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8일, 영국 여성총리 ‘철의 여인’ 마거릿 대처 (Margaret Hilda Thatcher, 1925 ~ 2013) 별세
마거릿 힐더 대처 (Margaret Hilda Thatcher, Baroness Thatcher, Baroness Thatcher, LG, OM, 1925년 10월 13일 ~ 2013년 4월 8일)은 1979년부터 1990년까지 영국의 총리를 지낸 정치가이자, 영국 최초의 여성 보수당 당수이다.

– 마거릿 대처 (Margaret Thatcher)
.본명: 마거릿 힐다 새처 (Margaret Hilda Thatcher)
.출생: 1925년 10월 13일, 영국 잉글랜드 링컨셔 주 그랜섬
.사망: 2013년 4월 8일 (향년 87세), 영국 잉글랜드 런던 웨스트민스터
*제71대 총리
.재임기간: 1979년 5월 4일 ~ 1990년 11월 28일
집권 후 긴축재정을 실시하였고, 물가 인상 억제, 소득세 감면, 소비세와 간접세 증가, 은행 금리와 이자율 증가, 정부 규모 축소, 실력 성과제도 도입, 민간 기업의 업무 간소화 등을 추진하였다.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의 서머빌 칼리지에서 법학과 화학을 전공하고, 1959년 보수당 영국 하원 의원에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하였다.
이후 1961년∼1964년 연금ㆍ국가보험 정무담당 차관, 1970년~1974년 보수당 히스 내각의 교육부장관, 과학부장관을 지냈다.
1975년에는 보수당의 당수로 선출되어 영국 최초의 여성 당수가 되었다.
1979년 총선거에서는 노동당의 제임스 캘러헌 전 수상을 누르고 승리하여 첫 여성 총리가 됐다.
1982년 아르헨티나와의 포클랜드 전쟁에서 승리했다.
이후 지속적으로 국민의 지지를 얻어 1987년 총선거에 의해 3선에 성공하였고, 20세기 영국 총리 중 가장 긴 11년 7개월의 재임기간을 지낸 최장수 총리이다.
별명은 철의 여인 (Iron Lady)이며, 그녀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 《철의 여인》이 있다.

○ 마가렛 대처 주요 연혁
1925
그랜덤에서 식료품 잡화상의 딸로 태어남
1943
옥스퍼드 대학 화학과 입학
학생 보수 연합의 회장
1940 후반
화학 분야 연구원으로 근무
1950
다트포드 지역 보수당 후보로 선거에 나갔으나 낙선
1951
성공한 사업가인 데니스 대처와 결혼
1953
법정 변호사로 인정받음
쌍둥이 남매인 캐롤과 마크 출산
1959
핀칠리 지역 공화당 후보로 의원 선거에 나감 – 당선 하원 의사당 입성
1970
에드워드 히스 수상에 의해 과학기술 교육부 장관으로 선임
1974
히스 정부의 총선 실패에 이어, 보수당 당수 후보로 출사표
1975
보수당 당수로 선출
1976
공산주의에 강경하게 반대하는 정치적 입장을 견지하여 러시아로부터 ‘철의 여인’이라는 칭호를 얻음
1979
총선에서 보수당을 승리로 이끌고 영국 최초의 여성 수상이 됨
북 아일랜드 장관이자 친한 친구이며 조언자인 에이리 니브가 INLA의 자동차 폭탄 테러로 사망
1980
경기침체와 고 실업율에 맞서 긴축정책을 펼침
1981
영국 전역에서 시위가 벌어짐
PIRA, INLA 소속의 수감자들이 메이즈 수용소에서 단식투쟁을 선언
미국 방문시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을 만나 든든한 개인적 유대를 만듬

1982
아르헨티나와의 포클랜드 제도 전쟁에서 승리
1983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며 수상 두번째 임기 시작
1984
보수당 당회가 열린 브라이튼 그랜드 호텔에서 IRA 폭탄 테러 발생, 극적 생존
일 년 넘게 지속된 광부들의 탄광 폐쇄 조치 반대 시위 시작
1986
시 “빅뱅” 금융 규제 완화가 경제적 호황을 촉발
1987
총선에 승리, 수상 세번째 임기 시작
1989
베를린 장벽 붕괴. 독일 통일
1990
“인두세(Poll Tax)” 도입
유럽 지역 전체와 정치, 경제적 통합을 거부하여 보수당의 분열을 야기
반(反) 인두세 시위를 비롯, 사회적 혼란
이전 주요 우방세력이던 제퍼리 하우가 사임하여 마거릿 대처에 맞서는 보수당 당수직에 도전 선언
지지세력이 와해되고 수상직에 물러서며 다우닝가 총리관저를 떠남
2002
수 차례의 경미한 뇌졸증을 일으키고 대중 연설에서 물러날 것을 선언
2003
남편 데니스 대처 사망 이후 런던에서 조용히 살며 가끔 사람들 앞에 모습을 드러냄
2013년 4월 8일 (향년 87세), 영국 잉글랜드 런던 웨스트민스터에서 별세

○ 평가
사회학자 송호근은 기술관료적 성격을 갖는 정치인이라면 불가능했을 사회혁신을 특유의 정치력으로 밀어붙인, “카리스마적인 정치지도자” 중 한 명으로 대처 수상을 언급했다. 국민소득 1만 달러 시점에 분배구조와 복지개혁에 주력하며 노사협력 제도를 창안해 정착시키고, 사회적 투명성과 합리성을 증진하는 제도는 물론 상호신뢰를 높이는 각종 제도를 도입했던 선진국 지도자들 중 하나라는 것이다.
다만 민영화 남발과 각종 정책의 실책, 그리고 아들인 마크 대처의 범죄행위와 아파르트헤이트 및 칠레의 독재자인 아우구스토 피노체트 옹호 등으로 많은 비판이 있는 인물이며 마거릿 대처가 사망한 당일 영국에서는 축하 파티를 벌일 정도로 마거릿 대처를 부정적으로 보는 영국인들도 많다.
사적으로는 가정에 문제가 많았으며 자녀교육에 크게 실패했다. 아들 마크 대처는 무기 밀매, 쿠데타를 부추기기, 내전 관여 등으로 인해 중동과 아프리카 최대의 골칫거리가 되었다.
○ 서훈 경력
1991년 오더 오브 메리트(Order of Merit, OM)
1992년 남작 작위(Baroness Thahcher of Kesteven) 서임, 귀족원 의원(보수당)
1995년 가터 훈장(The Order of the Garter, LG)
○ 기타
대처의 별명 ‘철의 여인’ (Iron Lady)을 영화화한 영화 ‘철의 여인’이 있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