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1년 11월 3일, 오스트리아 출신 영국의 미술사학자 에른스트 곰브리치 (Ernst Hans Josef Gombrich, 1909 ~ 2001) 별세
에른스트 곰브리치 (Ernst Hans Josef Gombrich, 1909년 3월 30일 ~ 2001년 11월 3일)은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태어난 영국의 미술사학자로 주저 《서양미술사》의 저자이다.
– 에른스트 곰브리치 (Ernst Gombrich)
.본명: Ernst Hans Josef Gombrich
.출생: 1909년 3월 30일, 오스트리아
.사망: 2001년 11월 3일 (92세)
.국적: 영국
.성별: 남성
.직업: 미술사학자
.분야: 미술사
.학력: 빈 대학교
.주요저서: 곰브리치 세계사, 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서훈: 1966년 대영 제국 훈장 3등급 (CBE) 수훈, 1972년 기사작위 (Knight Bachelor) 서임, 1988년 메리트 훈장 (Order of Merit; OM)
“나는 방법을 원하지 않습니다. 나는 단지 상식을 원할 뿐입니다. 내 유일한 방법이지요.”
에른스트 곰브리치는 영국의 미술사학자다. 1909년에 오스트리아 빈에서 태어나 빈 대학교에서 예술사와 고고학을 공부하였고 런던 대학교 미술사학 교수를 역임하였다.
미술과 미술사에 관심이 많은 일반인에서 이제 막 전공 공부를 시작하는 미대 학부생, 그리고 대학원생까지 읽는 두꺼운 책을 만들어낸다.
전 세계적으로 700만 부 이상 팔리며 20여 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된 《서양미술사 (The story of Art, 1950년 출간)》의 저자이다.
20세기의 가장 영향력 있는 미술사학자 중 한 사람이며 1966년 3등급 대영제국 훈장 (CBE)을 받은 데 이어, 1972년에 기사작위 (Knight Bachelor)에 서임되었다.
그 뒤 1988년에는 1등급 훈장에 준하는 상위훈장 메리트 훈장 (Order of Merit, OM)을 받았다.
○ 생애 및 활동
에른스트 곰브리치 (Ernst Hans Josef Gombrich)는 1909년 3월 30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태어났다.
빈 대학에서 예술사와 고고학을 공부하였다.
1935년 훗날 ‘템즈 앤드 허드슨’을 세운 발터 노이라트로부터 어린이를 위한 역사책을 써달라는 요청을 받고, 6주 만에 원고를 완성하여 이 책 『곰브리치 세계사』를 냈다.
1936년에 영국으로 이주하여 런던 대학의 바르부르크 문화학 연구소의 일원이 되었고, 1976년 정년 퇴임할 때까지 미술사를 연구하며 학생들을 가르쳤다.
그 외에 옥스퍼드 대학, 케임브리지 대학, 하버드 대학에서도 강의했다.
1972년 영국에서 기사 작위를 받았고, 1975년 오스트리아의 과학과 예술 분야 명예 십자 훈장, 1977년 독일의 공로 훈장, 1975년 에라스무스 상, 1976년 헤겔 상, 1984년 오스트리아의 명예 기장, 1985년 발잔 상, 1988년 영국 메리트 훈장, 비트겐슈타인 상, 1994년 괴테 상을 받았다.
『곰브리치 세계사』를 영어로 번역하던 2001년 11월 3일에 세상을 떴다.
쓴 책으로 『서양미술사』, 『예술과 환영』, 『이미지가 우리에게 들려주는 것』 등이 있다.
– 특징
곰브리치의 미술사 연구는 소위 ‘시대정신’이라고 불릴 수 있는 거대담론이나 형식들 속에 내재된 ‘통일성’에 대한 거부감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정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르네상스에 대해 이야기할 때 르네상스 미술의 특징들을 간단하게 정리하려는 시도를 하게 되는데, 곰브리치는 그런 류의 서술에 대해 매우 회의적인 태도를 보인다.
미술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이 하나의 ‘아이콘’으로 작용한다고 생각했던 엘빈 파노프스키와는 대조적 성향이라고 할 수 있고, 시대별로 분명하게 구분되는 양식이 있다고 믿었던 하인리히 뵐플린과 같은 이들과도 구별된다.
따라서 곰브리치는 파노프스키나 뵐플린과 같은 특정한 방법론의 선구자들과는 다른 방법론을 지향하게 된다.
따라서 곰브리치의 《서양미술사》는 개별 예술가들이 무엇을 어떻게 표현 (혹은 재현)하고자 했느냐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서 이론적인 배경을 매우 강조하는 학자들의 책에 비해서는 비교적 읽기 쉬운 편에 속한다.
사실 이런 특징들은 헤겔을 비롯한 독일 관념론에 뿌리를 둔 역사서술에 대한 반발이었다.
곰브리치는 독일계 학자였지만, 독일 학계에 널리 퍼져있는 이 같은 풍토들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었고 그에 대한 반발심으로 개별 예술가들의 삶과 그들의 예술에 집중하게 된 것이다.
전자가 거시사적인 관점에서 미술사를 바라본 것이라면, 곰브리치의 연구는 미시사에 가까운 것이다.
– 비판 : 미시사적 미술사학의 문제점
정확히는 곰브리치보다는, 곰브리치적인 미시사적 미술사학의 태도를 가졌을 때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이다.
곰브리치에게 있어 미술은 다른 무엇도 아닌 미술 그 자체를 의미한다.
이 같은 시각은 현대에 접어들어서 크게 비판 받는 부분인데, 곰브리치는 사회, 철학, 경제와 함께 미술이 변화한다는 것은 오류라고 생각했고 곰브리치보다 한두세대 뒤에 태어난 학자들은 오히려 이 같은 부분들을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젊은 세대 학자들의 눈으로 볼 때는 미술이 다른 사회구성요소들과 동떨어져서 존재한다는 시각은 쉽게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특히 예술/비예술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은 현대미술의 사례들을 놓고 보았을 때, 곰브리치의 주장은 지나치게 현실에서 동떨어진 면도 없잖아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 화가들의 행적들을 통해서 점차 발전해나가는 역사를 보여주려는 곰브리치의 시도는 시도만을 놓고 보았을 때는 문제되지는 않지만, 미술사는 이런 서술방식에 지나치게 몰두해버리면 자칫 역사서술인지 경전인지 헷갈릴 지경으로 흘러 갈 수 있다.
즉, ‘영웅주의적’ 서술로 빠지게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것. 이는 곰브리치랑 비슷한 방식으로 교양서들을 쓰는 문필가들이 주로 범하는 오류들이다.
비판자들의 입장에서 이런 서술 방식들은 ‘명작’과 ‘거장’, ‘남성’ 이라는 이른바 기득권자들의 미술사를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 곰브리치를 위한 변호
하지만 위와 같은 비판은 곰브리치 입장에선 심히 억울할수도 있는 부분이다.
곰브리치 본인 역시도 미술과 사회/경제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 연구했던 바도 있고, 미술이 정말 모든 것과 별개인 상태에 놓여져 있는 특별한 무언가라고 생각하지는 않았다.
그의 저서인 《예술과 환영》을 읽다보면 그에 대한 편견이 다소 해소되는데, 예술가와 그의 작품, 그리고 그 작품을 재현하는 방식에는 예술가의 심리에 작용하는 심적인 틀 (mental set)이 작용한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곰브리치가 책에 언급한 사례를 예시로 들어보자면, 이집트의 벽화들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이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몸은 전면을 보는데 얼굴은 측면만 보는 이상한 자세로 표현되는 것만은 아니다.
왜냐면 이집트인들 역시 정면에서 본 인물상을 그릴 수 있었고, 실제로 정면에서 본 인물을 묘사한 벽화도 존재한다.
다만 그렇게 정면의 모습이 묘사된 인물들은 포로나 노예들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이들이 정면 인물상을 그리지 않은 것에는 그 그림을 그리는 인물에게 제약을 가하는 이유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비판 문단에서 나온 것처럼 곰브리치가 미술을 완전히 별개의 존재로 인식했다면, 이런 주장은 나올 수 없다.
○ Honours and awards
Master-Mind Lecture of the British Academy (1957)
Elected to th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1964)
Command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 (1966)
Elected to the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68)
Knight Bachelor (1972)
Austrian Cross of Honour for Science and Art, 1st class (1975)
Pour le Mérite for Sciences and Arts (1977)
Order of Merit (1988)
Balzan Prize for History of Art of the West (1985)
Goethe Prize (1994)
City of Vienna Prize for Humanities (1986)
Ludwig Wittgenstein Prize of the Austrian Science Foundation (1988)
Honorary doctorate from the University of Vienna (1999)
Leverhulme Medal of the British Academy (2002)
In the Favoriten (10th District) of Vienna, the Gombrichgasse was named for him in 2009.
○ 저서
– 주요 저서
서양미술사 (the story of art)
곰브리치 세계사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예술과 환영 (art and mind)
– Selected publications
The Preference for the Primitive. Episodes in the History of Western Taste and Art. London: Phaidon 2002
The Uses of Images. Studies in the Social Function of Art and Visual Communication. London: Phaidon 1999
Topics of Our Time. Twentieth-Century Issues in Learning and in Art. London: Phaidon 1991
Reflections on the History of Art. Views and Reviews. Oxford: Phaidon 1987
Tributes. Interpreters of our Cultural Tradition. Oxford: Phaidon 1984
Ideals & Idols. Essays on Values in History and Art. Oxford: Phaidon 1979
The Sense of Order.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Decorative Art. Oxford: Phaidon 1979
Aby Warburg, an Intellectual Biography. London: The Warburg Institute 1970
The Image and the Eye: Further Studies in the Psychology of Pictorial Representation. Oxford: Phaidon 1982
Studies in the Art of the Renaissance. London: Phaidon 1967–1986 (also published as: Gombrich on the Renaissance.)
1: Norm and Form. 1967
2: Symbolic Images. 1972
3: The Heritage of Apelles. 1976
4: New Light on Old Masters. 1986
Meditations on a Hobbyhorse and other Essays on the Theory of Art. London: Phaidon 1963
Art and Illusion. A Study in the Psychology of Pictorial Representation London: Phaidon 1960
The Story of Art. London: Phaidon 1950
Weltgeschichte von der Urzeit bis zur Gegenwart. Wenen: s.n. 1935 (also published as: Eine kurze Weltgeschichte für junge Leser. Von der Urzeit bis zur Gegenwart.) English translation: A Little History of the World.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