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1년 1월 5일, 대한민국의 소설가•시인•문학평론가 김동인 (金東仁, 1900 ~ 1951) 별세
김동인 (金東仁, 1900년 10월 2일 ~ 1951년 1월 5일)은 대한민국의 소설가, 문학평론가, 시인, 언론인이다. 본관은 전주 (全州), 호는 금동 (琴童), 금동인 (琴童仁), 춘사 (春士), 만덕 (萬德), 시어딤이다. 현재 어린이대공원에 그의 문학비가 세워져 있다.
– 김동인 (金東仁)
.출생: 1900년 10월 2일, 북한 평양
.사망: 1951년 1월 5일,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부모: 김대윤
.배우자: 김경애 (1930 ~ 1951), 김혜인 (1918 ~ 1927)
.자녀: 김광명, 김일환
.작품: 감자, 광염 소나타, 젊은 그들, 원한의 일월도, 발가락이 닮았다 등
1900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출생했다.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금동 (琴童) · 춘사 (春士)이다.
필명으로는 금동인 (琴童人), 김시어딤, 동 문인 (東 文仁) 등을 썼다.
평양교회 초대 장로였던 아버지 김대윤 (金大潤)과 어머니 옥씨 (玉氏) 사이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 생애 및 활동
1912년 기독교 학교인 평양 숭덕소학교 (崇德小學校)를 졸업했고, 같은 해 숭실중학교 (崇實中學校)에 입학했으나 1913년 중퇴했다. 1914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학원 [東京學院] 중학부에 입학했으나, 학교가 폐쇄되어 1915년 메이지학원 [明治學院] 중학부 2학년에 편입했다. 1917년 부친상으로 잠시 귀국했다가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같은 해 9월 가와바타화숙 [川端畵塾]에 입학했다. 1919년 2월 일본 도쿄에서 한국 최초의 순문예 동인지인 『창조 (創造)』를 자비로 간행했다. 창간호에 첫 단편소설 「약한 자의 슬픔」을발표했다. 같은 달 히비야공원 [日比谷公園]에서 재일본동경조선유학생학우회 (在日本朝鮮留學生學友會) 독립선언 행사에 참여해 체포되었다가 하루 만에 풀려나기도 했다. 3·1운동 직후인 1919년 3월 5일 귀국했고, 동생 김동평 (金東平)의 부탁으로 격문을 기초한 혐의로 구속되었다가 같은 해 6월 26일 풀려났다. 1923년에는 창작집 『목숨』을 자비로 출판하고, 1924년 8월 『창조』의 후신격인 동인지 『영대 (靈臺)』를 간행해 1925년 1월까지 발간했다. 1930년 9월부터 1931년 11월까지 『동아일보』에 첫 번째 장편 소설 「젊은 그들」을 연재했다. 1933년 4월 조선일보사 학예부에 근무했고, 1935년 12월부터 1937년 6월까지 월간 『야담 (野談)』지를 발간했으며, 이 잡지를 통해 「광화사 (狂畵師)」를 발표했다.
1938년 2월 4일자 『매일신보』에 산문 「국기」를 쓰며 내선일체와 황민화를 선전, 선동하면서부터 일제에 협력하는 글쓰기를 시작했다. 1939년 4월부터 5월까지 ‘북지 (北支) 황군 (皇軍) 위문 문단 사절’로 활동했다. 같은 해 10월 조선문인협회 (朝鮮文人協會)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42년 1월 23일자 『매일신보』에「감격과 긴장」을 통해 태평양전쟁을 지지했으나, 같은 해 일왕을 ‘그 같은 자’라고 호칭했다가 7월 불경죄로 징역 8월을 선고받고 복역했다. 1943년 4월 출범한 조선문인보국회 (朝鮮文人輔國會)에 참가해 6월 15일부터 소설희곡부회 상담역을 맡았다. 1944년 1월 20일 조선인 학병의 입영이 시작되자 같은 해 1월 19일부터 1월 28일에 걸쳐 「반도 민중의 황민화」를 연재했다. 1945년 3월 8일부터 11일까지 『매일신보』에 「전시생활 수감」을 게재했다. 이 밖에 잡지 『조광 (朝光)』, 『신시대』 등에 친일소설 및 산문을 여러 편 남겼다.
광복 이후 1946년 1월 전조선문필가협회 (全朝鮮文筆家協會) 결성을 주선했고, 1947년 3월 『백민』에 「망국인기 (亡國人記)」, 1948년 3월부터 1949년 8월까지 『신천지』에 「문단 30년의 자취」 등을 게재했다. 1949년 7월 중풍으로 쓰러졌으며, 1951년 1·4후퇴 때 가족들이 피난간 사이 하왕십리 자택에서 사망했다. 작품 「배따라기」(1921)로 확고한 문명 (文名)을 얻었고, 「감자」 (1925) · 「광염 (狂炎) 소나타」 (1929) · 「발가락이 닮았다」 (1932) · 「붉은 산」 (1932) · 「김연실전 (金姸實傳)」 (1939) 등 수많은 단편을 발표해 한국 근대단편소설의 양식을 확립했다. 대표적인 역사소설로는 「젊은 그들」 (1929) · 「운현궁 (雲峴宮)의 봄」 (1933) · 「대수양 (大首陽)」 (1941) 등이 있다. 평론으로는 「제월 (霽月)씨의 평자적 가치 (評者的價値)」를 비롯해 「조선근대소설고 (朝鮮近代小說考)」 (1929) · 「춘원연구 (春園硏究)」 (1934 · 1935) 등이 있다. 그 밖에 「목숨」 (1921) · 「정희」 · 「시골 황서방」 (1925) · 「송동이」 (1929) · 「반역자 (反逆者)」 (1946) 등의 단편과 「여인 (女人)」 (1930) · 「왕부 (王府)의 낙조 (落照)」 (1935) 등의 장편소설이 있다. 1955년 『사상계』가 동인문학상을 제정해 1956년부터 시상을 시작했으며, 1987년부터는 조선일보사가 주관하고 있다. 사후 1964년 『동인전집』 전 10권과 1976년 『김동인전집』 전 7권 간행되었다.
김동인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1·13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2: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 (p.177∼210)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 학력
1913년 평안남도 평양 숭덕소학교 졸업
1914년 평안남도 평양 숭실고등보통학교 수료
(1946년 5월 31일 서울 숭실중·고등학교 명예 졸업장 수여)
1915년 일본 도쿄 사립 중학교 수료
1919년 일본 도쿄 메이지 학원 중학부 졸업
1919년 일본 메이지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중퇴
1920년 일본 도쿄 가와바타 미술학교 중퇴
○ 기타
일제강점기 말기 수양동우회 사건 이후 투옥되고 변절하여 각종 친일 단체에서 활동하였고,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제헌국회 부의장을 지낸 정치인이자 한국 전쟁 때 납북된 김동원이 소설가 김동인의 이복형이다.
2002년 발표된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문학 부문에 포함되었다. 친일 저작물 수는 소설 3편을 포함하여 총 9편이다.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2009년 11월 27일 “김동인의 소설과 글 등을 통해 일본이 일으킨 전쟁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전쟁 참여를 독려하는 등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규정한 친일반민족행위를 했다”고 결정하여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응하여 그의 아들은 소설의 한 부분만 떼어놓고 친일행위라고 단정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주장했다. 또 “당시 행위에는 적극성이 결여돼 있었다”고 주장하며 소송을 했었다. 2010년 11월 26일 재판부는 판정 중에 친일 행위의 사실성을 인정하였다.
○ 작품
〈배따라기〉
〈감자〉
〈광화사〉
〈붉은 산〉
〈운현궁의 봄〉(흥선대원군 이하응을 대장부로 묘사한 역사소설)
〈광염 소나타〉
참고 = 위키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