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1년 2월 2일, 리투아니아의 바이올리니스트 야샤 하이페츠 (Jascha Heifetz, 1901 ~ 1987) 출생
야샤 하이페츠 (Jascha Heifetz, 1901년 2월 2일 ~ 1987년 12월 10일)는 리투아니아 태생의 유대계 바이올린 명인이다.
그는 20세기 저명한 바이올린 연주자 가운데 한 사람이며, 모든 시대 통틀어 위대한 바이올린 주자로 손꼽힌다.
– 야샤 하이페츠 (Jascha Heifetz)
.출생: 1901년 2월 2일, 리투아니아 빌뉴스
.사망: 1987년 12월 10일,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 시다스-시나이 메디컬 센터
.국적: 러시아 제국 (1901~1922), 소련 (1922~1925), 미국 (1925~1987)
.직업: 바이올리니스트
.부모: 안나 헤이페츠, 레우벤 헤이페츠
.형제자매: 엘자 헤이페츠 베흐만, 폴린 헤이페츠
.배우자: 플로렌스 비더 (1928년 ~ 1946년, 이혼), 프란시스 스피겔버그 (1947년 ~ 1963년, 이혼)
.자녀: 로버트 헤이페츠, 요제파 헤이페츠
.학력: 서던캘리포니아 대학교,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
“역사적으로 절대 완벽한 연주자는 아직 없었다. 그래도 완벽에 가까운 사람이라면 하이페츠가 유일한 예다.” ― 칼 플레슈
“누군가가 하이페츠를 차가운 사람이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아마도 그의 정교한 손놀림 때문일 것이고, 또 누군가가 하이페츠를 가리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지 않는 차가운 사람이라고 한다면 그것은 하이페츠가 언제나 음악에 대해 객관적인 자세를 유지하는 본능과 같은 분석력이 있기 때문에 나온 말일 것이다. 그래도 또 누군가가 그를 차가운 사람이라고 말한다면, 나는 “그렇다, 그는 차가운 사람이다” 라고 말해줄 것이다. 왜냐하면 나는 그처럼 자신의 감정을 탁월하게 조절하는 음악가를 본적이 없기 때문이다.” ― RCA 찰스 오코널
미국의 바이올리니스트.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들 중 한 명으로 꼽힌다.
○ 생애 및 활동
- 유년 시절
하이페츠는 당시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리투아니아 빌뉴스에서 유대인의 후손으로 태어났다.
그가 태어난 연도를 놓고 논란이 있는데, 혹자는 1,2년 더 일찍 잡아 1899년이나 1900년에 하이페츠가 태어났다고도 한다.
어머니가 그를 더욱 비범하게 보이게끔 아들의 나이를 2년 더 어리다고 말했을 공산은 있다. 아버지 레우벤 하이페츠 (Reuven Heifetz)는 바이올린 교사였으며, 빌뉴스 극장 관현악단에서 극장 문닫기 한 시즌 동안 악장을 맡았었다.
야샤는 3살 때 바이올린을 처음으로 잡았으며, 아버지가 그의 첫 교사였다.
그는 5살 때 레오폴트 아우어 (Leopold Auer)의 제자였던 일리야 D. 말킨에게서 배웠다.
야사 하이페츠는 신동으로 7살때 코브노 (오늘날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에서 펠릭스 멘델스존의 바이올린 협주곡 E단조를 연주하여 데뷔하였다.
1910년 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음악원에 들어가 레오폴트 아우어 밑에서 수학하였다.
하이페츠는 독일과 스칸디나비아에서 연주하였는데, 베를린의 한 가정집에서 여러 유명한 바이올린 주자와 더불어 프리츠 크라이슬러를 처음으로 만났다. 멘델스존의 협주곡을 연주하며 12살의 하이페츠에 피아노로 반주했던 크라이슬러는 “우린 무릎으로 우리 악기를 부러뜨려야겠습니다”라고 말한 바 있다.
하이페츠는 10대 시절에 유럽 각지를 방문하였다.
1911년 4월, 하이페츠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야외 음악회에서 25,000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주를 하였는데, 선풍적인 반응을 얻어 연주회가 끝나고는 경찰이 이 어린 연주자를 보호해줘야 할 지경이었다.
1914년 하이페츠는 아르투로 니키쉬가 지휘하는 베를린 필하모닉과 협연하였다. 지휘자는 무척 감명을 받아 그렇게 훌륭한 바이올린 주자의 음악은 들어보지 못했노라고 말하기도 하였다.
- 출세
1917년 10월 27일 하이페츠는 처음으로 미국 카네기 홀에서 연주하였으며, 이내 대단한 인기를 얻었다.
하이페츠는 음악인 단체 피 무 알파 신포니아 (Phi Mu Alpha Sinfonia)의 명예 회원으로 임명되었다.
16살때 그는 그동안 이 단체에 입회한 회원 가운데 가장 어린 사람이었을 것이다.
하이페츠는 미국에 남아 1925년 미국 시민권을 얻었다.
- 기교와 음색
하이페츠는 20세기의 위대한 바이올린 연주자로 손꼽힌다. 하이페츠는 완전무결한 기교와 음색을 보였지만, 아직 여러 연주자들은 그렇게 여기지 않았다. 그러나 시간이 흐를수록 완벽에 가까운 그의 기교와 보수적인 자세 때문에 일부 비평가들은 그의 연주가 너무 기계적이며 차갑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버질 톰슨은 하이페츠의 연주 방식을 “비단 속옷 같은 음악”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칭찬하려는 뜻이 아니었다. 그렇지만 이와 다른 여러 비평가들은 그가 음악가의 의도에 대한 경외심과 그 느낌을 자신의 연주에 주입하고 있다고 본다. 하이페츠의 연주 방식은 현대의 여러 바이올린 주자가 이 악기에 접근하는 방식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연주는 빠른 비브라토, 감정이 실린 포르타멘토, 빠른 박자, 뛰어난 운궁이 결합되어 하이페츠만의 독특한 소리를 만들어낸다.
풍부한 음색과 인상적인 포르타멘토로 유명한 바이올린 주자 이작 펄만은 하이페츠의 음색을 이르러 그 강렬한 감정 때문에 “토네이도”같다고 말하였다.
하이페츠는 악기 현을 고를 때도 특별하였다. 연주 인생 내내 그는 G현은 은을 감은 트리코어 거트현으로, D와 A현은 일반 거트현으로, E현은 골드브로캇 (Goldbrokat) 강철현을 쓰고 송진을 많이 쓰지 않았다. 하이페츠는 각각의 음을 내는 데 거트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 초기 음반
하이페츠는 1910~1911년 당시 레오폴트 아우어의 제자로 있던 러시아에서 처음으로 음반을 녹음하였다. 이 음반이 있었다는 사실은 그가 죽기 전에는 널리 알려지지 않았는데, 이후 몇몇 곡 (프란츠 슈베르트의 ‘꿀벌 L’Abeille’이 특히 유명하였다) 음악 잡지 스트라드 (The Strad)의 부록으로 LP판이 출시되기도 하였다.
1917년 11월 7일 카네기홀에서 데뷔한 직후 하이페츠는 빅터 토킹 머신 회사 (Victor Talking Machine Company)에서 첫 음반을 녹음하였으며, 그는 이후 이 회사의 후신인 RCA 레코드와 주로 녹음하였다. 1930년대에 몇 년 동안 하이페츠는 영국의 HMV사와 주로 녹음하였는데, RCA사가 대공황 당시 고전 음악 음반 제작을 삭감했기 때문이다. 이 음반은 미국에서 RCA사에서 출시되었다. 하이페츠는 실내악도 즐겨 연주하였다. 여러 비평가들은 그의 예술성이 동료 연주자를 압도하는 경향이 있어 실내악에서 크게 성공하지 못했다고 비판하였다. 그가 실내악에 참여한 예로는 1941년에 첼로 주자 에마누엘 페이어만과 피아노 주자 아르투르 루빈스타인과 함께 녹음한 베토벤과 슈베르트, 브람스의 피아노 3중주곡이다. 나중에는 루빈스타인과 첼로 주자 그레고리 피아티고르스키와 모리스 라벨, 차이콥스키, 펠릭스 멘델스존의 곡도 녹음하였다. 이들의 연주는 “백만달러짜리 3중주” (Million Dollar Trio)로 불리기도 하였다.
그는 1940년 아르투로 토스카니니가 지휘하는 NBC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베토벤의 바이올린 협주곡을 녹음하였으며, 1955년에는 샤를 뮌히 (Charles Munch)가 지휘하는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였다.
1944년 4월 9일에 다시 토스카니니와 NBC 심포니와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을 협연한 실황도 음반으로 출시되었다.
하이페츠는 에리히 볼프강 코른골트의 바이올린 협주곡도 연주하고 녹음하였는데, 당시 코른골트가 워너 브러더스에 영화 음악을 써주자 당시 고전음악가들은 그의 음악이 ‘진지’하지 못하다고 여겼다.
- 전쟁
하이페츠는 여러 곡을 헌정받았는데, 가장 유명한 예는 윌리엄 월튼 경의 바이올린 협주곡이다.
그는 루마니아인 집시 그리고라쉬 디니쿠 (Grigora? Dinicu)의 호라 스타카토 (Hora Staccato) 등 여러 곡을 편곡하기도 하였다.
하이페츠는 피아노를 연주하거나 피아노곡도 썼는데, 제2차 세계대전 중 유럽에서 그는 연합군 병영에서 재즈를 연주하기도 하였는데, 그가 작곡한 피아노곡 “When You Make Love to Me (Don’t Make Believe)”으로 “짐 홀리” (Jim Hoyle)라는 별명을 얻었다.
- 데카 녹음
1944년에서 1946년에 미국 음악인 협회 (American Federation of Musicians)의 녹음 금지 조치 (이 조치는 1942년에 사실상 시작되었다)로 하이페츠는 미국 데카 레코드사에서 음반을 냈다.
처음에 그는 짧은 곡을 녹음하였는데, 그 가운데는 조지 거슈윈과 스티븐 포스터의 곡을 자신이 편곡한 것도 있었으며, 이는 자신의 연주회에서 앙코르곡으로 연주하기도 하는 곡이었다. 피아노 반주는 이마누엘 베이(Emanuel Bay)나 밀튼 케이(Milton Kaye)가 맡았다.
- 후반기와 별세
1947부터 20달의 휴가를 가졌다. 1954년, Brooks Smith가 반주자가 되었고, 1958-59 – UCLA 의 “Regents’ Professor”가 되었다. 1961년,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 교수가 되고, 같은해 LA에서 하이페츠&피아티고르스키 공연 시리즈를 시작해, 나중에는 샌프란시스코와 뉴욕까지 확대되었다. 1972년, LA 음악센터에서 마지막 공연을 가졌고, 이는 동시에 마지막 레코딩이 되었다. 은퇴 후 어깨에 문제가 생겨 수술을 했으며 그 후에 다시는 바이올린을 우리가 아는 하이페츠 특유의 그 자세로 들지 못했다고 한다. 그래도 사망하기까지 노년에는 지역이나 방문하는 음악가들과 실내 음악을 즐겼으며, 서던캘리포니아 대학이 계약을 끝냈으나, 사적으로는 사사를 계속했다.
주요 제자로 Rudolf Koelman, Pierre Amoyal, Eric Friedmann , Simon Young Kim (한국명 : 김영근) 등이 있다.
낙상과 그 후유증으로 인해 1987년 12월 10일, LA Cedars-Sinai Medical Center에서 사망하였다.
○ 성향 및 평가
20세기 최고의 바이올리니스트를 꼽을 때 가장 자주 언급되는 연주자 중 한 명이다. 음악의 정점에 선 연주자들은 객관적 실력이 아닌 스타일에 따라 분류하는 것이 맞지만, 그래도 20세기 최고의 연주자를 뽑으라면 바이올린은 하이페츠를 꼽는 사람들이 많다. 동시대의 바이올리니스트 중 후대까지 비슷한 유명세를 떨친 것은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정도이다. 탁월한 기교로 유명하였으며, 연주 테크닉으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실제로 시벨리우스 바이올린 협주곡 등 전문 연주자들도 기교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레퍼토리에서도 초인적인 기교로 물 흐르듯 매끄럽게 연주하는 모습을 보인다.
기교 외에 완벽주의적 성향 및 서정성으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브루흐나 시벨리우스 바이얼린 협주곡이 유명하다.
기본기 중에서도 스케일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작 펄만은 14세에 하이페츠를 만났는데, 이 때도 하이페츠는 펄만에게 스케일을 연주해보라고 주문했다.
연주시에는 템포를 빠르게 잡은 경우가 많다. 기교의 우월함을 강조하려기보다 그저 하이페츠의 템포에 대한 감각이 일반인보다 빨랐던 것 같다. 일례로 멘델스존 바이올린 협주곡의 경우 1악장에서 넉넉히 13분 정도의 연주 시간이 나오는데, 하이페츠의 레코딩은 11분을 끊었다. 베토벤의 “크로이처” 소나타에서도 빠른 템포 설정으로 극적인 효과를 증폭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 이유로 기교적인 니콜로 파가니니의 작품들은 연주를 꺼렸다. 파가니니 작품을 연주하게 되면 하이페츠가 자신의 기교를 더 이상 과시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이라는 추측이 있다. 그래도 24개의 카프리스 중 13, 20, 24번을 녹음했고, 무궁동 역시 녹음했다.
그 중 24번의 연주는 약간의 편곡, 휘날리는 왼손 피치카토 등 상상을 초월하는 연주를 보여주었다.
그의 연주 스타일을 엿볼 수 있는 연주 중 하나는 하이페츠와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그레고르 퍄티고르스키가 결성한 “백만불짜리 트리오”이다. 정작 당사자들은 그 명칭을 싫어했다고 한다.
전성기에는 현대 음악에도 관심이 많아 여러 작곡가들에게 작품을 위촉하고 초연했다.
○ Notable instruments
Dolphin 1714 Stradivarius
Heifetz-Piel 1731 Stradivarius
Antonio Stradivari 1734
Carlo Tononi 1736
Giovanni Battista Guadagnini, Piacenza 1741
ex-David 1742 Guarneri
○ Discography
Jascha Heifetz was a prolific recording artist. All of his recordings have been reissued on compact disc.[full citation needed]
J.S. Bach Chaconne DVD
Mendelssohn Octet In E-flat Major
Mozart Concerto In D Major
Mozart Symphonie Concertante In E-flat Major
Stravinsky Suite Italienne
Toch “Divertimento, Op. 37, No. 2”
Turina “Trio, Op. 35, No. 1”
Vieuxtemps Concerto No. 5
Bach Concerto In A Minor
Bach “Sonata No. 1, Partita No. 2”
Bach “Sonata No. 2, Partita No. 3”
Bach “Sonata, No. 3, Partita No. 1”
Beethoven Concerto In D Major
Beethoven “Archduke Trio In B-flat Major, Op. 97, No. 7”
Beethoven “Sonata In A Minor, No. 4”
Beethoven Kreutzer Sonata
Beethoven “Sonata No. 8, Sonata No. 10”
Beethoven “Trios In G, Op. 9, No. 1”
Beethoven “Trio In E-flat Major, Op. 3”
Beethoven Violin Concerto In D
Beethoven “Trio In D, Op. 9, No. 2”
Beethoven “Piano Trio, Op. 1, No. 1 “
Bloch Poème Mystique
Bloch Sonata
Brahms Concerto For Violin And Cello
Brahms Piano Quartet In C Minor
Brahms “Quintette In G, Op. 111 “
Brahms Trio No. 1 In B Major
Brahms “Concerto In D, Op. 77”
Brahms Violin Concerto
Brahms 3 Hungarian Dances
Brahms Concerto, Chausson – Poème, Bruch – Scottish Fantasy
Bruch Scottish Fantasy
Bruch “Concerto In G Minor, Op. 26, No. 1”
Bruch Concerto No. 2
Castelnuovo -Tedesco ? Concerto No. 2
Chausson Poème Op. 25
Dohnányi Serenade In C
Dvořák “Piano Trio In F Minor, Op. 65”
Dvořák Piano Quintet In A
Dvořák Piano Quintet No. 2
Ferguson Sonata No. 1
Françaix String Trio
Franck Sonata In A
Franck Piano Quintet In F Minor
Gershwin Porgy And Bess; Music Of France
Glazounov Violin Concerto
Glière “Duo For Violin And Cello, Op. 39”
Handel Halvorsen Passacaglia For Violin And Cello
J.S. Bach Concerto In D Minor
Khachaturian “Sonata, Op. 1”
Korngold “Violin Concerto In D, Op. 35”
Mendelssohn “Trio In C Minor, No. 2”
Mendelssohn “Trio No. 1 In D Minor, Op. 49 “
Mendelssohn Concerto In E Minor
Mendelssohn Concerto In E Minor
Mendelssohn “String Octet in E-flat Major, Op. 20”
Mozart Quintet In C Minor
Mozart “Divertimento In E=flat Major, K. 563”
Mozart “Concerto In A, No. 5, K. 219 “
Mozart “Divertimento In E-flat, Duo In B-flat, No. 2”
Mozart “Sonata No. 10, K378, No. 15, K454”
Mozart “Symphonie In E-flat, K. 364”
Mozart “Violin Concerto, No. 5, K. 219”
Mozart “Quintet In C, K. 515”
Paganini 3 Caprices
Prokofieff “Concerto In G Minor, No. 2”
Respighi Sonata In D Minor
Rózsa Concerto
Saint-Saëns “Sonata In D, No. 1”
Schubert Fantaisie
Schubert “Trio No. 1, In B, Op. 49”
Schubert Quintet In C Major
Sibelius Violin Concerto
Spohr Double String Quartet
Tchaikovsky Violin Concerto In D, Op. 35
Tchaikovsky Violin Concerto, Sinding – Suite
Tschaikowsky Violin Concerto
Tschaikowsky Sérénade Mélancolique
Vivaldi Concerto For Violin And Cello In B-flat;
Walton Concerto For Violin
Arensky Trio In D Minor
Bach Concerto In E Major
Beethoven “Sonata In C Minor, No. 7”
Beethoven “Romances, No. 1 and 2”
Beethoven “Trios In C Minor, Op. 9, No. 3”
Beethoven “Spring Sonata In F, Op. 24, No. 5”
Beethoven “Piano Trio In E-flat, Op. 70, No. 2”
Brahms Concerto In A Minor
Bruch Concerto In G Minor
Castelnuovo-Tedesco “The Lark, Fauré – Sonata, Op. 13”
Grieg Sonata In G
Haydn Divertimento, Rózsa – Tema Con Variazioni
Lalo “Symphonie Espagnole, Op. 21”
Martin Duo For Violin And Cello
Schubert Sonatina in G minor
Schubert “Trio In B-flat, No. 2”
Strauss Sonata In E-flat
Tchaikovsky “Trio In A Minor, Op. 50”
Beethoven “Sonata No. 3, Sonata No. 6”
Bach Three Sinfonia;
Bach Concerto For Two Violins
Beethoven Sonata No. 7
Beethoven Sonata Nos. 1 &2
Benjamin Romantic Fantasy
Benjamin Romantic Fantasy
Boccherini Sonata In D
Brahms Sextet In G Major
Bruch Scottish Fantasy
Chausson Concerto For Violin
Conus Concerto In E Minor
Debussy “Sonata In G Minor, No. 3”
Dvořák “Piano Trio, Dumky”
Grieg “Sonata No. 3, Brahms – Sonata No. 1
Wieniawski, Tchaikovsky, Rameau, J.S.Bach, Padilla, Sarasate”
Handel Halvorsen – Passacaglia
Handel Sonata In E Major
Mozart “Sonata In C, No. 8, K. 296”
Mozart “Concerto In D, No. 1, K. 218”
Prokofieff Concerto In G Minor
Ravel Trio In A Minor
Ravel Tzigane
Saint-Saëns “Sonata In D Minor, Op. 75, No. 1”
Schubert Sonata In G Minor
Spohr Concerto No. 8
Strauss Sonata In E-flat
Toch Vivace molto
Vieuxtemps “Concerto In A Minor, Op. 37, No. 5”
Vitali Chaconne
Wieniawski Concerto No. 2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