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6년 5월 18일,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 파울 알트하우스 (Paul Althaus, 1888 ~ 1966) 별세
파울 알트하우스 (Paul Althaus, 1888년 2월 4일독일 Uetze Obershagen ~ 1966년 5월 18일독일 에를랑겐)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이다.
독일 에를랑겐 대학 신학교수이며, 저서로 “현대의 케리그마 안의 사실과 신앙”, “신의 명령”을 포함해 많은 책들과 논문들을 썼다.

– 파울 알트하우스 (Paul Althaus)
.출생: 1888년 2월 4일, 독일 Uetze Obershagen
.사망: 1966년 5월 18일, 독일 에를랑겐
.국적: 독일
.부모: 아돌프 파울 요하네스 알트하우스
.소속: 독일 에를랑겐 대학
.종교: 개신교 (루터교)
.저서: 현대의 케리그마 안의 사실과 신앙, 신의 명령, 마르틴 루터의 신학
파울 알트하우스 (Paul Althaus, 1888 ~ 1966)는 1888년 하노버 지방 오베르샤겐에서 태어났다.
알트하우스는 개혁신학을 고수하는 신학자 집안에서 자랐다.
그의 조부는 개혁주의에서 루터파로 개종하여 알트하우스는 루터파 신학자가 된다.
알트하우스는 튀빙겐 대학에서 신학공부를 시작하는데, 당시 신약학 교수인 아돌프 슐라터는 그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주었다.
아버지 덕분에 알트하우스는 루터를 더욱 지지하게 되었으며 그의 신앙고백 또한 깊어지게 된다.
1932년 에를랑겐 대학교 신학 교수가 되어 자신만의 길을 걸었고, 루터의 신학에 관한 그의 강의는 대학에서 가장 큰 강의로 강의실을 꽉 채울 정도였다.
알트하우스는 1966년 하나님의 품으로 돌아가기 전까지 많은 책을 집필하였는데, “현대의 케리그마 안의 사실과 신앙”, “신의 명령”을 포함해 많은 책들과 논문들을 썼다.
그 중 대표작이 “마르틴 루터의 신학” (1962)이다.
파울 알트하우스는 1966년 5월 18일, 독일 에를랑겐에서 사망했다.

○ 나치와 파울 알트하우스
개신교와 권력의 관계는 애증이 교차하는 양면적 관계였다.
이런 관계는 중대한 결과를 낳았는데, 그 가장 좋은 예가 1930년대 독일 교회의 위기였다.
아돌프 히틀러는 1933년에 정권을 잡자 즉시 독일 문화를 나치 문화로 만드는 일에 착수했다.
히틀러는 이 작업을 독일 문화의 갱신이라는 명칭으로 비교적 수월하게 추진했다.
종교와 문화의 긴밀한 연관성을 주장하던 자유주의 개신교 진영의 일부 인사들은 히틀러의 이런 작업을 환영했다.
처음에 독일의 많은 교회 인사들은 나치의 통치를 환영했다.

나치의 통치는 소련의 후원을 받아 독일 전체에 침투해 들어오던 불길한 무신론을 저지하는 요새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종교가 담당할 새로운 문화적 역할을 제시해주는 것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교회 내 많은 인사들, 가령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로 루터 신학 연구의 대가였으나 반유대주의를 주창하며 나치에 가담한 파울 알트하우스 (Paul Althaus, 1888 ~ 1966),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로 나치에 맞서 투쟁하던 칼 바르트를 본 대학 교수직에서 축출하는 데 앞장섰던 에마누엘 히르쉬 (Emanuel Hirsch, 1888 ~ 1972), 독일의 개신교 신학자로 자신이 편집한 <키텔 신약신학 사전 ThWNT>로 명성을 얻은 게르하르트 키텔 (Gerhard Kittel, 1888 ~ 1948) 같은 사람들이 히틀러를 지지했다.
교회 문제에서 히틀러와 나치 체제에 저항하고 2차 세계대전 후 독일 교회의 재건과 세계 교회 일치 운동에 헌신한 마르틴 니묄러 (Martin Niemoller, 1892 ~ 1984)와 같은 인물들이 이끈 고백교회 (Bekennende Kirche)와 히틀러를 독일 민족과 교회의 구세주로 여기던 독일의 그리스도인들 사이에 격렬한 논쟁이 일어났다.
물론 용감하게 나치 체제에 맞선 그리스도인들도 많이 있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기 직전 처형당한 고백교회의 목사이자 신학자 디트리히 본회퍼 (Dietrich Bonhoeffer, 1906 ~ 1945)가 그 대표적인 인물이다.
제도권에 있던 개신교회들은 나치가 표방하는 국가사회주의 (Nazism)에 맞서 신뢰할 만하고 설득력 있는 대안을 제시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오늘날 이 교회들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독일 문화를 나치 문화로 개조하는 작업이 추진되면서 당대의 문화규범을 추종하던 모든 형태의 기독교가 그 치명적인 취약성을 여지없이 드러내고 말았다.
당대의 문화규범을 반영하고 있던 자유주의 개신교는 나치문화를 비판할 수 있는 적절한 기초를 가지고 있지 못했다.

참혹한 2차 세계대전의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침묵하는 자유주의 신학에 큰 실망을 느끼고 하나님의 거룩함과 정의를 선포하기 시작한 스위스 개혁교회 목사이자 신학자 칼 바르트 (Karl Barth, 1886 ~ 1968)와 본회퍼 같은 개신교 신학자들은 이런 흐림에 맹렬히 반대하면서 기독교와 교회가 그 규범과 정당성의 근거를 문화규범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와 성경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들은 분명 소수에 불과했다.
파울 알트하우스는 1966년 5월 18일, 독일 에를랑겐에서 사망했다.
○ Honors
In 1959 Paul Althaus was awarded the Bavarian Order of Merit, an honor instituted in 1957.
It is awarded ‘as a mark of respectful and grateful recognition for outstanding contributions to the Free State of Bavaria and the Bavarian people’.
○ 저서
현대의 케리그마 안의 사실과 신앙
신의 명령
마르틴 루터의 신학 외 다수” 외 다수

Luther und das Deutschtum [Luther and Germanness], Leipzig 1917
Kirche und Volkstum. Der völkische Wille im Lichte des Evangeliums [Church and Nationality: the National Will in the Light of the Gospel], Gütersloh 1928
Grundriß der Ethik [Outline of Ethics], Erlangen 1931 (earlier edition: Leitsätze)
Die deutsche Stunde der Kirche [The Church’s German Period], Göttingen 1934
Obrigkeit und Führertum. Wandlungen des evangelischen Staatsethos in Deutschland [Authority and Führerism: Changes in the Evangelical State Ethos in Germany], Gütersloh 1936
Der Christenglaube und das Sterben [Christian Faith and Death], Gütersloh 1941
Vom Sterben und vom Leben [On Death and Life], Gütersloh 1950 (earlier edition: Der Christenglaube und das Sterben)
Die Theologie Martin Luthers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Gütersloh 1962
The Theology of Martin Luther (tr. Robert Schultz) Fortress Press 1966
Die Christliche Wahrheit. Lehrbuch der Dogmatik [Christian Truth: Textbook of Dogmatics], 8th edition, Gütersloh 1969
Die Ethik Martin Luthers [The Ethics of Martin Luther] Gütersloh 1965
The Ethics of Martin Luther (tr. Robert Schulz) Fortress Press 1972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