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12월 30일, 영국의 교육철학자 리처드 스탠리 피터스 (Richard Stanley Peters, 1919 ~ 2011) 별세
리처드 스탠리 피터스 (Richard Stanley Peters, 1919년 10월 31일 ~ 2011년 12월 30일)는 영국의 철학가로 주로 정치 이론, 심리철학, 교육철학을 연구했다.
– 리처드 스탠리 피터스 (Richard Stanley Peters)
.출생: 1919년 10월 31일, 인도 우타라칸드 주
.사망: 2011년 12월 30일, 영국 런던
.직업: 철학가로 (정치 이론, 심리철학, 교육철학)
○ 생애 및 활동
1919년 인도 우타라칸드 주에서 태어난 피터스는 잉글랜드에서 할머니와 시간을 보냈다.
피터스는 1933년에서 1938년 서머싯주에 있는 시드코트 스쿨 (Sidcot School)에 다녔으며 조지 오웰의 제자였다.
1940년에서 1944년 영국군 의료부대에 있었다. 1942년에 결혼 후 1남 2녀를 두었다.
- 학문 경력
1942년 옥스포드 대학교 퀸스 칼리지 (Queen’s College)에서 문학사 학위를 받았고, 1944년 시드코트 그래머 스쿨 (Sidcot Grammar School)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
피터스는 그가 철학과 심리학을 배운 런던 대학교 버크벡 칼리지 (Birkbeck College)에서 시간강사가 됐으며, 1949년에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1958년까지 풀타임 강사로 일하고, 1962년까지 철학과 부교수였다.
1961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1년 간 교육학 객원교수로 일한 후 오스트레일리아 국립 대학교로 전직했다.
1962년부터 1983년에 은퇴할 때까지 런던 대학교에서 1947년 세워진 교육원에서 교육철학 교수로 일했으며, 1971년에는 학과장을 지냈다.
그의 지도 하에 교육원은 빠르게 성장했고 잉글랜드 교육철학 발전에 큰 영향을 줬다. 그곳에서 피터스는 나중에 킹스 칼리지 런던과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가 된 폴 H. 허스트와 협력했다.
그가 재직했었을 때 졸업한 다른 유명 학생들로는 R. K. 엘리엇, 데이비드 쿠퍼, 존 화이트, 파트리샤 화이트, 로버트 디어든 등이 있다.
- 교육철학에 끼친 영향
피터스는 특히 교육철학 연구로 알려져 있으나 초기 연구분야는 심리학에 대한 철학적 관점들과 관련이 있다. 그러므로 피터스의 연구분야는 동기, 감정, 성격, 사회적 행동, 이성과 갈망 (reason and longing) 사이의 관계였다.
윤리학과 교육을 포함하는 저작 활동을 통해 교육철학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영향은 분석철학적 관점에서 교육 개념을 연구한 결과였다. 피터스는 규범과 인지 (normative and cognitive)라는 교육철학의 중요한 두 요소들을 연구했다.
피터스는 교육의 개념을 분석철학적규범적 관점과 성년식의 관점에서 규정하고 있다. 그에 의하면, 교육은 ‘모종의 가치 있는 것을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의도적으로 전달하는 일’이며, 여기에는 교육 개념이 충족시켜야 할 세 가지 준거, 즉 규범적, 인지적, 과정적 준거가 포함되어 있다. 요컨대 교육은 다름 아닌 ‘교육의 세 가지 준거를 만족시키는 방향으로 가치 있는 활동에의 입문’이다.
- 사망
리처드 스탠리 피터스 (Richard Stanley Peters)는 2011년 12월 30일, 영국 런던에서 별세했다.
○ 피터스가 중시한 교육의 목적
피터스가 중시한 교육의 목적은 3가지 개념적 준거, 즉 규범적, 인지적, 과정적 준거를 실현하는 일이다. 교육받은 인간인 자유인은 교육의 준거를 충족시킨 사람이며, 자유인을 기르는 자유교육은 그런 준거를 충족시키는 교육이다.
또한 피터스는 교육을 성년식에 비유하여 미성숙한 아동을 ‘문명의 삶의 형식’으로 입문시키는 과정이라고 본다.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해서는 문명화된 삶의 형식을 갖추어야 하는 것이고, 이러한 형식을 체계화한 것이 바로 지식이 된다.
- 정의
“교육은 교육의 개념 안에 붙박여 있는 가치를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에 의해 의도적으로 전달하는 행위이다”
“교육의 개념 안에 붙박여 있는 3가지 준거를 모두 충족시키는 방향으로, 가치 있는 활동 또는 사고와 행동의 양식으로 사람들을 입문시키는 성년식이라고 할 수 있다.”
- 교육의 준거
.규범적 준거 (교육 목적)
교육은 내재적 가치를 실현하는 것으로 바람직한 것을 전달하고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지 다른 것의 수단이 되어서는 안된다. 교육의 내재적 가치는 교육의 외재적 가치와 비교할 때 더욱 분명해진다. 교육의 외재적 가치는 ‘수단적 가치’ 혹은 ‘도구적 가치’라 불리며, 교육이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 가치를 말한다. 교육의 외재적 가치는 교육개념과 논리적으로 관련된 가치가 아니라 사실적, 경험적으로 관련된 가치다.
.인지적 준거 (교육 내용)
교육은 지식, 이해, 모종의 지적 안목을 길러주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지식의 형식이 교육의 내용이 되어야 한다.
인지적 준거는 규범적 준거, 즉 내재적 가치가 ‘내용’면에서 구체화된 것으로 피터스의 교육개념의 핵심을 이루는 것이다. 요컨대, 피터스에 의하면 교육받은 사람은 모종의 정신 상태를 성취한 사람이다. 그 정신 상태란 바로 교육내용을 통달하고 그것을 소중히 여기는 상태며, 그 내용을 모종의통합된 안목을 가지고 볼 수 있는 상태다.
.과정적 준거 (교육 방법)
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행위이므로 그 방법 역시 인간을 존중하는 것이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의 이해와 자율성에 토대를 두고 도덕적 방법으로 의도적으로 실현해야 한다.
과정적 준거는 규범적 준거가 방법 면에서 상세화된 것, 즉 내재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법상의 원리를 밝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피터스는 교육의 과정적 준거와 관련하여, “교육은 최소한의 학습자 의식과 자발성을 전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러한 것이 결여된 몇 가지 전달과정들은 교육에서 제외된다”라고 하였다.
교육의 과정적 준거에서 교육은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도덕적으로 온당한 방식으로 전달한다’는 것은 적어도 학습자에게 최소한의 의식과 자발성이 있는 형태로 가르쳐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그러한 의식과 자발성이 없는 형태로 가르쳐지는 ‘조건화’나 ‘세뇌’ 등은 과정적 기준에서 볼 때 ‘교육이라 부를 수 없다.
- 내재적 가치
내재적 가치란 어떤 다른 목적을 위한 수단으로서가 아닌, 활동 그 자체에 들어 있는 가치를 말한다. 어떤 활동이 내재적 가치가 있다는 것은, 그 활동의 가치가 그 활동과 개념상으로 무관한 다른 어떤 것에 의해서가 아니라, 그 활동 자체에 의해서 규정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따라서 내재적 가치에 관심을 가질 경우에는 내재적 가치가 있는 활동이 어떤 것이며, 왜 그것이 가치가 있는가를 설명하는 데 관심을 갖게 된다.
피터스와 허스트는 그들이 제시한 지식의 형식이 바로 이러한 내재적 가치를 가진다고 본다. 그리고 이들은 모든 학생들이 그들이 심리적으로 좋아하든 싫어하든 간에 이러한 내재적 가치가 있는 지식의 형식을 배워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에 대해 이들이 제시한 지식의 형식이 과연 내재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지, 왜 모든 학생들이 이러한 지식의 형식을 배워야만 하는지 등의 의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의문에 대해 피터스와 허스트는 선험적 정당화 논의를 사용하여 답한다.
- 선험적 정당화
선험적 정당화란 개인이 받아들이는가 아닌가와 무관하게 성립하는 그러한 정당화이다. 피터스와 허스트에 의하면, 지식의 형식의 내재적 가치는 다음과 같이 선험적으로 정당화된다.
논리학과 수학, 자연과학 등 여러지식의 형식들은 인간이 장구한 세월 동안 누적적으로 발전시켜온 경험의 상이한 측면을 각각 개념적으로 체계화한 것이다.
이미 지적한 바 있듯이, 수학은 우리 삶 속에서 경험하는 수학적 내용을 체계화한 것이며, 자연과학은 자연과학적 경험을 체계화한 것이다. 이러한 체계화는 특정 개인의 취향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인류가 오랫 동안 공동으로 발전시키고 엄밀하게 정련시켜온 것이라는 점에서 공적인 성격을 지닌다.
다시 말하면 여러 지식의 형식들은 우리 살므이 공적 전통을 체계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가 이 세상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좋아하든 싫어하든 간에 우선적으로 이 공적 전통의 체계, 즉 지식의 형식을 알 필요가 있다.
여기서 공적 전통의 체계라고 할 수 있는 지식의 형식은 우리의 선호와 상관없이 우리 삶에 이미 주어진 것이라는 점에서, 그리고 이에 입문되지 않으면 주어진 삶을 원만하게 살아갈 수 없다는 점에서 우리 삶의 선험적.논리적 전제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전통적으로 가르쳐온 지식의 형식은 그 자체의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이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이 지식의 형식에 입문되지 않으면 안 된다.
○ Works
R. S. Peters: Hobbes, Harmondsworth, Middlesex: Penguin, 1956.
R. S. Peters: The Concept of Motiv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58
R. S. Peters: “Education as initiation”, 1964, in R. D. Archambault, ed.: Philosophical analysis and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5, pp. 87–111
R. S. Peters: Ethics and education. 5th e, George Allen & Unwin Ltd, 1968. In German: R. S. Peters: “Ethik und Erziehung”. In: W. Loch, H. Paschen and G. Priesemann, eds: Sprache und Lernen. Internationale Studien zur pädagogischen Anthropologie, Band 19, Düsseldorf, 1972
R. S. Peters: “The philosophy of education”, 1966, in J. W. Tibble, ed.: The Study of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6, pp. 59–89
R. S. Peters: “What is an educational process?”, 1967, in R. S. Peters, ed.: The Concept of Education, Routledge & Kegan Paul, 1967, pp. 1–23
R. S. Peters: “Michael Oakeshott’s philosophy of education”, 1968, in R. S. Peters: Essays on Educators, George Allen & Unwin, London, 1981, pp. 89–109
R. S. Peters and P. H. Hirst: The Logic of Education. 2nd ed., Routledge & Kegan Paul, 1971, In German: P. H. Hirst and R. S. Peters: Die Begründung der Erziehung durch die Vernunft, in W. Loch, H. Paschen and G. Priesemann, eds: Sprache und Lernen. Internationale Studien zur pädagogischen Anthropologie, Band 18, Düsseldorf, 1972
R. F. Dearden, P. H. Hirst and R. S. Peters, eds: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Reason, Routledge & Kegan Paul, 1972
R. S. Peters, ed.: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73
R. S. Peters: Psychology and Ethical Development. A collection of articles on psychological theories, ethical development and human understanding, George Allen & Unwin, 1974
R. S. Peters: Education and the Education of Teachers, Routledge & Kegan Paul, 1977
R. S. Peters, ed., John Dewey Reconsidered,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77)
R. S. Peters: Moral Development and Moral Education, George Allen & Unwin, 1981
R. S. Peters: “Philosophy of education”. In P. H. Hirst, ed.: Educational theory and its foundation disciplines. Routledge & Kegan Paul, 1983, pp. 30–61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