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6년 3월 24일, 이탈리아의 작가로 노벨문학상 수상자 다리오포 (Dario Fo, 1926 ~ 2016) 출생
다리오 포 (Dario Fo, 1926년 3월 24일 ~ 2016년 10월 13일)는 이탈리아의 극작가, 연출가, 배우, 작곡가, 시나리오 감독, 풍자가이다.

– 다리오 포 (Dario Fo)
.출생: 1926년 3월 24일
.사망: 2016년 10월 13일
.국적: 이탈리아
.직업: 극작가
.장르: 드라마
.사조: 소극장
.영향 준 인물: 베르톨트 브레히트, 안토니오 그람시
다리오 포 (Dario Fo, 1926∼2016)는 최근까지 왕성한 활동을 보여 준 이탈리아의 대표 작가다. 역장인 아버지와 농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다리오 포는 대학에 입학한 후 생계를 위해 전시회장 세트를 장식하는 보조사 노릇을 했다. 이 시기에 그는 새벽 4시 반에 일어나 흔들리는 기차를 타고 다니며 착취가 무엇인지를 피부로 느끼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고 14세기로부터 16세기에 이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기의 회화법과 16∼17세기의 주된 연극의 흐름이었던 코메디아 델라르테 (commedia dell’arte)에 열중하다가 이후 연극에 구체적인 흥미를 갖고 진로를 전환한다. 연극인으로서 다리오 포는 흥행을 보장해 주는 당시의 제작 배포 체계의 조건에 따르며 한때 금전적인 성공을 거두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업적 흥행과는 곧 단절을 고하고 일관성 있는 작품을 선보이며 1965년에 다른 어떤 쟁쟁한 극단들보다도 많이 공연하고 많은 수입을 거뒀다. 70편이 넘는 그의 작품들 중 대다수가 노동자나 관객들이 직접 요청한 주제를 다룬 작품들이었다. 1970년에는 공산당에서 탈당해 극단 ‘라 코무네’를 조직해 활동했다. 사회의 부정부패, 압제를 풍자적으로 고발한 작품들을 주로 선보인 결과, 포는 1980년 미국 입국 비자를 거부당하기도 했다. 어떠한 악조건 속에서도 권력층에 대항해 싸우며 늘 힘없는 자들 편에 서려던 그의 실천적 노력은 1997년 노벨상 수상이라는 성과로 이어진다. 2016년 9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미스테로 부포> 공연을 치러 냈던 다리오 포는 10월 13일 새로운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던 날 세상을 떠났다.

○ 생애 및 활동
그는 1926년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주 바레세현 산자노에서 철도역 역장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940년에 가족들과 함께 밀라노로 이주, 브레라 대학에서 건축학을 전공하기 시작했지만 제2차 세계 대전의 여파로 학업을 중단해야만 했다. 그의 가족들은 2차 대전 때 반 (反) 파시스트 레지스탕스로 활동했다.
그는 2차 대전 이후 밀라노에서 학업을 재개했으며 소극장 전용 즉석 독백극 전문 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는 1951년에 여배우 프랑카 라메 (Franca Rame)를 만났으며 라메와 함께 시사풍자극 《밀라노의 일주일 (Sette giorni a Milano)》을 공동으로 기획했다.
그는 1953년에 풍자극 《눈 안에 있는 손가락 (Il dito nell’occhio)》을 기획, 제작했다. 처음에는 정부와 교회 당국으로부터 검열을 받은 탓에 그와 극단이 이를 공연할 만한 극장을 찾기 어려울 정도로 혹평을 받았지만 후에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는 1954년 6월 24일에 프랑카 라메와 결혼한다.
그는 1959년에 프랑카 라메와 함께 다리오 포-프랑카 라메 극단 (Compagnia Dario Fo-Franca Rame)을 설립했는데, 포는 시나리오 작가와 배우, 감독, 의상 디자인과 무대 용품 제작을 맡았으며 라메는 극단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의 극단은 피콜로 극장에서 열린 이탈리아 전국 연례 순회 공연에서 데뷔했다.
그와 라메는 1968년에 회전 무대 전문 극단인 누오바 세나 (Associazione Nuova Scena)를 설립했으며 같은 해에 극단 비아 콜레타 (Il Capannone di Via Colletta)를 설립했다. 하지만 그의 행동은 이탈리아 공산당과 연관이 있는 행동으로 여겨졌고 이로 인해 그는 물론 그의 연극에 등장하는 정책과 연극 방식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심지어 공산주의를 적대시하던 가톨릭계에서도 그가 가톨릭을 적대시한다는 이유 때문에 그의 연극 상영을 취소하기도 했다. 그는 공산당 당원은 아니었지만 후에 공산당과 결별을 선언했고 공산당 당원이었던 라메는 공산당을 탈당하기에 이른다.
사회의 부정부패, 압제를 풍자적으로 고발한 작품들을 주로 선보인 결과, 포는 1980년 미국 입국 비자를 거부당하기도 했다. 어떠한 악조건 속에서도 권력층에 대항해 싸우며 늘 힘없는 자들 편에 서려던 그의 실천적 노력은 1997년 노벨상 수상이라는 성과로 이어진다. 2016년 90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미스테로 부포> 공연을 치러 냈던 다리오 포는 10월 13일 새로운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발표되던 날 세상을 떠났다.
그는 1997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대표 작품으로 《우스꽝스러운 비밀 (Mistero Buffo)》 (1969년 작),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우연한 죽음 (Accidental Death of an Anarchist)》 (1970년 작), 《트럼펫과 딸기 (Trumpets and Raspberries)》 (1981년 작), 《교황과 마녀 (The Pope and the Witch)》 (1989년 작), 《요한 패던과 아메리카의 발견 (Johan Padan and the Discovery of America)》 (1992년 작) 등이 있다.
○ Awards and honours
1981: Sonning Prize from Copenhagen University
1985: Premio Eduardo Award
1986: Obie Award in New York (with Franca Rame)
1987: Agro Dolce Prize
1997: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1: Honorary doctorate from the Vrije Universiteit Brussel, Belgium
2002: Order of Saint Agatha by the Republic of San Marino

○ 작품
- 주요 작품
《우스꽝스러운 비밀 (Mistero Buffo)》 (1969년 작)
《어느 무정부주의자의 우연한 죽음 (Accidental Death of an Anarchist)》 (1970년 작)
《안내놔? 못내놔!》 (1974년 작)
《트럼펫과 딸기 (Trumpets and Raspberries)》 (1981년 작)
《교황과 마녀 (The Pope and the Witch)》 (1989년 작)
《요한 패던과 아메리카의 발견 (Johan Padan and the Discovery of America)》 (1992년 작)
- List of works
1958 – Un morto da vendere (Corpse for Sale)
1958 – Non tutti i ladri vengono a nuocere (The Virtuous Burglar)
1959 – Gli arcangeli non giocano al flipper (Archangels Don’t Play Pinball)
1960 – Aveva due pistole con gli occhi bianchi e neri (He Had Two Pistols with White and Black Eyes)
1961 – Chi ruba un piede è fortunato in amore (He Who Steals a Foot is Lucky in Love)
1963 – Isabella, tre caravelle e un cacciballe (Isabella, Three Tall Ships, and a Con Man)
1967 – La signora è da buttare (Throw the Lady Out)
1968 – Grande pantomima con bandiere e pupazzi piccoli i medi (Grand Pantomime with Flags and Small and Middle-sized Puppets)
Later updated as Morte e resurezione di un pupazzo (Death and Resurrection of a Puppet)
1969 – Mistero Buffo (Comical mystery)
1969 – L’operaio conosce 300 parole, il padrone 1,000: per questo lui è il padrone (The Worker Knows 300 Words, the Boss Knows 1000, That’s Why He’s the Boss)
1969 – Legame pure che tanto io spacco tutto lo stesso (Chain Me Up and I’ll Still Smash Everything)
1970 – Vorrei morire stasera se dovessi pensare che non è servito a niente (I’d Rather Die Tonight If I Had To Think It Had All Been In Vain)
1970 – Morte accidentale di un anarchico (Accidental Death of an Anarchist)
1971 – Tutti uniti! Tutti insieme! Ma scusa, quello non è il padrone? (United We Stand! All Together Now! Oops, Isn’t That the Boss?)
1972 – Fedayn
An Arab Woman Speaks (from Fedayn)
1973 – Mamma Togni
1973 – Guerra di popolo in Cile (The People’s War in Chile)
1974 – Porta e Belli contro il potere (Porta and Belli Against the Authorities)
1974 – Non Si Paga! Non Si Paga! (Can’t Pay? Won’t Pay!)
1975 – Il Fanfani rapito (Fanfani Kidnapped)
1976 – La marijuana della mamma è la più bella (Mother’s Marijuana is the Best)
1977 – Parliamo di donne (Let’s Talk About Women)
1977 – Tutta casa, letto e chiesa (All House, Bed and Church, series of five monologues)
Il risveglio (Waking Up)
Una donna tutta sola (A Woman Alone, title changed to Adult Orgasm Escapes from the Zoo for a 1983 performance)
La mamma fricchettona (Freak Mother)
The Same Old Story
Medea
1977 – l’Uomo incinto (The pregnant man)
1978 – La storia della tigre (The Tale of a Tiger)
1981 – Clacson, trombette e pernacchi (Trumpets and Raspberries)
1983 – Coppia aperta, quasi spalancata (The Open Couple)
Lo stupro (The Rape)
1983 – Il candelaio (The Candlestickmaker)
1984 – Quasi per caso una donna: Elisabetta (Elizabeth: Almost by Chance a Woman)
1985 – Manuale minimo dell’attore (The Tricks of the Trade, 1991)
1985 – Hellequin, Harlekin, Arlecchino
1986 – Abducting Francesca (adapted in English as Abducting Diana by Stephen Stenning, 1994)
1987 – The First Miracle of the Infant Jesus
1989 – Lettera dalla Cina (Letter from China)
1989 – The Story of Qu
1989 – Il ricercato (The Wanted Man, unperformed)
1989 – Il Papa e la strega (The Pope and the Witch)
1990 – Zitti! Stiamo precipitando! (Hush! We’re Falling!)
1992 – Johan Padan and the Discovery of the Americas
1992 – Settimo: ruba un po’ meno no. 2 (Seventh Commandment: Steal a Bit Less No. 2)
1993 – Mamma! I sanculotti! (Mummy! The Sans-culottes!)
1994 – Sesso? Grazie, tanto per gradire! (Sex? Thanks, Don’t Mind If I Do!)
1995 – Leonardo: The Flight, the Count and the Amours
1997 – Il diavolo con le zinne (The Devil with Boobs)
2003 – The Two-Headed Anomaly
2009 – Francis the Holy Jester
2014 – La Figlia del Papa (The Pope’s Daughter) (prose novel)
2015 – C’è un re pazzo in Danimarca (There’s a mad king in Denmark)
2016 – Razza di Zingaro (Gypsy Race)

.Date unknown
Alice in Wonderless Land
Housepainters Have No Memories
La Marcolfa (Marcolfa, late 1950s?)
La fiocinina (The Eel Woman)
Fascismo 1922 (Fascism 1922)
Michele Lu Lanzone
Nadia Pasini
Il tumulto di Bologna (The Tumult of Bologna)
La parpaja topola (The Butterfly Mouse)
L’opera dello sghignazzo (The Opera of Guffaws)
La nascita del giullare (The Birth of the Jongleur)
One was Nude and One wore Tails
.English translations
A number of Fo’s plays have been translated into the English language, including Abducting Diana, and Francis the Holy Jester (Beautiful Books Limited, UK, 2009) by Mario Pirovano.
Fo, Dario: Francis, the Holy Jester, Beautiful Books, 2009. ISBN 978-1905636716. translated by Mario Pirovano.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