안 미로 공저)
1961『르 라』
.에세이
1924『초현실주의 선언』(1929년에 『투시자 여인들에게 보내는 편지』 추가)
1926『정당방위』
1928『초현실주의와 회화』(1965년에 결정판)
1929『선언의 재판에 붙이는 서문』
1930『초현실주의 제2선언』
1932『시의 빈곤』
1934『초현실주의란 무엇인가』
1935『오브제의 초현실주의적 상황』, 『초현실주의의 정치적 입장』
1936『시에 대한 노트』
1938『꿈의 궤도』, 『초현실주의 축약 사전』
1940『흑색 유머 선집』(1950년에 증보판)
1942『초현실주의 제3선언 여부에 붙이는 전언』(『초현실주의 선언』, 『초현실주의 제2선언』 개정판 수록)
1945『양차대전 간 초현실주의의 상황』
1946『제2선언의 재판에 붙이는 머리글』,
1947『이브 탕기』, 『샤를 푸리에에게 바치는 오드』
1949『현행범죄』
1952『파리노와의 대담』
1954『제 흘수부의 초현실주의에 대해』
1957『마법』(제라르 르그랑 공저, 1992년, 2003년에 복간)
.서한집
『오브에게 보내는 편지 (1938 ~ 1966)』, 갈리마르, 2010, 174p. (딸 「오브」에게 보낸 편지 모음)

- Works
1919: Mont de Piété – [Literally: Pawn Shop]
1920: S’il Vous Plaît – Published in English as: If You Please
1920: Les Champs magnétiques (with Philippe Soupault) – Published in English as: The Magnetic Fields
1923: Clair de terre – Published in English as: Earthlight
1924: Les Pas perdus – Published in English as: The Lost Steps
1924: Manifeste du surréalisme – Published in English as: Surrealist Manifesto
1924: Poisson soluble – [Literally: Soluble Fish]
1924: Un Cadavre – [Literally: A Corpse]
1926: Légitime défense – [Literally: Legitimate Defense]
1928: Le Surréalisme et la peinture – Published in English as: Surrealism and Painting
1928: Nadja – Published in English as: Nadja
1930: Ralentir travaux (with René Char and Paul Éluard) – [Literally: Slow Down, Men at Work]
1930: Deuxième Manifeste du surréalisme – Published in English as: The Second Manifesto of Surrealism
1930: L’Immaculée Conception (with Paul Éluard) – Published in English as: Immaculate Conception
1931: L’Union libre – [Literally: Free Union]
1932: Misère de la poésie – [Literally: Poetry’s Misery]
1932: Le Revolver à cheveux blancs – [Literally: The White-Haired Revolver]
1932: Les Vases communicants – Published in English as: Communicating Vessels
1933: Le Message automatique – Published in English as: The Automatic Message
1934: Qu’est-ce que le Surréalisme? – Published in English as: What Is Surrealism?
1934: Point du Jour – Published in English as: Break of Day
1934: L’Air de l’eau – [Literally: The Air of the Water]
1935: Position politique du surréalisme – [Literally: Political Position of Surrealism]
1936: Au Lavoir noir – [Literally: At the black Washtub]
1936: Notes sur la poésie (with Paul Éluard) – [Literally: Notes on Poetry]
1937: Le Château étoilé – [Literally: The Starry Castle]
1937: L’Amour fou – Published in English as: Mad Love
1938: Trajectoire du rêve – [Literally: Trajectory of Dream]
1938: Dictionnaire abrégé du surréalisme (with Paul Éluard) – [Literally: Abridged Dictionary of Surrealism]
1938: Pour un art révolutionnaire indépendant (with Diego Rivera) – [Literally: For an Independent Revolutionary Art]
1940: Anthologie de l’humour noir – Published in English as: Anthology of Black Humor
1941: “Fata Morgana” – [A long poem included in subsequent anthologies]
1943: Pleine Marge – [Literally: Full Margin]
1944: Arcane 17 – Published in English as: Arcanum 17
1945: Le Surréalisme et la peinture – Published in English as: Surrealism and Painting
1945: Situation du surréalisme entre les deux guerres – [Literally: Situation of Surrealism between the two wars]
1946: Yves Tanguy
1946: Les Manifestes du surréalisme – Published in English as: Manifestoes of Surrealism
1946: Young Cherry Trees Secured against Hares – Jeunes cerisiers garantis contre les lièvres [Bilingual edition of poems translated by Edouard Roditi]
1947: Ode à Charles Fourier – Published in English as: Ode To Charles Fourier
1948: Martinique, charmeuse de serpents – Published in English as: Martinique: Snake Charmer
1948: La Lampe dans l’horloge – [Literally: The Lamp in the Clock]
1948: Poèmes 1919–48 – [Literally: Poems 1919–48]
1949: Flagrant délit – [Literally: Red-handed]
1952 Entretiens – – Published in English as: Conversations: The Autobiography of Surrealism
1953: La Clé des Champs – Published in English as: Free Rein
1954: Farouche à quatre feuilles (with Lise Deharme, Julien Gracq, Jean Tardieu) – [Literally: Four-Leaf Feral]
1955: Les Vases communicants [Expanded edition] – Published in English as: Communicating Vessels
1955: Les Manifestes du surréalisme [Expanded edition] – Published in English as: Manifestoes of Surrealism
1957: L’Art magique – Published in English as: Magical Art
1959: Constellations (with Joan Miró) – Published in English as: Constellations
1961: Le la – [Literally: The A]
1962: Les Manifestes du surréalisme [Expanded edition] – Published in English as: Manifestoes of Surrealism
1963: Nadja [Expanded edition] – Published in English as: Nadja
1965: Le Surréalisme et la peinture [Expanded edition] – Published in English as: Surrealism and Painting
1966: Anthologie de l’humour noir [Expanded edition] – Published in English as: Anthology of Black Humor
1966: Clair de terre – (Anthology of poems 1919–1936). Published in English as: Earthlight
1968: Signe ascendant – (Anthology of poems 1935–1961). [Literally: Ascendant Sign]
1970: Perspective cavalière – [Literally: Cavalier Perspective]
1988: Breton : Oeuvres complètes, tome 1 – [Literally: Breton: The Complete Works, tome 1]
1992: Breton : Oeuvres complètes, tome 2 – [Literally: Breton: The Complete Works, tome 2]
1999: Breton : Oeuvres complètes, tome 3 – [Literally: Breton: The Complete Works, tome 3]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