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2월 20일, 이탈리아의 기업인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Ferruccio Lamborghini, 1916 ~ 1993) 별세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Ferruccio Lamborghini, 1916년 4월 28일 ~ 1993년 2월 20일)는 이탈리아의 기업인으로, 람보르기니 (Lamborghini)의 창립자이다.

○ 생애 및 활동
- 초기
1916년 4월 28일에 이탈리아의 에밀리아로마냐에서 포도농장을 운영하던 부부에게서 태어난다. 어린 시절부터 농사보다 농기구와 기계에 관심을 가지고 놀았는데 부모는 그런 페루치오를 볼로냐의 기계학교에 입학시켜 기술을 배우게 한다. 제2차 세계 대전이 한창이던 1940년에 공군에 입대한 페루치오는 로도스 섬의 공군기지에서 정비병으로 복무한다. 전쟁 도중 영국군에게 포로로 억류되고 이듬해인 1946년에 귀국하면서 자동차 정비소를 설립한다. 이듬해인 1947년에 트랙터 사업을 시작하게 되는데 마셜 플랜으로 농업에도 막대한 자금이 유입되면서 농업의 자동화가 폭발적으로 일어나고 트랙터 사업은 전성기를 맞이한다. 1950년대 후반까지 경작용 트랙터를 생산하며 농업에서 절대강자로 군림한다.
평소에도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페루치오는 트랙터로 번 돈으로 많은 자동차를 구입하는데 그 중에는 페라리의 250 GT가 있었다. 자동차는 괜찮았으나 너무 시끄럽고 거칠어 트랙이 아닌 일반 도로나 비포장도로에서는 운행이 거의 불가능하고 클러치가 계속 오작동하였다. 당시 250 GT의 클러치는 고속에서 슬립이 지나치게 자주 일어나는 것으로 악명이 높았다. 결국 페루치오는 원인을 알아내고자 차를 분해하고 람보르기니에서 생산하던 트랙터와 페라리가 생산하던 스포츠카의 클러치가 같은 제품이라는 사실을 발견한다. 페루치오는 엔초 페라리를 직접 만나 자신이 발견한 250 GT의 클러치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페라리 본사에서 한참을 기다린 끝에 엔초를 만난 페루치오지만 당시 모터스포츠에서 연승을 거두어 자만하던 엔초는 촌티나는 시골 사업가가 페라리에서 만든 스포츠카의 결함을 지적하려고 찾아온 것을 보고 페루치오에게 비아냥댄다.
“You know how to drive tractors. But you’ll never learn how to drive a real Ferrari.” (트랙터는 잘 모는 모양이군. 근데 진짜 페라리는 평생 배워도 제대로 몰지도 못할 걸세.)
자신이 가장 동경하는 자동차 제조사의 회장에게 무시당하자 페루치오는 격분하여 제대로 된 스포츠카를 보여주겠다고 응수한다. 이러한 이야기는 현대 람보르기니의 창업 비화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정설로 여겨진다.
엔초의 성격으로 탄생한 전설적인 자동차는 포드의 GT40. 포드에게 피아트의 페라리 인수가만 높여준 모양이 된 페라리 인수 실패, 페라리의 레이싱 집념, 국가적 자존심이 모여 개발되었고 르망에 출전하여 페라리를 누르고 4년 연속 우승을 차지한다.
- 중기
페라리를 이긴다는 마음 하나로 스포츠카 사업에 뛰어든 페루치오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업계에서 이름이 높은 엔지니어를 모집하여 스포츠카 공장을 설립한다. 이 시기 페루치오에게 스카웃된 대표적인 사람이 페라리의 수석 엔지니어를 역임한 지오토 비짜리니와 후일 컨스트럭터 달라라로 이름을 알리는 지안 파올로 달라라. 비짜리니가 350 GT를 위해서 제작한 람보르기니의 V12 DOHC 엔진은 배기량을 키우고 연료분사 방식을 카뷰레터에서 전자식으로 바꾸는 등의 개량을 거치며 47년이 지난 2010년까지 무르시엘라고에 장착되는 등 오랜 시간을 현역으로 활동하였다.
1963년에 람보르기니는 2인승 V12 쿠페인 350 GTV를 출시하고 3년이 지난 1966년에 세계 최초의 슈퍼카로 불리는 미우라를 출시한다. 미우라는 리어 미드십 엔진을 장착한 최초의 자동차로 빠르기만 하고 실용적이지 않은 자동차에 관심이 없던 페루치오가 선호하는 모델은 아니었다. 그래서 미우라는 람보르기니의 청년 엔지니어들이 페루치오 몰래 독자적으로 추진하던 프로젝트로 생산되었고 페루치오가 미우라의 출시를 승인한 이유는 미우라가 람보르기니의 인지도를 높이는 과정에 도움이 될 거라고 판단하여 승인한 것이다. 하지만 미우라는 세계를 경악하게 만들만큼 명성을 얻고 람보르기니는 세계에 널리 알려진다. 미우라의 대성공으로 생각이 달라진 페루치오는 미우라를 제작하는 엔지니어들의 식사를 준비하며 그들을 응원하고 미우라를 이을 강력한 신차를 계획하여 1971년에 제네바 모터쇼에서 쿤타치를 선보인다.
- 말기
하지만 1970년대에 접어들며 트랙터 사업이 재정난을 겪고 석유 파동이 겹치며 람보르기니는 휘청인다. 흔들리는 람보르기니의 상황에 경영할 의지를 잃은 페루치오는 스위스의 사업가인 조르주 앙리 로세티에게 람보르기니를 매각하나 1978년에 파산하여 법정관리에 들어긴다. 1980년에 람보르기니는 프랑스의 장 클로드 미므란과 파트릭 미므란에게 인수되고 1984년에는 미국의 크라이슬러에게 인수된다. 람보르기니의 경영을 포기한 페루치오는 가업을 이어 포도농장을 운영하며 자신의 이름이 들어간 포도주를 판매하면서 노후를 보낸다. 이후 1993년에 방송에 출연하여 녹화하던 도중 뇌경색으로 의식을 잃고 병원으로 이송되나 끝내 의식을 회복하지 못하고 76세를 일기로 별세했다.

○ 기업체 람보르기니 (Lamborghini)
람보르기니 (이: Automobili-Lamborghini S.p.A 약칭: Lamborghini)는 슈퍼카 및 스포츠카를 만드는 이탈리아의 자동차 제조 업체이다. 본사는 이탈리아 에밀리아로마냐주 볼로냐에 있다. 현재 폭스바겐 산하 고급 브랜드인 아우디의 자회사로 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폭스바겐 그룹 국내 판매 법인인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 산하에 있다. 람보르기니는 이탈리아에 있는 또다른 슈퍼카 제조사 페라리와는 경쟁 관계이다. 람보르기니의 설립도 페라리와의 악연이 시초가 되었다.
람보르기니의 시작점은 196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자동차 정비공으로 활약한 페루치오 람보르기니는 전쟁이 끝난 후 고향으로 돌아와 트랙터 제조업체를 세웠다. 이 업체의 이름이 바로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트랙토리체’였고, 현재의 람보르기니의 모체가 된 기업이다. 페루치오의 트랙터 회사에는 특징이 하나 있었는데, ‘절대 고장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때문에 그의 트랙터는 이탈리아 전역으로 팔려나갔다. 어렸을 때부터 자동차를 좋아했던 페루치오는 트랙터 사업으로 막대한 부를 얻은 후에 자동차 수집이 취미였는데, 그 중에는 트랙터 업체였던 람보르기니를 슈퍼카 제조업체로 탈바꿈시킨 주인공 격인 페라리 250가 있었다.
페라리는 오래전부터 잦은 클러치 결함으로 악명이 자자했다. 페라리 250 GT 역시 클러치 결함이 심각했는데, 페루치오는 같은 급은 아니지만 같은 분야에서 활동하는 엔지니어로써의 호의를 기대하고 페라리에 직접 찾아가게 된다. 그가 페라리에 찾아간 목적은 페라리 전 차종에 걸쳐 나타나는 잦은 클러치 결함을 알려주기 위함이었다. 하필 이 당시, 페라리는 르망 24시 내구레이스에서 연이은 승전보를 올리며 승승장구하고 있었고, 엔초 페라리도 이런 승전보에 허세가 갈수록 커져 매우 오만방자했던 시기였다. 이런 시기에 페루치오가 찾아갔을 때 엔초는 당연히 페루치오를 문전박대하며, “당신은 자동차를 볼 줄 모르는군. 가서 트랙터나 더 많이 만드시오”라 말하며 큰 모욕을 줬다.
이후 페루치오는 1963년, 볼로냐에서 25 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곳에 자동차 공장을 설립하고 마세라티나 알파 로메오 등 그 당시 이탈리아에서 유명한 자동차 제조업체의 엔지니어들과 디자이너들을 영입해서 페라리에 대한 복수를 다짐한다. 이때 람보르기니의 제1의 사칙이 정해지는데, 그것이 바로 “무조건 페라리보다 빠른 자동차”였다.
첫 모델인 350GT는 1964년에 출시했다. 회사를 창립한지 겨우 1년 만에 페라리를 앞지른 자동차를 생산한 것이었다. 2년 뒤에는 1966년에는 공공도로에서 주행할 수 있는 자동차 최초로 미드십 엔진 섀시를 채택한 람보르기니 미우라를 출시했다. 미우라 역시 그 당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자동차였으며, 페라리 역시 미우라에 사용된 미드십 엔진 섀시를 따라 하기도 했다. 페루치오가 기업 운영에서 손을 뗀 후에 람보르기니의 소유주가 몇 차례 바뀌었다. 1987년에 크라이슬러에 인수됐다가 1999년부터 폭스바겐의 자회사로 소속되어 있다.
람보르기니의 소유주는 몇 번 바뀌었는데, 다음과 같다.
페루치오 람보르기니 1963–1972
죠지-헨리 로세띠와 르네 라이머 1972–1977
파산함; 1977–1984
패트릭 밈람(Patrick Mimram)이 경영; 1980–1984
패트릭 밈람(Patrick Mimram) 1984–1987
크라이슬러 1987–1994
메가텍 1994–1995
V 파워, 마이콤 1995–1998
폭스바겐AG 1998–현재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