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16일,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 외르크 데무스 (Jörg Demus, 1928 ~ 2019) 별세
외르크 데무스 (독: Jörg Demus, 1928년 12월 2일 ~ 2019년 4월 16일)는 오스트리아의 피아니스트이다.
파울 바두라스코다, 프리드리히 굴다 등과 함께 빈의 트리오로 불리며, 솔로 외에도 바두라스코다와 협연하기도 하고, 디트리히 피셔디스카우의 <겨울 나그네> 전곡의 반주를 하였다. 유순하고 밝은 성격이 연주에 항상 반영되었다. 드뷔시의 작품과 슈베르트의 작품 연주가 훌륭하다.

– 외르크 데무스 (Jörg Demus)
.출생: 1928년 12월 2일, 오스트리아 니더외스터라이히주 장크트푈텐
.사망: 2019년 4월 16일 (90세), 오스트리아 빈
.국적: 오스트리아
.직업: 피아니스트, 작곡가
.장르: 클래식 음악
.악기: 피아노
미술사학자 오토 데무스와 콘서트 바이올리니스트 에리카 데무스의 아들이었다. 6살 때 첫 피아노 수업을 받았고 11살에 빈 음악 아카데미에 입학하였다. 그곳에서 1945년까지 오르간, 피아노, 작곡, 오케스트라 지휘를 공부하였다. 1943년 빈 음악협회의 브람스 홀에서 첫 피아노 독주회를 열었다.
1945년, 전쟁이 끝날 때 징집이 되었다. 오버외스터라이히주에 침투하였고 영국 전쟁 포로 상태에 들어가 약 6주 후에 풀려났다.
1950년, 런던에서 국제적인 경력을 시작하였다. 1951년 – 1953년, 파리에서 이브 나트와 함께 공부한 뒤 자르브뤼켄에서 발터 기제킹과 공부하였다. 1956년, 볼차노에서 열린 페루초 부소니 국제 피아노 대회에서 1등 상을 받았다. 1970년, 장크트푈텐의 야코프 프란트타우어 과학 예술상을 수상하였다.
한편 빈과 슈투트가르트 음악대학에서 가르치고 다수의 음악 이론 에세이 및 책을 출판하였다. 연주 시에 포르테 피아노 부활에 특별한 공헌을 하였다. 많은 녹음에서 기술적인 결함에도 오래된 원전 악기를 사용하여 높은 수준의 진정성을 달성하였다.

○ 생애 및 활동
피아니스트 외르크 데무스는 1928년 12월 2일, 오스트리아의 상 푈텐 (St. Polten)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콘서트 바이올리니스트였고, 아버지 오토 데무스 (Otto Demus)는 저명한 미술사가 (美術史家)로 교수였다.
- 주요 활동
그는 6세 때부터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하였으며, 11세 때에 비엔나 음악아카데미 (Vienna Academy of Music)에 입학하여 피아노와 지휘를 공부하였고, 1945년에 졸업하였다.
그뒤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하며 발터 케슈바우머 (Walter Kerschbaumer)에게 피아노를, 칼 발터 (Karl Walter)에게 오르간을, 한스 스바로프스키 (Hans Swarowsky)와 요제프 크립스 (Joseph Krips)에게서 지휘를, 그리고 조셉 마르크스 (Joseph Marx)로부터 작곡을 배웠다.
비엔나에서의 공부를 마친 뒤, 그는 파리로 가서 1951-1953년까지 피아니스트 이브 나트 (Yves Nat)에게 피아노를 사사했다.
이어 자르부뤼켄 음악원 (Saarbrücken Conservatory)의 발터 기제킹 마스터클래스에 참가하여 배웠고, 그 후 빌헬름 켐프 ,에드윈 피셔, 아르트로 베네데티-미켈란젤리 의 지도를 받았다.
외르크 데무스는 14세 때인 1943년 빈 악우협회 (樂友協會) 주최 연주회에서 데뷔하였으며, 1947년에는 동 협회의 명예상을 받기도 하였다.

이듬해인 1948년 이후 유럽을 비롯하여 전 세계 각지에서 활발한 연주여행을 하였는데, 1950년에 취리히와 런던에서 데뷔무대를 가졌다.
1951년에는 남아메리카로 연주활동을 넓혔고, 1953년 파리 살 가보에 데뷔하였다.
이 공연에 대해 저명한 음악 평론가인 클라렌든 (Clarendon)은 “Jörg Demus joue et gagne” 이란 타이틀 아래 열광정인 평을 썼다.
1956년 외르크 데무스는 이탈리아 볼자노에서 열린 꼬르짜노 국제 피아노 콩쿠르에서 부조니상을 수상하였다.
그후 그는 뉴욕 데뷔를 시작으로 미국 투어 및 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등지로 순회연주를 가졌으며, 수년 동안 국제 페스티발에 고정적으로 초대되어 연주하였다.
그는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요제프 크립스, 앙드레 클뤼탕, 볼프강 자발리쉬, 세이지 오자와 등의 지휘로 협연하였다.
극히 개인적인 행위인 연주예술에 종사하는 음악가들도 고도로 발달된 정보사회화의 거친 파도에 휘말려서 그 표현의 민족성 같은 것을 많이 잃어 가고 있다.
그러나 빈에서 활약하고 있는 연주가들은 비교적 전통이란 것이 평온하게 보전되어 있는 상황에 익숙한 때문인지 지나치게 자극적인 연주는 하지 않는다.
외르크 데무스도 그런 연주가들 중 한사람이다.
데무스는 현재까지 약 350장의 LP, CD, 비디오를 출반하였으며, 세계의 여러 음반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가 발표한 앨범은 상당히 많으며, 그의 레퍼토리 역시 바하에서 드뷔시에 이르기까지 대단히 폭넓다.
특히 그 자신이 말하듯 1970년 이후로 바하에 깊히 경도 (傾倒)하고 있어 <골드베르크 변주곡> 같은 연주는 뛰어난 수확이다.
낭만파의 것으로는 슈베르트와 슈만이 그의 연주체질에 가장 잘 맞는것 같다.

슈베르트의 작품으로는 <악흥의 때>와 작품 90의 <즉흥곡> 결합반, 작품 142의 <즉흥곡>과 <3개의 피아노 소품> 결합반, <피아노를 위한 무곡집> 등 3가지, 슈만의 것으로는 <교향 연습곡>과 작품 17의 <환상곡> 등이 뛰어나다.
실내악을 연주한 것으로는 바릴리 현악 4중주단과의 협연이나 피셔-디스카우의 반주자로서 연주한 것들이 뛰어나다.
바릴리 현악 4중주단과 협연한 브람스의 <피아노 4중주 제1번>, <제2번>, <제3번>의 앨범과 비인 콘체르트하우스 현악 4중주단과 협연한 브람스의 <피아노 5중주>, 피셔-디스카우와 슈베르트 <겨울 나그네>의 반주, 슈만 가곡집 <리더크라이스>와 <시인의 사랑> 결합반 반주 등은 그가 단지 비루투오소일 뿐만 아니라 폭넓고 풍부한 음악성의 소유자임을 입증해주고 있다.
또한 그는 “Abenteuer der Interpretation”이란 제목의 음악 에세이와 베토벤 소나타에 관한 책이 있으며,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트리오>, 그리고 피아노 솔로를 위한 다수의 작품을 작곡 발표하였다.
그리고 잘츠부르크 근방에 위치한 외르크 데무스 박물관 “피아노의 역사”는 현재 많은 관람객의 발길을 모으고 있다.
외르크 데무스는 베토벤 탄생 200주년에 본에서 열린 베토벤 페스티벌에서 연주하는 영예를 얻었으며, 1977년 비엔나 베토벤 협회 베토벤-링 상, 1979년 비엔나 모차르트 협회의 모차르트 메달, 1986년 츠비카우 슈만상을 수상하였고, 1981년에는 아머스트 (Amherst)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

- 앨범
1.Schubert – Four Hand Piano Music / Paul Badura-Skoda, Joerg Demus [Westminster – WL 5047, 1950]
2.Mozart – Sonata, B Flat Major, K.358; Sonata, D Major, K.381; Sonata, G Major, K.357 for Piano Four Hands / Joerg Demus, Paul Badura-Skoda [Westminster – WL 5060, 1951]
3.Beethoven – Sonatas: Opus 109 In E Major; Opus 110 In A Flat Major / Jörg Demus [Remington – RLP-199-29, 1951]
4.Mozart – Sonata, F Major, K497 & Sonata, C Major, K.521 / Paul Badura-Skoda, Joerg Demus [Remington – WL 5082, 1951]
5.Franz Schubert – Grand Duo in C, opus 140 / Joerg Demus, Paul Badura-Skoda [Nixa – WLP 5093]
6.Schumann – Kreisleriana • Romance, Op. 28, No. 2 • Toccata / Joerg Demus [Westminster – WL 5142, 1952]
7.Bach – Goldberg Variations / Joerg Demus [Westminster – WL 5241, 1953]
8.Demus Plays Schumann Concerti / Joerg Demus, The Orchestra Of The Vienna State Opera, Artur Rodzinski [Westminster – WL 5310, 1954]
9.Demus Plays Bach – The Well-Tempered Clavier Nos. 17-24 [Vol. II] [Westminster – XWN 18199, 1956]
10.Johannes Brahms – Vier Ernste Gesänge Op. 121 ‧ Anton Dvorak – Aus Den “Biblischen Liedern” Op. 99 / Dietrich Fischer-Dieskau,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138 644 SLPM, 1958]

11.Debussy – Images I • Children’s Corner • Suite Bergamasque; Danse /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LPM 18 663, 1961]
12.Schubert – Lieder; Spiegel Der Antike / Dietrich Fischer-Dieskau,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LPM 18 715, 1962]
13.Chopin • Schubert – Ausgewählte Meisterwerke / Tamás Vásáry, Amadeus-Quartett, Trio Di Trieste,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104 407, 1965]
14.Robert Schumann – Dichterliebe • Liederkreis Op. 24 / Dietrich Fischer-Dieskau,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139 109 SLPM, 1965]
15.Franz Schubert – Winterreise D.911 (Op. 89) • 6 Lieder / Dietrich Fischer-Dieskau,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139 201/02, 1966]
16.Carl Loewe – Balladen / Dietrich Fischer-Dieskau, Jörg Demus [Deutsche Grammophon – 139 416, 1969]
17.Mozart – Sonaten C-Dur KV 330, A-Dur KV 331; Rondo A-Moll KV 511; Fantasie C-Moll KV 475 / Jörg Demus [Harmonia Mundi – 29 21413-3, 1972]
18.Robert Schumann – Die Alten Lieben Lieder / Elly Ameling, Jörg Demus [Harmonia Mundi – 20 29369-6, 1973]
19.Johannes Brahms – Sonaten Für Violoncello Und Klavier / Ludwig Hoelscher, Jörg Demus [MPS Records – 25 21810-4, 1973]
20.Ludwig van Beethoven – Das Gesamtwerk Für Violoncello Und Klavier / Ludwig Hoelscher, Jörg Demus [MPS Records – 49 21984-4, 1974]
21.Robert Schumann – Kinderszenen, Papillons, Waldszenen / Jörg Demus Am Hammerflügel [BASF – CVH 327, 1975]
22.Schubert – Forellen-Quintett & Sonatine A-Moll / Jörg Demus, Schubert-Quartett, Wolfgang Schneiderhan, Walter Klien [Deutsche Grammophon – 2535 225, 1977]
23.Schubert • Schumann – The Artistry Of Elly Ameling Featuring Selections Of Schubert And Schumann / Elly Ameling, Jörg Demus, Hans Deinzer [Quintessence – 2PMC-2710, 1980]
24.Schubert – Forellenquintett • Notturno Es-dur / Mitglieder Des Collegium Aureum, Jörg Demus [Orbis – 61134, 1990]
25.Beethoven – Sonate As-dur Op. 110 • Sechs Bagatellen Op. 126 / Jörg Demus [Deutsche Harmonia Mundi – HM 30 177 L, 1994]
26.Schubert – Sonaten / Jörg Demus [Deutsche Harmonia Mundi – 29 21357-9, 1995]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