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4월 13일, 미국의 물리학자 존 아치볼드 휠러 (John Archibald Wheeler, 1911 ~ 2008) 별세
존 아치볼드 휠러 (John Archibald Wheeler, 1911년 7월 9일 ~ 2008년 4월 13일)는 미국의 이론물리학자이다.
그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서 일반 상대성이론에 대한 관심을 되살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휠러는 또한 닐스 보어와 함께 핵분열의 기본 원리를 설명했다.

– 존 아치볼드 휠러 (John Archibald Wheeler)
.출생: 1911년 7월 9일, 미국 플로리다 잭슨빌
.사망: 2008년 4월 13일, 미국 뉴저지 하이츠타운
.배우자: 자넷 헤그너 (1935 ~ 2007)
.자녀: 제임스 잉글리쉬 휠러, 레티티아 휠러 어포드, 앨리슨 휠러 란스톤
.유명한 제자: 리처드 파인만, 킵 손, 찰스 W. 마이즈너, 휴 에버렛 3세, 야코브 베켄슈타인 등
휠러는 그레고리 브라이트 (Gregory Breit)와 함께 브라이트-휠러 프로세스 (Breit–Wheeler process)의 개념을 개발했다.
그는 20세기 초에 이미 예측된 중력 붕괴가 있는 물체에 대해 “블랙홀”이라는 용어를 대중화 시켰으며, “양자 거품 (quantum foam)”, “중성자 감속재”, “웜홀” 및 “비트로부터 그것”라는 용어를 발명했고 또한 “단일 전자 우주 (one-elecron universe)”를 가정한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 생애 및 활동
존 아치볼드 휠러 (John Archibald Wheeler, 1911 ~ 2008)는 1911년 7월 9일, 미국 플로리다 잭슨빌에서 출생했다.
휠러는 칼 헤르츠펠트 (Karl Herzfeld) 지도하에 존스 홉킨스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고 국립 연구 위원회 장학금으로 브라이트와 보어 밑에서 공부했다.
1939년에 그는 보어와 협력하여 핵분열 메커니즘을 설명하기 위해 액체 방울 모형 (liquid drop model)을 사용하여 일련의 논문을 작성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그는 시카고에 있는 맨해튼 프로젝트의 야금 연구소 (Metallurgical Laboratory)에서 원자로 설계를 도운 후 워싱턴 주 리치랜드에 있는 핸퍼드 사이트에서 듀폰의 건설을 도왔다.
그는 전쟁이 끝난 후 프린스턴으로 돌아왔지만 1950년대 초에 수소폭탄 설계 및 제작을 돕기 위해서 정부에 복귀했다.
휠러는 경력의 대부분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물리학 교수로 재직했으며, 1938년에 합류하여 1976년 은퇴할 때까지 남아 있었다.
그는 프린스턴에서 프린스턴 물리학과의 다른 어떤 교수보다 많은 46명의 박사 과정 학생들을 지도했다.
- 사망과 유산
휠러는 1966년 미국 성취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chievement)의 골든 플레이트 어워드 (Golden Plate Award), 1968년 엔리코 페르미 상, 1969년 플랭클린 매달 (Franklin Medal), 1969년 아인슈타인 상 (Einstein Prize), 1971년 국가 과학 메달 (National Medal of Science), 1982년 낼스 보어 국제 금메달 (Niels Bohr International Gold Medal), 1983년 외르스테드 메달, 1984년 J.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 (J. Robert Oppenheimer Memorial Prize), 1997년 울프 재단상 등 수많은 상과 어워드 (award)를 수상했다.
그는 미국철학학회, 왕립예술원, 린체이 아카데미 및 세기 협회 (Century Association)의 회원이었다. 그
는 18개의 다른 기관에서 명예 학위를 받았다.
2001년 프린스턴은 300만 달러의 기부금을 사용하여 존 아치볼드 휠러 / 바텔 물리학 교수직 (John Archibald Wheeler / Battelle Professorship in Physics)을 설립했다. 그가 사망한 후, 텍사스 대학은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존 A. 휠러 강당 (John A. Wheeler Lecture Hall)을 명명했다.
2008년 4월 13일, 휠러는 뉴저지주 하이츠타운 (Hightstown)에서 96세의 나이로 폐렴으로 사망했다.

- 지도 학생
야코브 베켄슈타인
휴 에버렛 3세
케네스 W. 포드
로버트 게로크
존 클로더
찰스 미스너
킵 손
제이미 티옴노
아서 와이트먼
로버트 발드
리처드 파인먼
존 S. 톨
W. G. 운루
- 주요 업적
브라이트-휠러 프로세스
휠러-디윗 방정식
“블랙홀” 용어 대중화
핵분열
기하동역학
일반 상대성이론
통일장이론
휠러-파인만 흡수체 이론
휠러의 지연 선택 실험
단일 전자 우주
기언
S-행렬
양자 거품
“중성자 감속재” 신조어
“초공간” 신조어
“웜홀” 신조어
로렌츠 웜홀
“비트로부터 그것”
참여적 인류 원리
- 수상
A. 크레시 모리슨 상 (1945)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상 (1965)
엔리코 페르미 상 (1968)
프랭클린 메달 (1969)
국가 과학 메달 (1970)
외르스테드 메달 (1983)
로버트 오펜하이머 기념상 (1984)
아인슈타인 메달 (1988)
마테우치 메달 (1993)
울프 상 (1997)
아인슈타인 상 (2003)

○ 저서
Wheeler, John Archibald (1962). Geometrodynamics. New York: Academic Press.
Harrison, B. Kent; Kip S. Thorne; Masami Wakano; John Archibald Wheeler (1965). Gravitation Theory and Gravitational Collapse.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isner, Charles W.; Kip S. Thorne; John Archibald Wheeler (September 1973). Gravitation. San Francisco: W. H. Freeman.
Wheeler, John Archibald (1979). Some Men and Moments in the History of Nuclear Physics: The Interplay of Colleagues and Motivation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Wheeler, John Archibald (1987). Cosmology, Physics and Philosophy (2nd ed.). New York: Springer Verlag.
Wheeler, John Archibald (1990). A Journey Into Gravity and Spacetime. Scientific American Library. New York: W.H. Freeman.
Taylor, Edwin F.; Wheeler, John Archibald (1992). Spacetime Physics: Introduction to Special Relativity. New York: W. H. Freeman.
Wheeler, John Archibald (1994). At Home in the Universe. New York: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Ciufolini, Ignazio; Wheeler, John Archibald (1995). Gravitation and Inertia.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Wheeler, John Archibald (1998). Geons, Black Holes, and Quantum Foam: A Life in Physics. New York: W.W. Norton & Co. Arrow/scrollable preview.
Taylor, Edwin F.; Wheeler, John Archibald (2000). Exploring Black Holes: Introduction to General Relativity. Addison Wesley.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