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3년 4월 2일, 헝가리의 수필가•소설가 콘라드 죄르지 (Konrád György, 1933 ~ 2019) 출생
콘라드 죄르지 (헝: Konrád György, 1933년 4월 2일 ~ 2019년 9월 13일)는 헝가리의 수필가, 소설가이다. 개인주의를 옹호하는 문학 작품을 발표한 것으로 유명하다.

– 콘라드 죄르지 (Konrád György)
.출생: 1933년 4월 2일, 헝가리 베레초우이펄루
.사망: 2019년 9월 1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부모: 요제프 콘라드, 로자 클라인
.형제자매: 에바 콘라드
.자녀: 아론 콘라드, 요제프 콘라드, 미클로스 이스트반 콘라드, 안나 도라 콘라드 등
.수상: Kossuth Prize, 독일출판협회 평화상 등
.주요 작품: 《공범자》(1982), 《정원에서 열린 잔치》(1987), 《돌시계》(1995), 《유산》(1998), 《떠남과 돌아옴》(2001), 《수탉들의 슬픔》(2005), 《시계추》(2008), 《카리용》(2009) 등
1933년 헝가리 베레티오우이펄루에서 태어났다.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제2차 세계대전 때 온가족이 몰살될 위험에 처했지만 가까스로 살아남았다. 1953년 외트뵈스 로란트 대학에 입학했고 문학, 사회학, 심리학을 공부했다. 대학 재학 중 《새로운 목소리》라는 잡지에 처음으로 글을 발표했고, 졸업 후에는 비판적 논조의 잡지인 《엘레트케페크》의 창간에 참여했지만, ‘1956년 헝가리 혁명’ 발발로 발행 계획은 무산되었다. 혁명의 여파로 직장이 폐쇄되고 가족과 친구들이 서방으로 이주하는 상황에서 조국에 남는 것을 택해 임시직을 전전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러다 1959년 부다페스트 제7구의 아동복지 감독관으로 채용되었고, 그 후 7년간 이 일에 종사하며 첫 작품 《방문객》의 토대가 될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969년 출간된 《방문객》은 당시 경악에 가까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며 13개 언어로 번역되었고, 헝가리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1965년 도시건설연구원으로 이직한 후에는 도시사회학자 셀레니 이반과 함께 저술 활동과 연구 활동을 펼쳤다. 이때의 경험은 《도시 건설자》(1977)의 소재가 되었다. 1974년에는 셀레니 이반과 공동 집필한 《계급 권력에 이르는 지식계급의 길》(1978) 때문에 반국가행위 선동죄로 체포되었다. 이때도 조국을 떠나지 않았고, 그에 따르는 모든 불이익을 감수했다.
1976년 여행 금지가 해제된 이후에는 베를린과 뉴욕 등에 객원교수, 특별연구원 등으로 체류하며 《반(!)정치•자치권의 유혹》(1980), 《반정치•중부 유럽의 명상》(1984) 등의 평론집을 냈다. 1989년 헝가리 사회주의 체제 몰락 이후에는 민주헌장을 제정하고 대변하는 데 참여했다.
국제펜클럽 회장, 베를린 예술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카를 대제 상, 코슈트 상, 샤를 베용 상, 마네스-슈페르버 상, 레지옹도뇌르 훈장, 괴테 훈장,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헝가리 공화국 십자성장 등을 받았다. 주요 작품으로 《공범자》(1982), 《정원에서 열린 잔치》(1987), 《돌시계》(1995), 《유산》(1998), 《떠남과 돌아옴》(2001), 《수탉들의 슬픔》(2005), 《시계추》(2008), 《카리용》(2009) 등이 있다.

○ 생애 및 활동
콘라드 죄르지는 1933년 4월 2일에 헝가리 동부 데브레첸 근교에 위치한 베레초우이펄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콘라드의 아버지인 콘라드 요제프 (Konrád József)는 철물 사업을 했다. 콘라드의 어머니는 너지바러드에 거주했던 중산층 유대인인 클레인 로저 (Klein Róza)이다.
콘라드의 가족들은 1944년에 헝가리를 침공한 독일 헌병대와 게슈타포에 의해 체포되어 오스트리아로 이송되었고 나중에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 수감되었다.
1945년 2월 말에는 에버와 죄르지 콘라드 남매가 베레초우이펄루로 귀환했고 1945년 6월에는 콘라드의 부모가 오스트리아에 위치한 슈트라스호프 강제 수용소에서 석방되었다.
콘라드는 2001년에 출간된 소설 《귀향과 행복》에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사건들을 묘사했다.
1950년에는 아버지의 사업과 가족이 아파트가 헝가리 정부에 의해 국유화되었는데 콘라드의 부모는 자녀들과 함께 부다페스트로 이주하게 된다.

콘라드는 1951년부터 1956년 헝가리 혁명이 일어나기 이전까지 로란드 외트뵈시 대학교에서 문학, 사회학, 심리학을 전공했다.
콘라드는 1959년부터 1965년까지 부다페스트 시청에서 어린이 복지 감독관으로 근무했는데 이는 콘라드가 1969년에 소설 《방문자》(헝: A látogató)를 출간하는 계기가 된다.
1965년에는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의 사회학 연구단과 함께 도시 사회학 연구를 수행하는 도시 과학기획 연구소에 합류했다.
1969년에는 도시사회학자인 셀레니 이반 (Iván Szelényi)과 긴밀히 협력하여 《새로운 주택 개발의 사회학적 문제》라는 논문을 집필했다.
콘라드는 1977년에 도시주의자로서의 경험을 담은 소설 《도시 건설자》(헝: A városalapító)를 출간했다.
하지만 헝가리 정부로부터 검열의 대상이 되었기 때문에 콘라드의 문학 작품은 서방 세계에서 사미즈다트 (지하 출판물) 형식으로 출간되었다.
콘라드는 1989년에 사회주의 체제가 붕괴된 헝가리로 돌아왔고 헝가리의 자유주의 정당인 자유민주동맹의 설립에 참여했다.
콘라드는 1990년부터 1993년까지 국제펜클럽 회장을 역임했으며 1997년부터 2003년까지 독일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했다.
콘라드는 2019년 9월 13일에 헝가리 부다페스트에 위치한 자택에서 향년 86세를 일기로 사망했다.
콘라드의 재산은 베를린 예술 아카데미의 문학 보관소에 소장되었다.

- 상훈
국제펜클럽 회장, 베를린 예술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카를 대제 상, 코슈트 상, 샤를 베용 상, 마네스-슈페르버 상, 레지옹도뇌르 훈장, 괴테 훈장,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헝가리 공화국 십자성장 등을 받았다.
독일 헤르더상 (1983년)
샤를 베용상 (1985년)
마네스 슈페르버상 (1990년)
코슈트상 (1990년)
출판 평화상 (1991년)
괴테 메달 (2000년)
카롤루스 대제상 (2001년)
프란츠 베르펠 인권상 (2007년)
유대인 서적 평의회 전미 유대인 서적상 회고록 부문 (2008년)

○ 작품활동
1953년 외트뵈스 로란트 대학에 입학했고 문학, 사회학, 심리학을 공부했다.
대학 재학 중 《새로운 목소리》라는 잡지에 처음으로 글을 발표했고, 졸업 후에는 비판적 논조의 잡지인 《엘레트케페크》의 창간에 참여했지만, ‘1956년 헝가리 혁명’ 발발로 발행 계획은 무산되었다.
혁명의 여파로 직장이 폐쇄되고 가족과 친구들이 서방으로 이주하는 상황에서 조국에 남는 것을 택해 임시직을 전전하며 생계를 유지했다.
그러다 1959년 부다페스트 제7구의 아동복지 감독관으로 채용되었고, 그 후 7년간 이 일에 종사하며 첫 작품 《방문객》의 토대가 될 다양한 경험을 쌓았다.
1969년 출간된 《방문객》은 당시 경악에 가까운 센세이션을 불러일으키며 13개 언어로 번역되었고, 헝가리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1965년 도시건설연구원으로 이직한 후에는 도시사회학자 셀레니 이반과 함께 저술 활동과 연구 활동을 펼쳤다. 이때의 경험은 《도시 건설자》(1977)의 소재가 되었다.
1974년에는 셀레니 이반과 공동 집필한 《계급 권력에 이르는 지식계급의 길》(1978) 때문에 반국가행위 선동죄로 체포되었다. 이때도 조국을 떠나지 않았고, 그에 따르는 모든 불이익을 감수했다.
1976년 여행 금지가 해제된 이후에는 베를린과 뉴욕 등에 객원교수, 특별연구원 등으로 체류하며 《반(!)정치•자치권의 유혹》(1980), 《반정치•중부 유럽의 명상》(1984) 등의 평론집을 냈다.
1989년 헝가리 사회주의 체제 몰락 이후에는 민주헌장을 제정하고 대변하는 데 참여했다.
국제펜클럽 회장, 베를린 예술원 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카를 대제 상, 코슈트 상, 샤를 베용 상, 마네스-슈페르버 상, 레지옹도뇌르 훈장, 괴테 훈장, 독일연방공화국 공로훈장, 헝가리 공화국 십자성장 등을 받았다.

○ 작품
– 주요 작품
《공범자》(1982), 《정원에서 열린 잔치》(1987), 《돌시계》(1995), 《유산》(1998), 《떠남과 돌아옴》(2001), 《수탉들의 슬픔》(2005), 《시계추》(2008), 《카리용》(2009) 등이 있다.
*Works
- Fiction
The Case Worker
The City Builder
The Loser
A Feast in the Garden
The Stone Dial
- Non fiction
The Intellectual on the Road to Class Power (1978), with Iván Szelényi
Antipolitics (1999)
The Melancholy of Rebirth (1995)
The Invisible Voice: Meditations on Jewish Themes
A jugoszláviai háború (és ami utána jöhet) (1999)
Jugoslovenski rat (i ono što posle može da usledi) (2000)
A Guest in My Own Country: A Hungarian Life (2003)
Departure and Return (2011)
- Articles
“The Intelligentsia and Social Structure”. Telos 38 (Winter 1978–79). New York: Telos Press.






참고=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