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5년 4월 12일,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1882 ~ 1945) 타계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1882년 1월 30일 ~ 1945년 4월 12일)는 미국의 32번째 대통령 (재임 1933년 ~ 1945년)이다.

– 프랭클린 루스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출생: 1882년 1월 30일, 미국 뉴욕 하이드파크
.사망: 1945년 4월 12일, 미국 조지아 Little White House Historic Site
.배우자: 엘리너 루스벨트 (1905년–1945년)
.자녀: 프랭클린 델라노 루스벨트 주니어, 안나 루스벨트 할스테드, 엘리엇 루즈벨트 등
.정당: 민주당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재임 기간: 1933년 3월 4일 ~ 1945년 4월 12일
프랭클린 델러노 루스벨트 (Franklin Delano Roosevelt, 1882년 1월 30일 ~ 1945년 4월 12일)는 임기 동안 대공황과 제2차 세계 대전을 모두 경험한, 20세기의 중심인물 중 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 생애 및 활동
1882년 1월 30일, 미국 뉴욕 하이드파크에서 출생한 루스벨트는 그로튼 학교, 하버드 단과대학과 컬럼비아 법학대학원에 다녔으며, 뉴욕시에서 지속적으로 법률 업무를 수행했다.
그는 1910년 뉴욕주 상원의원 선거에서 승리한 후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우드로 윌슨 대통령의 밑에서 해군 차관보를 역임했다.
루스벨트는 19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당의 후보로 출마한 제임스 M. 콕스의 부통령 후보였으나, 콕스는 공화당의 워런 G. 하딩에게 패배했다.
1921년에 루스벨트는 중풍으로 인해 다리가 영구적으로 마비되었다.
그는 1928년 뉴욕 주지사 선거에서 승리하여 공직에 복귀했고, 1929년부터 1933년까지 주지사에 역임하며 당시 미국을 뒤덮고 있던 대공황 퇴치 프로그램을 홍보했다.
1932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루스벨트는 공화당의 당시 현직 대통령이었던 허버트 후버를 압승했다.
루스벨트는 재임 첫 100일 동안 전례 없는 연방 입법을 주도하고 뉴딜 정책을 시행하는 수많은 행정 명령을 쏟아냈다. 그는 실업자와 농부들에게 구제를 제공하기 위한 국가회복국 (National Recovery Administration)과 기타 프로그램들을 통해 경제 회복을 추구했다. 또한 그는 금융, 통신과 노동과 관련된 주요 규제 개혁을 도입하면서 미국 금주법 시대의 끝을 알렸다.
루스벨트의 정책으로 1933년부터 경제가 급속히 개선되면서 1936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었지만 1937년과 1938년 경제는 다시 불황에 빠졌고, 1937년 사법 절차 개혁 법안을 통과시키는 것을 실패했다.
또한 1937년에 결성된 보수 연합은 추가적인 뉴딜 프로그램과 개혁의 실행을 차단했다.
그럼에도 루스벨트는 194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성공적으로 당선되며 두 번 이상 재임한 유일한 미국의 대통령이 되었다.

– 약력
제149대 상원의원 (뉴욕 제26부)
제150대 상원의원 (뉴욕 제26부)
19??. 우드로 윌슨 행정부 해군 차관
1920.11. 미국 제29대 부통령 선거 후보 (민주당, 낙선)
1929.1. 제44대 뉴욕 주지사 (1929.1.1. ~ 1932.12.31.)
1933.3. 미국의 제32대 대통령 (1933.3.4. ~ 1945.4.12.)
○ 정책과 사상
–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1월 6일, 그는 “네 가지 자유” 연설을 하였다.
1943년 3월 루스벨트와 국무장관 코델 헐이 워싱턴에서 영국 외상 앤서니 이든과 가진 회합 때 한국의 독립문제가 연합국 지도자들 사이에서 최초로 논의되었다. 이때 루스벨트는 “한반도를 일정 기간 동안 미국, 소련 및 중국 등 3국의 ‘신탁통치’아래 두었다가 독립시킨다.”는 의견을 처음으로 밝혔으며, 이든은 호의적 반응을 보였다.
1943년 11월 22일 이집트의 카이로에서 영국의 윈스턴 처칠, 중국의 장제스와 함께 3국 수뇌 회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국문제를 본격적으로 공식 논의하였다. 11월 27일 발표된 ‘카이로 선언’은 제3항에서 “한국인의 노예 상태에 유의, 한국을 해방하여 적당한 시기에 독립시킬 것”을 결의했다. 카이로 회담이 끝나자마자 루스벨트와 처칠은 이란의 수도 테헤란으로 장소를 옮겨 소련의 스탈린을 만났다.
1943년 11월 28일, 이번엔 중국의 장제스가 빠진 채 이루어진 미·영·소 3개국 정상회담에서 루스벨트는 “한국인이 완전한 독립을 얻기 전에 약 40년 간의 수습 기간 (apprenticeship)을 필요로 한다.”고 말했고, 스탈린은 이에 구두로 동의를 표하였다(테헤란 회담).
– 세계대전의 결과
1945년 8월 15일, 루스벨트는 비록 그 전에 뇌출혈로 사망했지만, 그의 제2차 세계 대전 미국과 연합군의 지도로 전쟁이 끝나기 직전에 추축국에 속해 있던 일본이 핵무기 공격을 겪고 나서 무조건 항복함으로써 그의 지휘 아래 제2차 세계 대전은 미국과 연합국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 평가
루스벨트의 리더쉽은 뉴딜 정책을 통하여 미국이 대공황에서 벗어나도록 도왔으며, 제2차 세계 대전 때 연합군에 동참하여 나치 독일과 이탈리아 왕국, 그리고 일본 제국을 상대로 전쟁을 수행하여 승리로 이끌었다.
그렇지만 스탈린에 대한 미묘한 자세는 이후 역사가들에게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세계 평화를 위한 국제 조직에 대한 그의 열망은 사후에 국제 연합의 결성으로써 결실을 맺게 되었다.
미국의 대통령 중에서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대통령직에 네 번이나 당선되어 12년간 백악관을 차지했던 장기 집권자이기도 하다.
또, 미국인들에게 역대 대통령 중에서 가장 존경하는 지도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면 상위에 위치하는 인물이기도 하다.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