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 3월 19일, 미국의 소설가 필립 로스 (Philip Milton Roth, 1933 ~ 2018) 출생
필립 로스 (Philip Milton Roth, 1933년 3월 19일 ~ 2018년 5월 22일)는 미국의 소설가이다. 뉴저지주 출신으로 폴란드계 유대인이다.

– 필립 로스 (Philip Milton Roth)
.본명: 필립 밀튼 로스 (Philip Milton Roth)
.출생: 1933년 3월 19일, 미국 뉴저지 뉴어크
.사망: 2018년 5월 22일, 미국 뉴욕 뉴욕 맨해튼
.국적: 미국
.형제자매: 샌포드 로스
.배우자: 클레어 블룸 (1990 ~ 1995년), 마가렛 마틴슨 (1959 ~ 1963년)
.영향을 준 인물: 솔 벨로, 버나드 맬러머드, 알레산드로 피페르노
미국의 유대계 작가로 현대 영미 문학의 대표자이며, 작가들의 작가로 평가받는다.
저명한 문학 평론가 해럴드 블룸은, 코맥 매카시, 토머스 핀천, 돈 드릴로와 함께 현대 미국 4대 작가로 선정했다.
배우자로는 마가렛 마틴스 윌리엄즈 (Margaret Martinson Williams, 1959 ~ 1963), 클레어 블룸 (런던태생.Clair Bloom, 1990 ~ 1995)이 있었다.
시카고대학에서 문학 석사 학위를 받고 모교와 다른 대학에서 강의를 하며 창작활동을 계속하였다. 유대인의 풍속을 묘사한 단편집 《굿바이 콜럼버스》’Goodbye Columbus’ (1959)로 전미 도서상 시상식에서 ‘가장 뛰어난 기여 훈장’을 수상하며 명성을 얻었다.
이 작품에서는 가족의식이 강한 유대인 사회에서 신구세대간의 대립을 예리하게 묘사하였다.
그는 《미국 목가》로 퓰리처상 픽션 부문상을 수여 받았으며, 《휴먼 스테인》으로 영국의 WH Smith 문학상을 수여 받았다.

○ 생애 및 활동
1933년 미국 뉴저지에 위치한 뉴아크 시의 폴란드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뉴저지의 럿거스 대학교에서 얼마간 공부하다 펜실베이니아의 버크넬 대학을 거쳐 장학금을 받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영문학을 전공한다.
졸업 후 군에 입대했지만 훈련 도중 허리 부상으로 제대하고 시카고로 돌아와 박사 학위 과정을 이수하나 한 학기만에 중퇴한다.
이후 시카고, 아이오와, 프린스턴,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1991년 교직을 마치기 전까지 학생들을 가르치며 창작 활동을 병행한다.
1959년, 유대계 미국인들의 고뇌를 담은 ‘굿바이 콜럼버스’를 발표하며 데뷔한 로스는 이듬해로 전미도서상을 수상하며 이름을 알린다.
이후 1969년 윤리와 성적욕망을 노골적으로 다룬 ‘포트노이의 불평’으로 보수적이던 미국 사회에 큰 충격을 준 동시에 상업적 성공과 비평적 찬사를 모두 얻는다.
1998년에는 ‘미국의 목가’로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해 백악관에서 수여하는 문화예술훈장을 받는다.
2012년 절필을 선언하며 “저는 다 끝냈습니다. 『네메시스』가 제 마지막 작품이 될 겁니다”라고 말을 덧붙인다.
2018년, 울혈성심부전으로 인해 85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 특징
문체의 특징이나 내용이 간결하지만 주목할 점은 기름기를 빼고 군더더기를 제거한 후에 장문으로 다듬는 솜씨인데 직관적인 단문과 적절히 섞어 만든 내용이 플롯 안에 살아 움직여 사고의 전개가 굉장히 다이내믹하고 빠르다. 문장의 울림도 강한 편이다.
한국 번역자들조차 오해하기 쉬운 부분이 바로 플롯인데 직관적인 문장으로 인해 플롯의 구성, 즉 작업의 사전적 구성이 꽤 즉흥적이라는 오해를 받기 쉽다.
하지만 그의 글은 정교한 사고와 치밀한 구성에서 나온다는 것을 여러 인터뷰에서 밝힌 바 있다.
토마스 만이나 라틴 문학 (마술적 리얼리즘)에 어느 정도 애증이 있는 듯하다.
퓰리처상을 필두로 전미도서상과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두 번, 펜포크너상 세 번 등 평단으로부터 수많은 찬사를 받았다.
노벨문학상 수상자로도 손색이 없다고 평가받았고 실제 후보로도 수 차례 올랐으나 2018년 타계하면서 끝내 수상에는 실패한다.
대표작으로는 ‘굿바이 콜럼버스’, ‘포트노이의 고백’, 그리고 미국 3부작이 꼽힌다.
다작으로 유명하며, 70대부터는 매년 한 권씩 신작을 발표했다,
- 수상
내셔널 북어워드(‘안녕, 콜럼버스’)
전미 도서비평가협회상(‘카운터라이프’)
1991 전미 도서비평가협회상(‘패트리모니’)
1993 펜포크너 상(‘샤일록 작전’)
1995 내셔널 북어워드(”사바스의 극장’)
1997 소설 부문의 퓰리처 상(‘미국의 목가’)
1998 앰배서더 북어워드(‘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
2000 펜포크너 상(‘휴먼 스테인’)
2000 영국 W.H. 스미스 어워드
- 경력
시카고 대학 문예창작 강의
아이오와 대학교 강의
프린스턴 대학교 강의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강의

- 영향과 주제
대부분의 그의 소설은 유사 자서전적이며 그와 그의 소설안의 인물간 관계 형성의 위험을 도출하는 것을 자의식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다작으로 유명하며, 과감한 쇄신을 통해 다양한 스타일을 선보였다.
그 덕택에 로스의 대표작은 시기별로 나뉘는 편이다.
초기: 자전적인 색채를 기반으로 한 유대계 정체성과 성에 대한 대담한 탐구 (‘굿바이 콜럼버스’, ‘포트노이의 고백’)
중기: 메타픽션, 다중서사 등의 문학적 실험 (‘카운터라이프’, ‘샤일록 작전’)
후기: 사회적 / 역사적 맥락을 다루며 개인의 실존을 성찰 (‘새버스의 극장’, 미국 3부작).
- 종교관
로스는 무신론자로 ‘만일 전 세계가 신을 믿지 않는다면, 세상은 더 좋은 곳이 될것이다” 라고 말했다.
또한 가디언지와의 인터뷰에서 “나는 종교성의 반대쪽에 있다. 즉, 반종교적이다. 나는 종교적인 사람들을 혐오한다. 난 종교적인 거짓말을 싫어할 뿐만 아니라, 모든 것이 헛소리라고 생각한다.” 라고 말하였다.

○ 작품
- 주요 작품
굿바이 콜럼버스
사실들
휴먼 스테인
울분
미국의 목가
- 국내 출간
.픽션
굿바이 콜럼버스 Goodbye, Columbus (1959)
포트노이의 불평 Portnoy’s Complaint (1969)
위대한 미국 소설 The Great American Novel (1973)
새버스의 극장 Sabbath’s Theater (1995)
미국의 목가 American Pastoral (1997)
나는 공산주의자와 결혼했다 I Married a Communist (1998)
휴먼 스테인 The Human Stain (2000)
죽어가는 짐승 The Dying Animal (2001)
에브리맨 Everyman (2006)
유령 퇴장 Exit Ghost (2007)
울분 Indignation (2008)
전락 The Humbling (2009)
네메시스 Nemesis (2010)
.논픽션
사실들 The Facts: A Novelist’s Autobiography (1991)
아버지의 유산 Patrimony (1991)

- 미번역
Letting Go (1962)
When She Was Good (1967)
Our Gang (1971)
The Breast (1972)
My Life as a Man (1974)
The Professor of Desire (1977)
The Ghost Writer (1979)
Zuckerman Unbound (1981)
The Anatomy Lesson (1983)
The Prague Orgy (1985)
The Counterlife (1986)
Deception (1990)
Operation Shylock (1993)
The Plot Against America (2004)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