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월 23일, 미국의 물리학자 스티븐 와인버그 (Steven Weinberg, 1933 ~ 2021) 별세
스티븐 와인버그 (Steven Weinberg, 1933년 5월 3일 ~ 2021년 7월 23일)는 미국의 물리학자이다.

– 스티븐 와인버그 (Steven Weinberg)
.출생: 1933년 5월 3일, 미국 뉴욕 뉴욕
.사망: 2021년 7월 23일, 미국 텍사스 오스틴
.부모: 에바 와인버그, 프레데릭 와인버그
.배우자: 루이스 와인버그 (1954 ~ )
.자녀: 엘리자베스 와인버그
.직업: 물리학자
.종교: 무종교 (무신론)
.수상: 대니 하이너먼 수리물리학상 (1977년), Elliott Cresson Medal (1979년), 노벨 물리학상 (1979년) 등
1957년 프린스턴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7∼1959년 컬럼비아대학, 1959∼1960년 로렌스방사능연구소, 1960∼1969년 버클리의 캘리포니아대학 조교수 ·연구원 등을 거쳐, 1969∼1973년 MIT 물리학 교수, 1973년 하버드대학 교수 겸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 주임연구원, 1983년 텍사스대학 교수가 되었다.
2021년 7월 23일 향년 88세의 나이로 타계했다.
1979년 글래쇼, 와인버그, 살람 세 사람은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리고 이들의 이론은 이들의 이름을 합쳐 GWS모형이라고 불리게 된다.

○ 생애 및 활동
스티븐 와인버그 (Steven Weinberg, 1933년 5월 3일 ~ 2021년 7월 23일)는 1933년 5월 3일, 미국 뉴욕에서 출생했다.
뉴욕 맨해튼의 브롱스 과학고등학교 (Bronx High School of Science)를 졸업하였으며, 1979년 노벨 물리학상 공동수상자인 셸던 글래쇼와 고교 동기이다.
1950년 코넬 대학교에 입학하여 1954년 졸업했다.
이어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1957년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1979년 압두스 살람과 셸던 글래쇼와 함께, 입자물리학 표준 모형의 바탕을 이루는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을 통합하는 이론 (글래쇼 살람 와인버그 이론)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그는 2021년 7월 23일,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별세했다.
- 학력
1946년~1950년: 브롱크스 과학고등학교 (졸업)
1950년~1954년: 코넬 대학교 (학사)
1954년~1957년: 프린스턴 대학교 (박사)

- 업적
양자론부터 우주론까지 다방면을 연구했다.
1967년에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일적 모형과 소립자의 통일모형을 발표했다.
기본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정리한 이 논문은 입자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피인용수가 높은 논문으로 꼽힌다.
처음 몇년동안 와인버그의 이론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1972년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이휘소가 그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와인버그의 이론은 학계의 중심이 되었고 와인버그는 학계의 스타가 된다.
이때 와인버그와 같은 결과를 얻은 사람으로 살람이 있었는데 살람이 이휘소의 강연 직전 찾아가 와인버그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하였고, 이휘소는 발표를 하던 도중 ‘와인버그 모형’ 이라 적힌 곳에 ‘ -살람’을 넣어 ‘와인버그-살람모형’으로 만들었다.
이후 글래쇼도 와인버그 이전에 모형에 크게 공헌한 사람으로 인정되고 이휘소의 사망 이후 글래쇼, 와인버그, 살람 세 사람은 노벨상을 받았다.
그리고 이들의 이론은 이들의 이름을 합쳐 GWS모형이라고 불리게 된다.

- Honors and awards
Queen Beatrix meets Nobel laureates in 1983. Weinberg is third from the left of the photo
Honorary Doctor of Science degrees from eleven institutions: University of Chicago, Knox College, University of Rochester, Yale University, City University of New York, Dartmouth College, Weizmann Institute, Clark University, Washington College, Columbia University, Bates College.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elected 1968
Fellow of the American Physical Society, elected 1971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elected 1972
J. Robert Oppenheimer Memorial Prize, 1973
Richtmyer Memorial Award (1974)
Dannie Heineman Prize for Mathematical Physics, 1977
Steel Foundation Science Writing Award, 1977, for writing The First Three Minutes
Elliott Cresson Medal (Franklin Institute), 1979

Nobel Prize in Physics, 1979
Elected a Foreign Member of the Royal Society (ForMemRS) in 1981
Elected to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1982)
James Madison Medal of Princeton University, 1991
National Medal of Science, 1991
President of the Philosophical Society of Texas, 1992
Lewis Thomas Prize for Writing about Science, 1999
Humanist of the Year, American Humanist Association, 2002
Benjamin Franklin Medal for Distinguished Achievement in the Sciences,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004
James Joyce Award, University College Dublin, 2009
Breakthrough Prize, 2020

○ 저서
입자물리와 우주론 등에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주요저서로 ‘최초의 3분’, ‘제3의 생각’, ‘아원자입자의 발견’, 최종 이론의 꿈’ (이종필 역, 사이언스북스. 2007년) 등이 있다.
*Selected publications
Gravitation and Cosm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1972)
The First Three Minutes: A Modern View of the Origin of the Universe (1977, updated with new afterword in 1993).
The Discovery of Subatomic Particles (1983)
Elementary Particles and the Laws of Physics: The 1986 Dirac Memorial Lectures (1987; with Richard Feynman)
Dreams of a Final Theory: The Search for the Fundamental Laws of Nature (1993).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three volumes: I Foundations 1995, II Modern Applications 1996, III Supersymmetry 20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Facing Up: Science and Its Cultural Adversaries (2001, 2003, HUP)
Glory and Terror: The Coming Nuclear Danger (2004, NYRB)
Cosmology (2008, OUP)
Lake Views: This World and the Universe (2010),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 (2012, second edition 2015, CUP)
To Explain the World: The Discovery of Modern Science (2015), Harper / HarperCollins Publishers.
Third Thoughts (2018), Belknap Press.
Lectures on Astrophysics (2019, CUP)
Foundations of Modern Physics (2021, CUP)

- Scholarly articles
Weinberg, S (1967). “A Model of Leptons” (PDF). Phys. Rev. Lett. 19 (21): 1264–1266.
Weinberg, S. & G. Feinberg. “Law of Conservation of Muons”,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through predecessor agency the Atomic Energy Commission), (Feb. 1961).
Pais, A., Weinberg, S., Quigg, C., Riordan, M., Panofsky, W.K.H. & V. Trimble. “100 years of elementary particles”, Stanford Linear Accelerator Center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Beam Line, vol. 27, issue 1, Spring 1997. (April 1, 1997).
Weinberg, S (2010). “Pions in Large N Quantum Chromodynamics”. Phys. Rev. Lett. 105 (26): 261601.
Weinberg, S (2012). “Collapse of the State Vector”. Phys. Rev. A. 85 (6): 062116.

- Popular articles
A Designer Universe?, a refutation of attacks on the theories of evolution and cosmology (e.g., those conducted under the rubric of intelligent design) is based on a talk given in April 1999 at the Conference on Cosmic Design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in Washington, D.C. This and other works express Weinberg’s strongly held position that scientists should be less passive in defending science against anti-science religiosity.
Beautiful Theories, an article reprinted from Dreams of a Final Theory by Steven Weinberg in 1992 which focuses on the nature of beauty in physical theories.
The Crisis of Big Science, May 10, 2012, New York Review of Books. Weinberg places the cancellation of the Superconducting Super Collider in the context of a bigger national and global socio-economic crisis, including a general crisis in funding for science research and the provision of adequate education, healthcare,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criminal justice and law enforcement.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