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 10월 23일, 프랑스의 철학자 루이 알튀세르 (Louis Pierre Althusser, 1918 ~ 1990) 별세
루이 피에르 알튀세르 (프: Louis Pierre Althusser, 1918년 10월 16일 ~ 1990년 10월 23일)는 프랑스의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다.
1918년 알제리 출생으로, 1939년 파리 고등사범학교 합격 후 바로 징집되었고, 포로가 되어 5년간 독일 수용소에서 지냈다. 같은 학교에서 교수 자격시험 지도 강사 및 철학 교수로 재직하면서 자크 데리다를 위시하여 알랭 바디우, 피에르 마슈레, 에티엔 발리바르, 자크 랑시에르 등 수많은 제자들을 지도했고, 좌파 학생 그룹들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1948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고, 1970년대 말 프롤레타리아독재 개념 포기 등 당의 노선 전환을 비판했으나 1990년 죽을 때까지 당적을 유지했다.
1965년에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제자들과의 집단 저작 『’자본’을 읽자』를 출간하여 단번에 ‘구조주의’ 철학의 대표자이자, 마르크스 이후 가장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개념과 정면으로 배치하는 프로이트적이고 스피노자적인 이데올로기 개념 (비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 개념), 프로이트에게서 용어를 빌린 과잉결정 개념과 스피노자적인 구조적 인과성 도식을 생산하여 헤겔식 목적론의 포로로 있던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혁명적 · 비목적론적으로 개조하고자 했다. 그의 이론 작업은 부단한 자기비판과 정정의 과정이었으며, 마르크스주의에 결여된 이데올로기 이론과 상부구조 이론을 구축하려던 그의 작업은 토대/상부구조 도식의 해체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탈구축으로 귀결했다. ‘역사의 주체’라는 문제설정을 기각하고 주체의 지위를 역사를 구성하는 자로부터 역사 속에서 구성되는 자로 이전시킨 그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마르크스주의뿐만 아니라 철학 일반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말년에 정신착란으로 아내를 교살하고 유폐된 상태에서 수행한 ‘우발성의 유물론’에 대한 이론화는 좌파의 철학적 사유에 또 한 차례 충격을 주었다.

– 루이 피에르 알튀세르 (Louis Pierre Althusser)
.출생: 1918년 10월 16일, 알제리 비르망드레이스(Birmendreïs)
.사망: 1990년 10월 23일 (심장쇠약, 72세), 프랑스 파리
.성별: 남성
.국적: 프랑스의 기 프랑스
.직업: 철학자, 대학 교수
.배우자: 엘렌 르고시엥
.정당: 프랑스 공산당
1970년대를 풍미한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 프랑스령 알제리에서 출생하였다. 1939년 고등사범학교 합격 후 바로 징집, 포로가 되어 5년간 독일 수용소에서 지냈다. 이후 가스통 바슐라르에게 수교하고 ENS에서 교수 자격 시험 강사 및 철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동안 자크 데리다를 위시하여 알랭 바디우, 피에르 마슈레, 자크 랑시에르, 에티엔 발리바르 등 후에 저명한 학자가 될 수많은 제자들을 지도했고, 좌파 학생 그룹들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1948년 프랑스 공산당에 입당했고, 1970년대 말 프롤레타리아 독재 개념 포기 등 당의 노선 전환을 비판했으나 죽을 때까지 당적을 유지했다. 우울증 치료를 받던 1980년 정신 착란으로 부인을 목 졸라 살해하여 체포되었으나, 다음 해 금치산자 판정을 받아 법적 책임을 면책받았다. 이후 치료를 받다 1990년에 사망하였다.

○ 생애 및 활동
알제리 출신으로, 파리의 고등사범학교 (École Normale Supérieure)에서 헤겔 철학을 공부하였으며, 그 곳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는 프랑스 공산당을 선도하는 이론가였으며 그의 주된 논쟁들은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적 근거에 대한 여러 위협들에 대한 응답이었다. 이 위협에는 마르크스주의 사회학과 경제학에 영향력을 미치기 시작한 경험주의와 유럽의 공산당들을 분열시키기 시작한 휴머니즘 사회주의 및 민주-사회주의가 포함된다. 그는 초기 마르크스의 소외론, 인간주의와 후기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 사이에 인식론적 절단이 존재한다고 보았으며, 반인간주의, 반경제주의, 반경험주의와 반주체주의를 주장하였다.
프랑스 구조주의의 다른 부류와 결코 간단히 얽히는 우호적 관계를 갖고 있지 않았음에도 알튀세르는 흔히 구조적 마르크스주의자로 불린다.
흔히 알튀세르의 이데올로기론은 자크 라캉의 상상계 논의를 반영했고 라캉의 그것에 미달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스피노자의 논의가 더 강하게 반영되어있다.
그의 저작에는 ‘자본을 읽자’, ‘마르크스를 위하여’ 등이 있다.

○ 사상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에서 고의적으로 그 영향력을 간과해온 상부 구조의 ‘중층 결정’ 개념과 이른바 ‘이론적 반인본주의’ (인간 개개인의 성격적 특질이 아니라 사회 구조적 역할과 그 상징체계가 사회의 기능ㆍ모양을 핵심적으로 결정한다고 보는 주의. 반인륜적 사상 일반으로서 반인문주의 <anti-humanism>와 구분하기 위해 이렇게 지칭했다. 마르크스주의의 과학성을 중시했던 알튀세르의 단면을 잘 드러내는 부분)로써 특유의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독해를 제시하였다. 좌파 정치 철학과 포스트모더니즘, 문화 이론 등에서 영향이 지대하지만, 정작 본인의 이론과 지향은 초기 구조주의자로서 주로 포스트구조주의 계열의 후배들과는 상이하다.
– 권력이론
알튀세르는 권력을 행사하는 주체의 형성과정을 자본주의적 맥락에서, 이데올로기에 대한 맑스주의 이론과의 연관성 속에서 설명하기 위해 라캉의 거울단계이론을 사용하였다.
그의 이론에서 모든 사회는 사회생활의 물질적 수단의 재생산뿐만 아니라 사회를 구성하는 사람들 혹은 주체를 재생산하기 위한 기제를 발전시켜야한다. 그 속에서 이데올로기의 기능은 개인들이 자신들의 진정한 존재조건과 맺고 있는 ‘상상적 관계’를 드러낸다.
이데올로기는 개인들로 하여금 자신이 상대와 맺고 있는 관계들을 알게 하여 개인이 사회적 규범 내에서 표출할 수 없는 욕망이 실현되고 있다는 착각을 가능하게 만든다. 이로 인해 개인은 그 자신을 자유로운 개인으로 상상하게 되며 주체는 자신의 외부에 존재하는 구조의 생산물이라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 이데올로기론
1965년에 『마르크스를 위하여』와 제자들과의 집단 저작 『’자본’을 읽자』를 출간하여 단번에 ‘구조주의’ 철학의 대표자이자, 마르크스 이후 가장 독창적이고 혁신적인 마르크스주의 철학자로 인정받게 되었다. 마르크스의 이데올로기 개념과 정면으로 배치하는 프로이트적이고 스피노자적인 이데올로기 개념 (비의식으로서의 이데올로기 개념), 프로이트에게서 용어를 빌린 과잉결정 개념과 스피노자적인 구조적 인과성 도식을 생산하여 헤겔식 목적론의 포로로 있던 마르크스주의 이론을 혁명적 · 비목적론적으로 개조하고자 했다. 그의 이론 작업은 부단한 자기비판과 정정의 과정이었으며, 마르크스주의에 결여된 이데올로기 이론과 상부구조 이론을 구축하려던 그의 작업은 토대/상부구조 도식의 해체와 마르크스주의 이론의 탈구축으로 귀결했다.
‘역사의 주체’라는 문제설정을 기각하고 주체의 지위를 역사를 구성하는 자로부터 역사 속에서 구성되는 자로 이전시킨 그의 이데올로기 이론은 마르크스주의뿐만 아니라 철학 일반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
“우선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은 알튀세르의 철학적 기획의 핵심을, 담론으로서의, 그리고 한 학문 분야로서의 철학에 대해 그가 맺고 있는 관계의 핵심을 구성한다. 왜냐하면 이데올로기라는 개념은 철학으로 하여금 옳은 자기의식이든 그릇된 자기의식이든 간에 자신의 “자기의식”의 거울을 뚫고 나아가서, 자신의 물질적 가능성의 조건들과 관련해, 자신이 아닌 것의 장, 즉 사회적 실천들의 장 안에, 그렇지만 자신을 폐지하거나 “반영물”로 축소하지는 않고서, 자리잡을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에티엔 발리바르, 《마르크스를 위하여》, 〈1996년판 서문〉, 서관모 역)
“이데올로기는 역사적 존재에 대한 의식이 아니다. 즉, 그것은 ‘물질적 존재 조건들”을 (거꾸로이기는 하지만) 반영하고 “현실적인 것으로부터 얼마간 떨어져 있는’ (즉 추상적ㆍ관념적인) 담론들로 번역되는, ‘사회적 의식 형태’가 아니다 (이 “물질적 존재 조건들”과 “사회적 의식 형태들”은 마르크스의 《정치 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서문’, 1859》의 용어들이다). 이데올로기는 그 속에서 개인들이 자신의 존재 조건들에 대한 자신의 관계를 상상적으로 사는 의식 및 비의식의 형태 (인지 및 오인의 형태)이다.” (에티엔 발리바르, 《마르크스를 위하여》, 〈1996년판 서문〉, 서관모 역)
– 우발성의 유물론
말년에 정신착란으로 아내를 교살하고 유폐된 상태에서 수행한 ‘우발성의 유물론’에 대한 이론화는 좌파의 철학적 사유에 또 한 차례 충격을 주었다.

○ 비판
… 역자 서문에서 한심했던 과거를 떠올리는 것은 갑자기 톰슨 (E. P. Thompson 1924 ~ 1993, 저작 “영국 노동 계급의 형성”으로 유명한 영국의 사회주의자. 사회 운동가. ‘정통 마르크스주의자’로서 1956년 소련군의 헝가리 혁명 진압에 반대해 탈당했지만 50년대말~60년대초 영국 신좌익의 가장 중심인물이었다. 이후 활발한 저작 활동, 사회 운동을 벌인다. 마르크스가 프루동을 비꼰 저작 “철학의 빈곤”을 오마주해 알튀세르를 비판한 “이론의 빈곤 <Poverty of Theory>”을 썼다)의 눈총이 따가워서다. 일찍이 톰슨은 알튀세르류의 ‘마르크스주의’를 겨냥하여 1960년대와 70년대 역사 유물론이 입은 상처는 경계가 분명한 부르주아 보수 진영의 공격보다 마르크스보다 훨씬 더 마르크스주의자라고 선언했던 후방의 ‘진보 진영’으로부터 당한 기습 공격에서 더 컸다고 말하면서, 제대로 된 진보를 이루려면 이론의 유통 체계를 바로 세워야 한다고 지적한 바 있다. 톰슨의 이 지적은 마르크스나 마르크스주의의 이름을 달고 있다고 해서 모든 이론이 마르크스주의적인 것도 아니며, 심지어 ‘진보 진영’을 교란시킬 수도 있기 때문에 이론을 유통시킬 때는 상표가 아니라 내용을 보고 유통시켜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변상출,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 ‘역자 서문: 다시 마르크스(주의)를 생각한다’)
참고로 폴란드 인문학자 레셰크 코와코프스키의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흐름》은 3권 2000쪽이 넘는 대작이다. 그는 한때 정통 마르크스주의자였으나 일찍이 스탈린주의에 환멸을 느끼고 당의 노선에 대해 짤막하지만 통렬했던 비판 ‘무엇이 사회주의인가?’라는 글을 썼다. 이후 망명길에 올라야 했다.

○ 저서
주요저서로 ‘자본을 읽자’, ‘마르크스를 위하여’ 등이 있다.
* Selected bibliography
– French books (Original French / English translation)
Montesquieu, la politique et l’histoire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1959) / “Montesquieu: Politics and History” translation appears in Politics and History: Montesquieu, Rousseau, Marx trans. Ben Brewster (London: New Left Books, 1972), pp. 9–109
Pour Marx (Paris: François Maspero, September 1965) / For Marx trans. Ben Brewster (London: Allen Lan, 1969)
Lire ‘le Capital’ (Paris: François Maspero, November 1965) / Reading Capital trans. Ben Brewster (London: New Left Books, 1970)
Lénine et la philosophie (Paris: François Maspero, January 1969) / “Lenin and Philosophy” translation appears in Lenin and Philosophy and Other Essays trans. Ben Brewster (London: New Left Books, 1971), pp. 27–68; reprinted in Philosophy and the Spontaneous Philosophy of the Scientists & Other Essays, pp. 167–202
Réponse à John Lewis (Paris: François Maspero, June 1973) / “Reply to John Lewis (Self-Criticism)” translation appears in Marxism Today trans. Grahame Lock, October 1972, pp. 310–18 and November 1972, pp. 343–9; reprinted (with revisions) in Essays in Self-Criticism trans. Grahame Lock (London: Verso, 1976), pp. 33–99; reprinted in Essays on Ideology trans. Grahame Lock and Ben Brewster (London: Verso 1984), pp. 141–71
Éléments d’autocritique (Paris: Librairie Hachette, 1974) / “Elements of Self-Criticism” translation appears in Essays in Self-criticism trans. Grahame Lock (London: Verso, 1976), pp. 101–161
Philosophie et philosophie spontanée des savants (1967) (Paris: François Maspero, September 1974) / “Philosophy and the Spontaneous Philosophy of the Scientists” translation appears in Gregory Elliott ed. Philosophy and the Spontaneous Philosophy of the Scientists trans. Warren Montag (London: Verso, 1990), pp. 69–165
Positions (1964–1975) (Paris: Éditions Sociales, March 1976) / Not translated
Ce qui ne peut plus durer dans le parti communiste (Paris: François Maspero, May 1978) / The book itself was not translated, but the original Le Monde articles were translated as “What Must Change in the Party” by Patrick Camiller, in New Left Review, I, no. 109, May–June 1978, pp. 19–45
L’avenir dure longtemps (Paris: Éditions Stock/IMEC, April 1992) / “The Future Lasts A Long Time” translation appears in The Future Lasts a Long Time and The Facts trans. Richard Veasey (London: Chatto & Windus, 1993) “The Future Lasts Forever” translation appears The Future Lasts Forever: A Memoir trans. Richard Veasey (New York: New Press, 1993)
Journal de captivité: Stalag XA/1940–1945 (Paris: Éditions Stock/IMEC, September 1992) / Not translated
Écrits sur la psychanalyse (Paris: Éditions Stock/IMEC, September 1993) / Partially translated as Writings on Psychoanalysis: Freud and Lacan trans. Jeffrey Mehlma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6)
Sur la philosophie (Paris: Éditions Gallimard, April 1994) / Not translated
Écrits philosophiques et politiques II (Paris: Éditions Stock/IMEC, October 1994) / Not translated
Écrits philosophiques et politiques II (Paris: Éditions Stock/IMEC, October 1995) / Not translated
Sur la reproduction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October 1995) / On the Reproduction of Capitalism trans. G. M. Goshgarian (London: Verso, 2014)
Psychanalyse et sciences humaines (Paris: Le Livre de Poche, November 1996) / Not translated
Solitude de Machiavel et autres textes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October 1998) / “Machiavell’s Solitude” was translated by Ben Brewster and appeared in Economy and Society, vol. 17, no. 4, November 1988, pp. 468–79; it was also reprinted in Machiavelli and Us, pp. 115–30
Politique et Histoire de Machiavel à Marx (Paris: Éditions du Seuil, 2006) / Not translated
Machiavel et nous (Paris: Ed. Tallandier, 2009) / A draft Althusser kept on his drawer, it was first published in Écrits philosophiques et politiques. It was then published in English as Machiavelli and Us trans. Gregory Elliott (London: Verso, 1999)
Initiation à la philosophie pour les non-philosophes (Paris: Presses Universitaires de France, January 2014) / Philosophy for Non-Philosophers translated and edited by G.M. Goshgarian with an introduction by Warren Montag (London: Bloomsbury Academic, 2017)

– English collections (Book / Content)
The Spectre of Hegel: Early Writings ed. François Matheron; trans. G. M. Goshgarian (London: Verso, 1997) / It translates part of Écrits philosophiques et politiques I and covers some of Althusser’s “early writings” (1946–1950)
Politics and History: Montesquieu, Rousseau, Marx trans. Ben Brewster (London: New Left Books, 1972) / It collects three texts: 1958’s “Montesquieu: Politics and History”, pp. 9–109; 1965’s “Rousseau: The Social Contract (The Discrepancies)”, pp. 111–160; and 1968’s “Marx’s Relation to Hegel”, pp. 161–86
The Humanist Controversy and Other Texts ed. François Matheron; trans. G. M. Goshgarian (London: Verso, 2003) / 1966’s “The Theoretical Conjuncture and Marxist Theoretical Research”, “On Lévi-Strauss” and “Three Notes on the Theory of Discourses”, pp. 1–18, pp. 19–32 and pp. 33–84 respectively; 1967’s “On Feuerbach”, “The Historical Task of Marxist Philosophy” and “The Humanist Controversy”, pp. 85–154, pp. 155–220 and pp. 221–305 respectively
Philosophy of the Encounter: Later Writings, 1978–1987 ed. François Matheron; trans. G.M. Goshgarian (London: Verso, 2006) / Translation of texts from Écrits philosophiques et politiques 1 and Sur la philosophie, including the latter’s preface, 1979’s “Marx in his Limits”, 1982’s “The Underground Current of the Materialism of the Encounter” and 1986’s “Portrait of the Materialist Philosopher” and letters to Merab Mamardashvili, Mauricio Malamud and Fernanda Navarro, and his interviews with her
History and Imperialism: Writings, 1963–1986 translated and edited by G.M. Goshgarian (London: Polity, 2019) / Includes Althusser’s unpublished and incomplete book on imperialism
– Selected articles in translation
“Our Jean-Jacques Rousseau”. TELOS 44 (Summer 1980). New York: Telos Press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