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2월 2일, 유대인 러시아계 미국인 소설가•극작가•영화 각본가 아인 랜드 (Ayn Rand, 1905 ~ 1982) 본명 ‘알리사 로젠바움’ (Alisa Zinovyevna Rosenbaum) 출생
아인 랜드 (Ayn Rand, 본명: Alisa Zinovyevna Rosenbaum, 러: Али́са Зино́вьевна Розенба́ум, 1905년 2월 2일 ~ 1982년 3월 6일)는 유대인 러시아계 미국인 소설가, 극작가, 영화 각본가다. 베스트셀러 소설 《파운틴헤드》와 《아틀라스: 지구를 떠받치기를 거부한 신》과 객관주의라는 철학적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으로 가장 잘알려졌다.
– 아인 랜드 (Ayn Rand)
.본명: Alisa Zinovyevna Rosenbaum
.출생: 1905년 2월 2일, 러시아 상트 페테르부르크
.사망: 1982년 3월 6일, 미국 뉴욕 뉴욕
.배우자: 프랭크 오코너 (1929 ~ 1979년)
.영향을 준 인물: 프리드리히 니체, 아리스토텔레스, 이마누엘 칸트, 애덤 스미스, 루트비히 폰 미제스 등
.수상 후보 선정: 내셔널 북 어워드 픽션 부문, 레트로 휴고상 최우수 중편 소설
러시아에서 태어나 교육을 받은 후 1926년에 미국으로 이민갔다. 브로드웨이에서 1935~6년까지 2개의 연극 감독을 맡았고 2개의 소설로 실패를 겪었으나 1943년 소설 《파운틴헤드》를 통해 유명인이 되었다.
1957년, 그녀는 대표작 《아틀라스: 지구를 떠받치기를 거부한 신》를 출판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철학적 신념을 더욱 알리기 위해 논픽션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1982년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잡지사를 설립하고 많은 수필 모음집을 발표했다. 랜드는 지식을 쌓기 위한 방법으로는 오로지 논리만 추구하였고 믿음이나 종교를 거부하였다. 합리적이고 윤리적 자기중심주의를 지지하였으며 이타주의는 반대하였다.
랜드는 1982년 뉴욕시티에 있는 그녀의 집에서 심장 부전으로 사망하였다.
○ 생애 및 활동
1905년 2월 2일 러시아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출생했다. 본명은 알리사 로젠바움. 9세 때 작가가 되기로 결심한 후 빅토르 위고 등 낭만주의 작가들의 작품을 읽기 시작했다. 고등학교에 다니던 1917년에는 케렌스키 혁명과 볼셰비키 혁명을 목격하였고, 이 혁명의 와중에 약국을 경영하던 그녀의 아버지가 공산주의자에게 재산을 모두 몰수당했다. 고등학교 마지막 해에 미국사를 공부하면서 그녀는 미국을 동경하게 되었다. 페트로그라드 대학에서 철학과 역사학을 공부하고, 후에는 시나리오 작가가 되기 위하여 국립 영화예술학교에서 수학하던 중 1926년 미국으로 건너왔다. ‘에인 랜드’라는 필명을 만들고, 할리우드로 건너가 조연으로 출발하는데, 그곳에서 영화배우 프랭크 오코너를 만나 1929년에 결혼한다. 프랭크 오코너와는 이후 50년 동안 해로한다.
틈틈이 영어를 배웠던 그녀는 1933년부터 시나리오, 단편 그리고 장편소설들을 거침없이 써내려갔다. 1936년에 첫번째 소설 <우리, 살아 있는 자들 (We the Living)>을 발표하였고, <마천루 (The Fountainhead)> (1943)가 발표된 후에 작가로서의 본격적인 명성을 얻는다. <마천루>는 게리 쿠퍼 주연으로 영화화되었고 6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 수백만 부가 팔린 베스트셀러다.
1957년에는 그녀의 가장 위대한 업적이며 마지막 소설인 <아틀라스 (Atlas Shrugged)>를 출간하였는데, 윤리학, 형이상학, 인식론, 정치학, 경제학 등을 통합한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을 바탕으로 수준 높은 추리 소설의 형태로 완성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작품은 수차례에 걸쳐 영화와 TV 드라마로 제작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에인 랜드 생전에는 실현되지 못하다가, 2003년 5월 드디어 영화화 작업이 시작되었다고 한다. 그후에는 자신의 철학인 객관주의에 대한 저술과 강연에 주력하였고, <새로운 지성을 위하여> (1961), <자본주의의 이상> (1967), <철학 누가 그것을 필요로 하는가> 등의 책을 집필하였다. 1982년 뉴욕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인간에 대한 그녀의 비전과 철학은 수많은 독자들의 삶을 변화시켰고, 미국 문화에 엄청난 영향을 끼쳐왔다. 에인 랜드의 일대기를 다룬 <에인 랜드 : 삶에 대한 감성 (Ayn Rand : A Sense of life)>이라는 기록영화가 1997년 아카데미 최우수 기록영화상 후보에 지명될 정도로, 미국 내에서 그녀의 영향력은 막강하다. 그리고 그녀의 객관주의 철학을 연구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지금도 많은 대학과 연구소에서 활발한 작업이 진행중이다. 에인 랜드 연구소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 철학
그녀의 사상의 중심이 되는 “객관주의”는 이성이 직관과 본능, 선험적 지식보다 우선시되는 입장이다. 이러한 그녀의 사상은 그녀의 작품에서 한 대상을 영웅화시킴으로써 드러나는데, 그 대상의 성취와 이성이 유일한 절대적 요소이며, 가장 고귀한 활동으로 그려진다. 윤리적으로 그녀의 객관주의 사상은 이성적, 윤리적 자기중심주의로 이어지는데 그녀는 그녀의 자기중심주의를 “이기심의 미덕”이라고 여겼다. 이는 개인은 다른 가치나 공동의 행복을 위해 자신의 신념을 희생시키면 안 된다는 믿음이다.
“모든 인간은 다른 사람의 목적에 부합하는 수단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해 존재한다.”
정치적으로 그녀의 사상은 개인의 재산권을 포함하는 권리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그녀는 이러한 개인에 대한 권리의 보호를 위한 자유방임주의가 유일한 도덕적인 사회적 시스템이라고 여긴다. 또한 국가 통제주의에 반하는 경향을 보이며, 국가나 집단의 영향을 최소화 시켜야만 완전한 개인의 권리를 추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녀는 권리가 헌법상으로 제한된 정부에 의해 보호되어야 한다고 믿는데, 이로 인해 그녀의 정치적 견해는 보수주의나 자유주의로 분류되고는 한다. 하지만 그녀는 “급진적 자본주의”라는 용어를 더 선호하며, 그녀가 보수주의와 정치적 의견을 같이 하면서도 종교 및 윤리적 측면에서는 다른 입장을 취하는 이유이다.
또한 그녀는 자본주의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그녀에 따르면 자본주의란 재산권을 포함한 모든 개인의 권리를 인정하는 데 의거하고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라는 개념 자체에는 ‘공공의 이익’이라는 결과를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그녀의 입장이다. 따라서 공공의 이익은 자본주의의 목적이 될 수 없으며, 자본주의는 지극히 개인주의적 개념으로 존재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처럼 객관주의는 개인이 공동체의 행복을 떠나서 자신만의 신념과 이익을 추구한다는 것은 결코 비난할 수 없다고 믿기 때문에 윤리적 자기중심주의를 합리화 할 수 있는 바탕이 된다.
- 영화 The Fountainhead (film)의 원작자
파운틴헤드 (영화)는 1949년에 개봉한 킹 비도르가 감독한 영화다. 아인 랜드가 쓴 파운틴헤드 (소설)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대본 역시 랜드가 집필하였다. 주인공은 모더니즘 건축 양식에 심취한 젊은 건축가 하워드 로크 (Howard Roark)이다. 그는 건축에 대한 신념을 지닌 개인으로서 대중이 원하는 헬레니즘 건축 양식과 타협하지 않고 그의 생애에 걸쳐 대항한다. 여자 주인공 도미니크 프랭콘 (Dominique Francon) 역시 순응주의적 상업 예술을 혐오하고 그런 현실에 절망하여 그 어떠한 것에도 애정을 가지려 하지 않는다. 그러는 와중에 하워드 로크를 만나 그의 예술적 신념에 반해 사랑에 빠진다. 게일 와이난드 (Gail Wynand)는 뉴욕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신문 <배너> (The Banner)의 사장으로 처음에는 하워드 로크의 건축에 대한 신념을 위협으로 보고 여론몰이를 통해 그를 억압하지만 나중에는 결국 그의 신념을 받아들이고 친구가 된다.
랜드는 파운틴헤드의 주요 주제를 ‘정치적인 측면이 아닌 개인의 내적 측면에서 드러나는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사이의 갈등’이라 설명했다 (“individualism versus collectivism, not in politics but within a man’s soul”). 영화 속에서의 하워드 로크의 승리는 타성에 물든 집단에 대한 개인의 승리를 의미한다. 이는 신념을 가지고 싸웠지만 굴복한 게일과 극명하게 대조되어 더욱 강조된다. 여주인공 도미니크 역시 예술적 신념을 지닌 개인으로 표현되지만, 남성인 하워드 로크나 게일 와이난드에 의해 그녀의 신념이 좌절되기도 하고 보상받기도 한다.
- 대중 문화 속의 아인 랜드
아인 랜드의 삶을 다룬 영화 The Passion of Ayn Rand가 있다. AMC의 텔레비전 드라마 매드 맨에 아인 랜드의 이름 그리고, 아틀라스가 등장한다.
○ 평가
“랜드는 1982년 7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정부의 팽창에 대한 두려움이 새로운 수준에 도달할 때마다 그녀의 생각은 새로운 삶을 얻는다. 가장 최근에, 그녀는 시장이 붕괴된 해와 오바마 대통령의 선거 때인 2008년에 인기가 급상승했다. 타임지는 당시 “불안한 경제가 랜드의 유산에는 좋은 소식이었다”고 언급했다. (중략) 그녀의 생각은 정부의 규제를 우려하는 실리콘 밸리의 가장 유명한 기업가들을 많이 인도하고 있고, 그리고 미국 고위직 중 일부는 현재 랜디안들에 의해 운영된다. 아틀라스의 사본을 직원들에게 준 것으로 알려진 폴 라이언 하원의장은 랜드를 “공직에 들어간 이유”인 “사상가 중 한 명”이라고 불렀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6년 4월 USA투데이에 파운틴헤드의 주인공과 동일시한다고 말했다. 이 책은 “모든 것”과 관련이 있다고 그는 덧붙였다.” ― 타임지
○ 저작
베스트셀러 소설 《파운틴헤드》와 《아틀라스 : 지구를 떠받치기를 거부한 신》과 객관주의라는 철학적 시스템을 발전시킨 것으로 가장 잘 알려졌다.
*Selected works
- Fiction and drama:
Night of January 16th (performed 1934, published 1968)
We the Living (1936, revised 1959)
Anthem (1938, revised 1946)
The Unconquered (performed 1940, published 2014)
The Fountainhead (1943)
Atlas Shrugged (1957)
The Early Ayn Rand (1984)
Ideal (2015)
- Non-fiction:
For the New Intellectual (1961)
The Virtue of Selfishness (1964)
Capitalism: The Unknown Ideal (1966, expanded 1967)
The Romantic Manifesto (1969, expanded 1975)
The New Left (1971, expanded 1975)
Introduction to Objectivist Epistemology (1979, expanded 1990)
Philosophy: Who Needs It (1982)
Letters of Ayn Rand (1995)
Journals of Ayn Rand (1997)
○ 어록
“질문은 내가 무언가를 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내가 무언가를 생각하도록 멈추게 한다.”
“창의적인 인간은 남을 짓밟으려는 욕구가 아닌 성취를 원하는 바람에 의해 동기를 부여받는다.”
“자신을 소중하게 하는 법을 배워라. 당신의 행복을 위해 싸워라.”
“나는 너를 사랑해”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먼저 나를 알아야 한다.
“행복의 성취는 인생의 유일한 도덕적 목적이며 고통이나 어리석은 자기 방종이 아닌 행복은 가치관의 성취에 대한 충성심의 증거이자 결과이기 때문에 도덕적 청렴성의 증거다.”
“지구상에서 가장 소수자들은 개인이다. 개인의 자유를 부정하는 자들은 자신들이 ‘소수자들의 보호자’라고 주장해선 안된다”
“우리는 궁극적인 반전의 단계에 빠르게 접근하고 있다. 정부가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무언가를 하는 단계, 시민들은 허락에 의해서만 행동 할 수있는 단계다. 그것은 인간 역사의 가장 어두운 시대의 단계 인 무차별 한 힘에 의한 통치의 단계다.”
“성공의 사다리를 오르는 최선의 방법은 기회의 발판을 밟아가며 올라가는 것 이다”
“진리는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 아니라 그것을 찾는 사람들을 위한 것 이다.”
“개인의 권리는 도덕법에 사회를 종속시키는 수단이다.”
“사랑은 하나의 가치관을 표현한 것으로, 당신이 성격과 인격에서 성취 한 도덕적 자질, 한 사람이 다른 사람의 덕목에서 받는 기쁨을 위해 지불 한 감정적 가격에 대해 얻을 수있는 가장 큰 보상이다.”
“가치가 아닌 악은 결핍과 부정이며, 악은 무능력하고 힘이 없지만 우리가 그것을 우리에게 강요하게 하는 것 입니다.”
“상류층은 국가의 과거다. 중산층은 국가의 미래다.”
“공산주의자의 주요 목적은 독립적인 일, 독립적인 행동, 독립적인 재산, 독립적인 생각, 독립적인 마음, 또는 독립적인 사람의 모든 형태의 독립을 파괴하는 것이다.”
“힘과 마음은 상반된다. 도덕은 총이 시작되는 곳에서 끝난다.”
“개인의 권리는 공개 투표의 대상이 아니다. 대다수의 사람들은 소수파의 권리를 투표권을 행사할 권리가 없다. 권리의 정치적 기능은 소수 집단을 다수에 대한 억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 이다.”
“신앙”은 어떤 이상적인 내용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 증거가 없거나 증거가 없는 느낌으로 유도 된 수용을 나타낸다.”
“돈은 단지 도구 일뿐이다. 원하는 곳이면 어디든 데려 갈 수 있지만 그것은 당신을 운전사로 대체하지 않을 것 이다.”
“행복은 자신의 가치를 성취함으로써 일어나는 의식의 상태다.”
“정치적 맥락에서 자유는 오직 한가지 의미를 가진다 : 물리적 강제의 부재 .” ― Capitalism: The Unknown Ideal, 46
“자유라는 것은 누구에게도 요구하지 않는 것, 누구에게도 기대하지 않는 것, 그리고 누구에게도 의존하지 않는 것이다.” ― The Fountainhead
사회주의와 파시즘의 차이는 피상적이며 순전히 형식적이지만 심리적으로 중요하다: 그것은 계획 경제의 권위주의적 성격을 개방적으로 가져온다.
사회주의 (공산주의)의 주된 특징은 생산 수단의 공공 소유이며 따라서 사유 재산의 폐지이다. 재산에 대한 권리는 사용 및 폐기의 권리다.
파시즘 하에서 사람들은 사유 재산의 외관이나 허위를 유지하지만 정부는 그 사용과 처분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가지고있다 . 파시즘에 대한 사전 정의 는 다음과 같다 : “강력한 중앙 집권력을 가진 정부 체제. 야당이나 비판을 허용하지 않고 모든 업무를 통제한다. 국가 (산업, 상업 등)의 적극적인 민족주의를 강조한다.”
파시즘 하에서 시민들은 재산 소유의 책임을 지키며, 행동의 자유가없고 소유권의 장점도 없다. 사회주의 하에서 정부 관료들은 시민들은 재산권에 대한 소유권이 없기 때문에 소유권의 모든 이점을 얻는다. 적어도 소유권을 사용할 권리는 있다. 두 경우 모두 정부 관료들은 시민들에게 경제적, 정치적, 법적 또는 법적으로 생명이나 사망의 힘을 부여한다.
말할 필요도없이, 소득 불평등과 생활 수준의 불평등은 자유 경제체제 하에서 보다 훨씬 크며, 사람의 지위는 생산력과 성취에 의해서가 아니라 정치적 힘과 힘에 의해 결정된다.
두 시스템 모두에서 희생은 어떤 위기에서도 마술적이고 전능 한 해결책으로 불려지며, “공익”은 희생자가 희생 된 제단이다. 그러나 강조의 문체적인 차이가 있다. 사회주의 – 공산주의는 어떤 불확실한 미래에도 희생자들에게 풍요롭고 물질적인 안락함과 안전을 가져다 준다고 선동하다. 파시스트 – 나치는 물질적 안락함과 안전을 경시하며 정의되지 않은 종류의 영적 의무, 봉사와 정복을 격찬한다. 사회주의 – 공산주의는 희생자들에게 사회적 이념이라고 주장한다. 파시스트 – 나치는 인종 또는 민족의 불특정 형태에 관한 이야기를 제공한다. 사회주의 – 공산주의는 해마다 실패하는 장대한 경제 계획을 선포합니다. 파시스트 – 나치는 단순히 목적, 프로그램이나 방향이 없는 리더십, 권력을 위한 권력 등 리더십을 앗아 갈 뿐이다. – “THE FASCIST NEW FRONTIER”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