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1월 7일, 크로아티아계 스위스의 노벨 화학상 수상자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Vladimir Prelog, ForMemRS, 1906 ~ 1998) 별세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Vladimir Prelog, ForMemRS, 1906년 7월 23일 ~ 1998년 1월 7일) 박사는 스위스의 화학자이다.
–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Vladimir Prelog)
.출생: 1906년 7월 2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
.사망: 1998년 1월 7일, 스위스 취리히
.부모: 밀란 프렐로그, 마리자 세톨로
.학력: Czech Technical University in Prague
.수상: 데이비 메달, 노벨 화학상, 마르셀 베노이스트 상, Paul Karrer Gold Medal
.저서: My 132 semesters of chemistry studies
1975년 유기분자와 유기반응의 입체화학을 연구한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이 연구는 생물학적 과정을 이해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프라하에 있는 화학공과대학에서 공부했으며, 1929년 그곳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몇 년간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실에서 일한 후 1935년부터 자그레브대학교에서 강사로, 나중에는 유기화학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쳤다. 1942년 취리히에 있는 연방공과대학 교수가 되었으며, 1957~65년에 유기화학연구소 소장으로 일했다. 1976년 교수직에서 은퇴했다. 그는 알칼로이드류, 항생물질류, 효소류, 다른 천연 화합물들의 입체화학에 관해 연구했는데, 특히 입체이성질 현상을 이해하는 데 기여했다. 그는 R. S. 칸, C. K. 잉골드와 함께 분자의 키랄성 (비대칭성)을 지정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체계를 개발했다
○ 생애 및 활동
블라디미르 프렐로그 (Vladimir Prelog, ForMemRS)는 1906년 7월 23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에서 출생했다.
1929년에 프라하에 있는 화학공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1935년부터 자그레브 대학교에서 강의하였다.
1942년에 취리히에 있는 연방 공과대학 강사 및 교수로 자리를 옮겼으며, 1957년부터 1965년까지 유기화학연구소 소장을 지냈다.
분자의 기하학적 모양 및 반응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함으로써 입체화학 분야, 나아가 유기화학 분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1998년 1월 7일, 스위스 취리히에서 별세했다.
- 학력
~1929년: 프라하 체코 공과대학원 화학과 (박사)
- 수상 경력
1964년 : 마르셀 베노이스트상
1967년 : 데비 메달
1974년 : 파울 카러 황금 메달
1975년 : 노벨 화학상
○ 노벨상 시상 연설
전하, 그리고 신사 숙녀 여러분.
올해의 노벨 화학상 수상자는 두 분 다 기하학적 관점 특히 입체화학적 관점에서 반응메커니즘을 연구했습니다. 화학 실험에서 화합물들이 혼합되면 무슨 일인가 일어나고, 마침내 한 가지 이상의 다른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게 됩니다. 정말로 무슨 일이, 왜, 어떻게 일어났을까요? 이 상황은 누군가가 고전 비극 「햄릿」을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만을 축약해 보여 준 것과 같습니다. 주요 인물들이 소개되고 무대가 닫힙니다. 다시 커튼이 올라갈 때 여러분은 무대 위에 몇 명의 사망자와 한두 명의 생존자를 보게 됩니다. 물론 관람객은 그 사이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고 싶어 할 것입니다.
제가 지금 말씀드린 것은 특히 효소반응에 해당합니다. 많은 반응들이 살아 있는 모든 유기체 안에서 영구히 지속됩니다. 우리가 반응을 관찰하지 않더라도 반응은 진정으로 우리 모두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화학자가 정말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알려고 할 때, 가끔은 선택의 문제에 부딪칩니다. 오른쪽일까, 왼쪽일까? 일상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노르툴(Norrtull)을 타고 스톡홀름을 출발하면 곧 지선 도로가 있는 곳에 도착합니다. 왼쪽 지선은 오슬로로 가고 오른쪽 지선은 순스발 혹은 원하면 하파란다로 갑니다.
콘퍼스 교수님은 많은 것 외에도 여섯 분자의 메발론산(mevalonic acid)으로부터 탄화수소 스쿠알렌(squalene)의 생합성을 연구했습니다. 이 탄화수소는 여러 면에서 생명 유지에 중요한 스테로이드 생성에 필수적입니다. 스쿠알렌의 합성은 14단계로 일어나며 각 단계에서 효소는 적절한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이것은 214(16384)가지의 다른 방식이 있고 그중 오로지 하나만 스쿠알렌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일 효소가 첫 번째 단계에서 실수를 한다면(실제로 그런 일은 없습니다), 최종 결과는 분명 스쿠알렌이 아닌 고무 또는 다른 것이 될 것입니다. 이러한 목적에 정통한 그는, 보통 수소, 중수소, 그리고 방사능이 있는 수소 등 동위원소의 성질을 사용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한 동위원소는 단지 흔적량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참여하는 분자의 100만 분의 1이 방사능을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슷한 방식으로 콘퍼스 교수는 몇 개의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반응을 연구했습니다. 반응메커니즘과 관련된 모든 문제는 그 시점에서는 풀리지 않지만 반응 도중에 매우 중요한 단계를 구성합니다.
프렐로그 교수는 입체화학의 여러 분야에서 연구를 해왔는데, 분자의 기하학적 모양과 이것이 반응 경로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문제를 연구하였습니다. 훌륭한 일련의 연구가 ‘중간 고리’를 다루고 있는데 이것은 8~11개의 탄소원자로 된 고리를 포함하는 분자입니다. 이러한 고리는 경직된 것이 아니라 움직입니다. 멀리 떨어진 듯이 보이는 고리의 부분이 서로 가까이 접촉해서 예기치 않은 반응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프렐로그 교수는 탄소 동위원소를 사용해서 그러한 반응을 밝혀낼 수 있었습니다.
많은 연구들이 키랄분자 사이의 반응을 다룹니다. 키랄이라는 용어는 손을 의미하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합니다. 분자들이 비대칭이고 오른손과 왼손처럼 2개의 다른 형태로 존재합니다. 분자들이 너무 작아서 볼 수는 없지만 다른 종류의 키랄분자 사이의 반응을 연구해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프렐로그 교수는 또한 효소화학의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습니다. 작은 분자의 효소반응 특히 산화와 환원 과정을 연구했습니다. 실험은 효소와 다른 분자들이 기하학적으로 서로 어떻게 들어맞는가에 따라 대체로 성공적이었습니다. 잘 정의된 모양을 갖는 여러 작은 분자를 가지고 체계적으로 실험하여 효소분자의 활성 부분에 관한 지도를 만들 수 있었습니다. 이 결과는 최근 한 특정한 실험에서 엑스선 법을 이용하여 스웨덴 과학자가 검증하였습니다.
프렐로그 교수는 또한 천재성과 통찰력으로 입체화학, 그중에서도 크고 복잡한 분자의 키랄 조건에 관한 근본 개념을 토론하고 분석했습니다.
콘퍼스 교수님.
효소반응은 항상 마술 같은 분위기, 즉 마법을 지녀왔습니다. 물론 이것은 정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우리의 지식이 불완전한 데서 기인합니다. 그러나 이 마술 같은 분위기는 점점 걷히고 있으며, 수소의 동위원소를 이용한 교수님의 공헌이 가장 두드러진 발전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키랄 메틸기를 가진 화합물을 다룬다는 것은 최고의 지적 표준을 성취한 것입니다.
또한 심각한 신체적 장애에도 불구하고 기술과 인내심을 가지고 연구해 온 그 솜씨와 지구력에도 찬사를 보내고 싶습니다. 아마도 그것은 콘퍼스 부인의 결코 굴하지 않는 도움과 지지가 없었더라면 불가능했을 것입니다. 오늘 같은 날 그분의 노고를 잊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화학과 자연과학 전반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스웨덴 왕립과학원에서는 교수님께 노벨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과학원의 진심어린 축하를 전해 드리게 되어 영광입니다.
프렐로그 교수님.
저는 여기서 입체화학에 관한 교수님의 위대한 업적을 짧게 요약하려 합니다만 쉽지 않은 일입니다. 교수님의 찬란한 실험은 오늘날 유기화학의 영역을 넓히는 데 기여하였습니다. 종종 교수님의 업적을 다른 연구에 확장시켜서, 많은 화학자들이 지금까지 교수님이 시작한 이 영역의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수님은 입체화학의 기본원리, 특히 이성질체의 개념을 설명하고 확립하였습니다.
화학의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여 왕립과학원에서는 교수님께 노벨상을 수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과학원의 진심어린 축하를 전해 드리게 되어 영광입니다.
콘퍼스 교수님, 프렐로그 교수님.
이제 나오셔서 전하께서 수여하시는 노벨상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 스웨덴 왕립과학원 아르네 프레드가
참고 = 위키백과, 노벨상위원회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