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9년 2월 1일, 김동인 · 주요한 등이 한국 최초의 종합문예동인지 ‘창조’ (創造) 창간
잡지 ‘창조’ (創造)는 한국 현대문학기 최초의 문예 동인지이다. 1919년 2월 도쿄에서 창간되어 2호까지 나왔고, 3·1 운동 후 국내에서 속간, 9호까지 계속되었다.
– 동인
당시 도쿄에서 유학중이던 김동인 · 주요한 · 전영택 · 김환 (金煥) 등이다. 이들의 활동에 의해 한국 현대문학은 비로소 본격적인 현대 단편소설과 서정 (抒情)이 깃든 참다운 현대 자유시의 작품을 얻을 수 있었다.
김동인 (金東仁,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으로 호는 금동(琴童), 금동인 (琴童仁), 춘사 (春士), 만덕 (萬德), 시어딤이다.
1919년의 2.8 독립 선언과 3.1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으나 이후 소설, 작품 활동에만 전념하였고, 일제 강점기 후반에는 친일 활동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해방 후에는 이광수를 제명하려는 문단과 갈등을 빚다가 1946년 우파 문인들을 규합하여 전조선문필가협회를 결성하였고 한때 1948년 9월에서부터 1949년 2월까지 한국민주당 당무위원 직위를 역임하였다.
생애 후반에는 불면증, 우울증, 중풍 등에 시달리다가 한국 전쟁 중 죽었다.
평론과 풍자에 능하였으며 한때 문인은 글만 써야된다는 신념을 갖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부터 나타난 자유 연애와 여성 해방 운동을 반대, 비판하기도 하였다.
현대적인 문체의 단편소설을 발표하여 한국 근대문학의 선구자로 꼽힌다.
필명은 김만덕, 시어딤, 검시어딤, 금동 등을 썼다. 그의 작품은 이미 저작권이 소멸되었다.
– 순문학 제창과 국어체 문장 확립
‘창조’파의 문학적 성격을 대표하는 김동인은 이광수의 문학이 사회 개량을 위한 설교문학·계몽문학이라 보고 인생을 있는 그대로 보고 그리는 ‘인생문제 제시’의 문학, 즉 리얼리즘에 입각한 순문학 (純文學)을 제창했다.
‘창조’의 동인 중 주로 소설을 쓴 김동인과 전영택의 작품 경향을 보면, 김동인의 “약한 자의 슬픔”, “마음이 옅은 자여”, “배따라기” 등과 전영택의 “천치 (天痴)냐 천재 (天才)냐” 등은 모두 근대 사실주의의 영향을 받은 최초의 단편들이다. 또 주요한은 그 창간호에 “불놀이”라는 시를 발표했는데, 이 시는 우리 신시운동에 있어 획기적인 현대적 자유시로 그 작풍은 상징주의의 영향을 받은 것이었다. 따라서 ‘창조’ 동인들은 문학을 그 때까지의 계몽사상의 고취에서 지양하여, 예술성 위주의 본격 문학으로 다루게 되었고, 우리 문학계에 리얼리즘이란 순문예 사조가 도입되었다.
이와 같이 ‘창조’ 동인들은 근대문학의 구체성을 파악, 이광수의 언문일치의 문장에서 일보 전진하여 신문장을 위한 혁신운동을 일으켜 국어체 문장을 확립했다. 예컨대 이광수 소설까지 우리 말에 존재치 않던 동사의 과거 · 현재 · 미래의 시제 (時制)를 완전히 구분했고, 대명사를 만들고, 방언을 사용하는 등 작품 창작에서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혁신을 시도했다. 따라서 ‘창조’시대에 이르러 우리의 순문학은 첫째 구어체 (口語體)의 확립, 둘째 계몽문학의 배척, 사실주의에 입각한 순문학운동으로 재출발하니 이는 문예사조로도 큰 전환이며, 창작수법에서도 일대 진보였다.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