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1년 5월 16일, 5·16 쿠데타 군사정변 (5·16 軍事政變) 발발
5·16 군사정변 (5·16 軍事政變)은 1961년 5월 15일 저녁부터 1961년 5월 18일 정오 무렵까지 서울, 부산, 대전, 광주, 경기, 인천, 포천 등에서 임시적 군정 실시를 목적으로 일어난 군사쿠테타 성격의 정변을 말한다.

주동자는 서울을 관할하는 제6관구의 전 사령관이었던 박정희 소장으로 밝혀졌으며 십수명의 장성 및 수십명의 핵심 영관급 장교들과의 사전 모의를 통하여 군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사전에 참여 병력으로는 공수특전단 1,000여 명, 해병대 제1여단 1,300여 명, 6관구 사령부 소속 병력 1700여 명, 제6군단 포병단 5개 대대 3,000여 명과 제5사단 (사단장 채명신 준장이 이끌고 서울 진주), 제12사단 (사단장 박춘신 준장과 부사단장 및 작전참모가 이끌고 춘천 진주), 제30사단 (부사단장, 작전참모, 헌병부장이 사단 이끌고 서울 진주), 제33사단 (작전참모, 연대장 등이 이끌고 서울 진주), 그리고 2군을 비롯한 지방에 있던 여러 장교들까지 수만 명에 이르렀다.
5월 16일 혁명위원회 포고 제4호로써 민의원, 참의원 및 지방의원 등 대의원 헌법기관은 해산되었고 5월 22일 국가재건최고회의 포고 제6호 정당 및 사회단체는 해산되어 정치활동이 완전히 금지되었다. 따라서 민주적으로 선출된 장면 내각은 붕괴되었고 국가재건최고회의에 의한 약 3년간의 군정통치가 이루어졌다. 군정기간 중 정변세력은 특수범죄처벌법, 정치활동정화법 등의 법적 조치를 통하여 정치적 반대세력과 군부 내의 반대파까지 제거하였다. 또한 핵심권력기구로서 중앙정보부를 설치하고 민주공화당을 창당해 대통령제 복귀 등을 골자로 하는 헌법개정을 하였다.
5·16으로 집권한 의장 박정희 소장은 1963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여 제5, 6대 대통령을 연임한다.
당시 언론인 함석헌은 “여러분은 아무 혁명이론이 없었습니다. 단지 손에 든 칼만을 믿고 나섰습니다. 그러나 민중은 무력만으로 얻지 못합니다.”라고 하며 비판했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