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0월 18일, 토착신앙인 무교 연구해 ‘풍류신학’ 주창한 신학자 소금 (素琴) 유동식 (1922 ~ 2022) 별세
원로 신학자 소금 (素琴) 유동식 전 연세대 교수는 1922년 황해도 평산 남천에서 태어나 2022년 10월 18일 오후 12시15분 별세했다. 향년 100세.
연희전문학교를 거쳐 일본 도쿄 동부신학교에 유학 중 1944년 학도병으로 징집됐다.
한국전쟁 직후 감리교신학대 (감신대)를 거쳐 미국 보스턴대 대학원에서 공부한 뒤 감신대와 연세대 교수를 지냈다.
고인은 민중신학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토착화 신학으로 꼽히는 풍류신학을 열었다. 그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 얼을 풍류도로 보고 한류의 원조를 풍류도로 보기도 했다.
그는 풍류도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에 대해 “ 일제강점기 이루 말할 수 없는 열등의식 속에서 살다가 해방이 됐는데, 한국전쟁 이후 미국 유학을 가보니까, 나는 4대째 기독교 모태신앙인데도 내 사고방식이나 가치관이 그들과는 달랐다. 일본 석학 야나기 무네요시가 쓴 <한국과 예술>이란 책에서 야나기가 석굴암 본존불을 보고 일본이 문화적으로는 절대 한국을 지배할 수 없다고 한 대목을 읽은 뒤 우리 전통을 찾다가 <삼국사기>에 나온 최치원의 난랑비문에서 언급한 풍류도가 우리 민족의 얼이라고 여겼다”고 밝혔다.
그는 또 “최치원이 당나라에서 유불도를 다 익히고 신라에 돌아와 ‘우리나라에는 깊고 오묘한 도가 있다. 이를 풍류라 한다. 실로 이는 유·불·도 삼교를 포함한 것이요, 모든 중생과 접해 인간화한다’고 말한 풍류는 서양의 미의식과는 다르며, 유불도를 다 통달해야 나오는 한국인 고유의 미의식이자 얼”이라고 주장했다.
개신교 신학계에서 미신시한 무교(무속)를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은 고인은 “우리나라 종교를 살펴보니, 불교 1천년, 유교 500년. 다 중국에서 왔는데, 그 뿌리를 캐다 보면 무교가 있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도 보면 만주 지역에 살던 우리 조상들이 봄, 가을에 여러 날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며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게 나오는데, 그들의 노래가 무교인 (무당)을 통해 전해온 게 700여 가지나 된다”며 “불교, 유교가 풍류도를 통해 재해석돼 한국불교, 한국유교가 된 것처럼 기독교도 풍류도로 해석되어야 한국인의 마음에 더 깊게 와 닿게 된다”고 풍류신학을 주창했다.
고인은 일제강점기 연희전문대에서 윤동주 시인과 함께 기숙사 생활을 했다.
그는 부인 윤정은 전 이화여대 교수가 2004년 별세한 이후 연세대 후문 인근 단독주택에서 20년 넘게 홀로 살면서도 건강과 지력을 유지하며 건강한 삶을 누렸다.
저서로는 <풍류도와 한국의 종교사상> <풍류도와 예술신학> 등이 있으며, 지난 2021년에는 용재학술상을 받았다.
○ 학력 및 경력
- 학력
춘천고등학교 졸업
감리교신학교 졸업
보스턴대학교신학석사
스위스 에큐메니칼연구원 Diploma
동경대학교 종교학/종교사학
국학원대학 문학박사
- 경력
1948-1950. 공주여자사범학교 교사
1951-1953. 전주사범학교 교사
1954-1956. 배화여자고등학교 종교주임
1959-1967. 감리교신학대학 전임강사/조교수
1962-1972. 대한기독교서회 편집부장
1971-1977. 세계신학교육기금위원회 위원
1973-1988. 연세대학교 신과대학 교수
1979-1980. 국제기독교대학 객원교수
- 수상
한국출판 문화상 저작상, 한국일보사
3.1 문화상 학술상, 3.1문화재단
용재학술상, 연세대학교
○ 저작
– 소금 유동식 전집
소금유동식전집편찬위원회. 『素琴 柳東植 全集』 제1권, 성서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2권, 선교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3권, 종교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4권, 신학사.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5권, 교회사 I.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6권, 교회사 II.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7권, 풍류신학 I.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8권, 풍류신학 II.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9권, 풍류신학 III.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제10권, 소금과 그의 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素琴 柳東植 全集』 별권, 신학과 예술의 만남. 서울: 한들출판사, 2010.
– 저서 및 편서
유동식. 『택함받은 나그네 들에게』 전주: 南門外敎會基督靑年會, 1952. – 소금 유동식 전집 1권에 실림.
. 『예수의 根本問題』 서울: 心友園, 1954. – 소금 유동식 전집 1권에 실림. . 『요한서신 주석』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2. – 소금 유동식 전집 1권에 실림.
. 『韓國 宗敎와 基督敎』 서울: 大韓基督敎書會, 1965. – 소금 유동식 전집 2권에 실림. . 『神은 죽었는가?』 서울: 弘人書院, 1966.
. 『文獻目錄 : 韓國의 家族과 宗敎에 關한 硏究, 1945-1970』 Tokyo: Centre for East Asian Cultural Studies, 1972. 외. 『聖書神學과 宣敎 : 晩穗金正俊博士華甲紀念論文集』 서울: 韓國神學大學 出版部, 1974.
. 『예수 바울 요한』 서울: 大韓基督敎書會, 1975. – 소금 유동식 전집 1권에 실림. . 『韓國 巫敎의 歷史와 構造』 서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75. – 소금 유동식 전집 3권에 실림.
_ 외. 『韓國 思想史의 主流』 韓國思想硏究會 編. 서울: 景仁文化社, 1975. . 『道와 로고스 : 宣敎와 韓國神學의 課題』 서울: 大韓基督敎出版社, 1978. – 소금 유동식 전집 2권에 실림.
. 『民俗宗敎와 韓國 文化』 서울: 現代思想社, 1978. – 소금 유동식 전집 2권에 실림.
. 『散花歌 : 柳東植 隨想集』 서울: 正宇社, 1978. – 소금 유동식 전집 8권에 실림.
외. 『한국 교회 성령운동의 현상과 구조』 크리스챤아카데미 편. 서울: 크리스챤아카데미, 1982.
. 『韓國 神學의 鑛脈 : 韓國 神學思想史 序說』 서울: 展望社, 1982. – 소금 유동식 전집 4권에 실림.
. 『韓國巫敎의 歷史와 構造』 서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85. – 소금 유동식 전집 3권에 실림.
, 금장태. 『韓國 宗敎思想史, 2, 儒敎 基督敎 篇』 서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86.
. 『韓国のキリスト教』 일본: 동경대학출판회, 1987. – 소금 유동식 전집 6권에 실림.
. 『風流神學으로의 旅路』 서울: 展望社, 1988. – 소금 유동식 전집 7권에 실림.
. 『하와이의 한인과 교회』 하와이: 그리스도연합감리교회, 1988. – 소금 유동식 전집 5권에 실림.
. 『재일본한국기독교청년회사 : 1906-1990』 서울: 재일본한국기독교청년회, 1990. – 소금 유동식 전집 6권에 실림.
. 『정동제일교회의 역사 : 1885-1990』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정동제일교회, 1992.
. 『風流道와 韓國神學』 서울: 展望社, 1992. – 소금 유동식 전집 7권에 실림.
. 『韓國 宗敎思想史, 5, 經典集』 서울: 延世大學校 出版部, 1992.
외. 『공동체 신학의 모색』 크리스챤 아카데미 신학연구위원회 편. 서울: 展望社, 1992.
외. 『韓國 宗敎와 韓國 神學 : 素石 柳東植 博士 古稀 記念 論文集』 서울: 韓國神學硏究所, 1993.
. 『한국감리교회의 역사 : 1884-1992, 1권』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1994.
. 『한국감리교회의 역사 : 1884-1992, 2권』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1994.
. 『風流道와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 소금 유동식 전집 8권에 실림.
외. 『기독교와 한국 역사』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7.
. 『한국신학의 광맥』 서울: 다산글방, 2000. – 소금 유동식 전집 4권에 실림.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 서울: 한들출판사, 2002. – 소금 유동식 전집 10권에 실림.
외. 『한국문화와 풍류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2. – 소금 유동식 전집 10권에 실림.
외. 『韓國佛敎學硏究叢書. 74 : 新羅佛敎篇 : 阿彌陀·觀音信仰 및 기타 1』 고양: 불함문화사, 2003.
외. 『韓國佛敎學硏究叢書. 3 : 總說篇 : 佛敎와 民俗』 고양: 불함문화사, 2003.
. 『풍류도와 예술신학』 서울: 한들출판사, 2006. – 소금 유동식 전집 9권에 실림.
. 『풍류도와 요한복음』 서울: 한들출판사, 2007. – 소금 유동식 전집 9권에 실림.
. 『한국문화와 기독교』 서울: 한들출판사, 2009. – 소금 유동식 전집 9권에 실림.
외. 『내가 믿는 부활 : 삶의 신학 콜로키움』 서울: 대화문화아카데미, 2012.
외. 『새로운 교회의 모델을 찾아서 : 신반포교회 평신도 아카데미』 서울: 동연, 2012.
. 『제3시대와 요한복음』 서울: 동연, 2014.
, 최종고. 『화가목사 이연호 평전 : 신과 인간, 미술에서 만나다』 서울: 한들출판사, 2014.
외. 『한국인, 우리는 누구인가 : ‘나’라는 물음 끝에 다시 던져진 질문』 파주: 21세기북스, 2016.
__. 『소금산조』 서울: 한들, 2017.
윤정은. 『영혼의 노래 : 흰돌 윤정은 시집』 유동식 엮음. 서울: 한들출판사, 2005. – 소금 유동식 전집 9권에 실림.
– 역서
녹스, 존. 『人間 그리스도 예수』 유동식 옮김. 서울: 조알社, 1955.
불트만, 루돌프. 『聖書의 實存論的 理解 : 新約聖書와 神話論』 유동식 옮김. 서울: 新楊社, 檀紀4292[1959], 1969.
. 『성서의 실존론적 이해』 유동식 옮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9. . 『예수 그리스도와 神話論』 유동식 옮김. 서울: 新楊社, 1969.
젠킨스, 다니엘 토마스. 『우리가 믿는 하나님』 유동식 옮김. 서울: 大韓基督敎書會, 1962.
크래머, 핸드릭. 『평신도 신학 : 平信徒運動의 神學的基礎 』 유동식 옮김. 서울: 大韓基督敎書會, 1963.
. 『평신도 신학과 교회 갱신』 유동식 옮김. 서울: 평신도신학연구소, 1994.
바로우, 밀러. 『聖書神學總論』 유동식 옮김. 서울: 大韓基督敎書會, 1967.
매쿼리, 존. 『希望의 倫理』 유동식 옮김. 서울 : 大韓基督敎書會, 1976.
웨슬리, 존. 『존 웨슬리 叢書. 5 : 新約聖書註解. 上』 유동식, 김용옥 옮김. 서울 : 韓國敎育圖書出版社, 1977.
– 논문
유동식. “서평-불트만 역사와 종말론.” 「기독교사상」 15 (1958): 93-96.
. “복음전달에 있어서의 문제점에 대하여.” 「기독교사상」, 16 (1958): 45-50. . “도와 로고스.” 「기독교사상」 19 (1959): 54-59.
. “죽어야 한다.” 「기독교사상」, 24 (1959): 96-105. . “요한1서 풀이(1).” 「기독교사상」 31 (1960): 97-102.
. “요한1서 풀이(4).” 「기독교사상」 34 (1960): 96-101. . “요한1서 풀이(5).” 「기독교사상」 35 (1960): 94-97.
. “非神話化論의 概要.” 「現代思想講座」 5. (1960). . “요한복음에서 본 신앙의 본질.” 「기독교사상」 39 (1961): 42-47.
. “서평-평신도 신학.” 「기독교사상」 42 (1961): 90-91. . “불트만의 신앙론.” 「기독교사상」 43 (1961): 22-28.
. “평신도론.” 「기독교사상」 48 (1961): 17-23. ?. “福音의 土着化와 韓國에 있어서의 宣敎的 課題.” 「監神學報」 創立57週年記念號 (1962).
. “혁명의 종교.” 「기독교사상」 54 (1962): 24-27. “복음과 재래종교와의 대화문제.” 「기독교사상」 56 (1962): 56-62.
. “평신도운동의 본질.” 「기독교사상」 62 (1963): 26-33. . “기독교의 토착화에 대한 이해.” 「기독교사상」 64 (1963): 64-68.
. “내가 만난 신학자들.” 「기독교사상」 76 (1964): 70-75. . “새로운 자세를 찾는 서구교회.” 「기독교사상」 78 (1964): 84-87.
. “평신도운동의 이모저모.” 「기독교사상」 79 (1964): 60-65. . “회고와 전망.” 「기독교사상」 82 (1964): 76-79.
. “화해와 공동사명.” 「기독교사상」 83 (1965): 81-85. . “한국 교회가 지닌 비종교화의 과제.” 「기독교사상」 84 (1965): 37-43.
. “신흥종교가 제시하는 문제점.” 「기독교사상」 92 (1965): 48-53. . “교회혁신의 기수 헨드릭 크레머.” 「기독교사상」 94 (1966): 80-85.
. “단군상 건립안에 항의” 「기독교사상」 97 (1966): 8-9. . “한국교회와 타종교.” 「기독교사상」 101 (1966): 52-60.
. “제7회 동남아 신학연구회의 의의.” 「기독교사상」 102 (1966): 62-65. . “이용도 목사와 그의 주변.” 「기독교사상」 111 (1967): 21-27.
. “만물을 새롭게.” 「기독교사상」 114 (1967): 115-115. . “복음의 세속성.” 「기독교사상」 115 (1967): 24-31.
. ”한국신학의 광맥(1) – 양주삼 편.” 「기독교사상」 116 (1968): 60-66. . “한국신학의 광맥(2) – 남궁혁 편.” 「기독교사상」 117 (1968): 62-67.
. “한국신학의 광맥(3) – 송창근 편.” 「기독교사상」 118 (1968): 66-71. “한국신학의 광맥(4) – 정경옥 편.” 「기독교사상」 119 (1968): 100-105.
. “한국신학의 광맥(5) – 박형룡 편.” 「기독교사상」 120 (1968): 88-95. “멀고도 가까운 길.” 「기독교사상」 121 (1968): 7.
. “한국신학의 광맥(6) – 변홍규 편.” 「기독교사상」 121 (1968): 112-116. “한국신학의 광맥(7) – 김재준 편.” 「기독교사상」 122 (1968): 84-91.
. “한국신학의 광맥(8) – 홍현설 편.” 「기독교사상」 123 (1968): 116-123. “한국신학의 광맥(9) – 김정준 편.” 「기독교사상」 124 (1968): 121-127.
. “한국신학의 광맥(10) – 윤성범 편.” 125 「기독교사상」 125 (1968): 105-109. “한국신학의 광맥(11) – 서남동 편.” 「기독교사상」 126 (1968): 107-112.
. “한국신학의 어제와 내일.” 「기독교사상」 12/12 (1968). “가난하지만 우리는 젊다.” 「기독교사상」 127 (1968): 114-125.
. “70년대 한국 신학의 과제.” 「기독교사상」 138 (1969): 46-53. “제4의 종교와 기독교.” 「기독교사상」 144 (1970): 42-49.
. “역사의 틈바구니에서.” 「기독교사상」 145 (1970): 24-25. “한국 문화의 중흥을 위하여.” 「기독교사상」 147 (1970): 22-23.
. “자기 혁신으로 사는 교회.” 「기독교사상」 148 (1970): 24-25. “젊은이에게 꿈을 주라.” 「기독교사상」 149 (1970): 24-25.
. “교회가 담당해야 할 안보.” 「기독교사상」 150 (1970): 24-26. “성탄과 70년과 한국교회.” 「기독교사상」 151 (1970): 22-23.
_ 외. “70년대의 서장을 돌아본다.” 「기독교사상」 151 (1970): 83-91. “한국종교의 어제와 내일.” 『미래를 묻는다 I』 (서울: 한국미래학회, 1970).
. “韓國文化의 宗敎的 基盤.” 「현대와 신학」 (서울: 연합신학대학원, 1970).
. “창조적인 71년과 우리의 책임.” 「기독교사상」 152 (1971): 32-33.
외. “71년의 한국과 교회.” 「기독교사상」 152 (1971): 90-97.
. “군 선교의 의미.” 「기독교사상」 153 (1971): 22-23.
외. “교회의 일치를 향하여.” 「기독교사상」 153 (1971): 120-123.
외. “오도된 신비체험으로서의 광신주의.” 「기독교사상」 156 (1971): 92-100.
. “제3 세계와 제3 T.E.F. – 우간다회의의 의미.” 「기독교사상」 159 (1971): 131-135.
. “第四의 宗敎와 基督敎.” 「기독교사상」 15/9 (1971).
.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의 한국교회 – 기독교 신흥종교를 중심으로.” 「기독교사상」 160 (1971): 74-79.
외. “72년을 맞는 한국교회의 과제.” 「기독교사상」 164 (1972): 44-52.
. “한국인의 사생관.” 「기독교사상」 167 (1972): 66-71.
. “평화를 위협하는 또 하나의 적.” 「기독교사상」 168 (1972): 22-23.
. “역사의식과 새마을 운동.” 「기독교사상」 169 (1972): 22-23.
. “환경과 인간선언.” 「기독교사상」 170 (1972): 24-25.
. “오늘도 8.15의 감격을.” 「기독교사상」 171 (1972): 22-23.
. “제 3세계의 신학적 과제.” 「기독교사상」 172 (1972): 22-23.
. “창의성의 문제 – 심정전과 남북회담.” 「기독교사상」 173 (1972): 24-26.
. “통일의 비정치적 요인 – 사람됨의 문제.” 「기독교사상」 174 (1972): 12-13.
. “한국종교연구의 경향 – 외국에서의 박사논문을 중심으로.” 「기독교사상」 174 (1972): 82-88.
. “’72년의 전진과 종교인의 과제.” 「기독교사상」 175 (1972): 22-24.
. “神話와 儀禮에서 본 古代韓國人의 信仰形態.” 「종교연구」 1 (1972): 5-25.
. “宗敎的 側面에서 본 70 年代 韓國敎育의 目標.”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72).
외. “입신현상에 대한 신학적 평가.” 「기독교사상」 177 (1973): 99-105.
. “빗나간 화살.” 「기독교사상」 177 (1973): 154-155.
외. “빌리 그레함 전도대회를 말한다.” 「기독교사상」 182 (1973): 80-91.
. “우학 양재연박사 추도호: 불교사찰의 삼성각과 삼신신앙에 대하여.” 「한국문화인류학」 6 (1973): 142-145.
. “한국의 무교 연구.” 「신학사상」 2 (1973): 95-126.
. “佛教寺刹의 三聖閣과 三神信仰에 대하여.” 「文化人類學」 第6輯 (韓國文化人類學會, 1973): 142-145.
. “탈출자 예수.” 「기독교사상」 194 (1974): 22-24.
, 한준섭. “군선교 활동을 진단한다.” 「기독교사상」 197 (1974): 49-55.
. “한국문화와 토착화 문제.” 「사목」 36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74).
. “광야 40년.” 「기독교사상」 201 (1975): 22-23.
. “국가건설의 기초 문제.” 「기독교사상」 204 204 (1975): 12-14.
. “민속종교에 나타난 세계관.” 「기독교사상」 206 (1975): 57-62.
. “8.15는 한국의 축제일.” 「기독교사상」 207 (1975): 12-14.
. “새로운 공동체의 모색.” 「기독교사상」 209 (1975): 38-46.
. “암흑을 몰아내는 축제.” 「기독교사상」 210 (1975): 12-14.
. “심포지움: 급변하는 사회에서의 한국문화의 전통성 – 신앙분야.” 「한국문화인류학」 7 (1975): 117-125.
. “韓國의 土着信仰과 民衆의 佛敎受容形態” 「延世論叢」 第12輯 (延世大學校大學院, 1975).
. “3.1론.” 「기독교사상」 213 (1976): 12-14.
외. “한국교회는 무당종교를 극복할 수 있는가?.” 「기독교사상」 216 (1976): 66-81.
. “한·일 불교수용형태의 비교적 고찰 – 토착신앙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 8 (1976): 67-69.
. “藝術的 次元에서 본 韓國人의 슬기.” 『大學國語』 (梨花女子大學校 出版部, 1976).
. “가람구조 및 불서를 통해 본 한.일 불교수용형태의 비교연구.” 「신학사상」 14 (1976): 602-634.
. “토속신앙에 나타난 복의 이해.” 「기독교사상」 223 (1977): 34-38.
. “현대문명의 도전과 한국신학의 과제.” 「기독교사상」 227 (1977): 95-107.
. “서평-성서공동연구의 이론과 실제.” 「기독교사상」 227 (1977): 169-171.
. “현대한국의 종교와 사회변동.” 「기독교사상」 235 (1978): 123-131.
. “탁사(濯斯) 최병헌(崔炳憲)과 그의 사상.” 「동방학지」 19 (1978): 135-158.
. “무교적 구조의 방법론적 의미.” 「한국문화인류학」 10 (1978): 103-104.
. “韓國敎會의 土着化 類型과 神學.” 「신학논단」 14 (1980): 17-34.
. “風流道와 기독교.” 「신학논단」 16 (1982): 343-351.
. “1970년대 한국신학.” 「신학사상」 36 (1982): 80-102.
. “韓國巫敎의 宗敎的 特姓.” 『韓國巫敎의 綜合的 考察』 서울: 高大民族文化硏究所, 1982.
. “죽음에 대한 韓國人의 이해.” 『대학국어』 서울: 연세대학교출판부, 1982.
. “한국기독교 사상은 존재하는가.” 「월간조선」 서울: 조선일보사, 1982.
. “풍류신학.” 「신학사상」 41(1983): 432-441.
. “한국의 문화와 신학사상 – 풍류신학의 의미.” 「신학사상」 47 (1984): 718-734.
외. “심포지움: 장공 김재준의 생애와 신학.” 「신학사상」 50 (1985): 532-549.
. “한국기독교(1885-1989)의 타종교에 대한 이해.” 「연세논총」 서울: 1985.
외. “심포지움: 한국문화와 그리스도교 관계에 대한 새로운 반성.” 「신학사상」 52 (1986): 70-89.
. “그리스도교와 동향의 만남, 의미전달, 수용에 대한 분석” 「신학사상」 52 (1986): 204-214.
. “조상숭배에 대한 종합적 고찰 : 기독교와 조상숭배 – 한국적상황에 대한 사적고찰.” 「한국문화인류학」 18 (1986): 85-93.
. “한국의 기독교와 조상숭배 문제.” 「신학논단」 17 (1987): 261-269.
. “그리스도교와 한국인의 세계 – 정대위신학의 풍류도적 번안.” 「신학연구」 28 (1987): 25-40.
. “서여(西餘) 민영규(閔泳珪) 선생 고희기념논총: 한국인의 영성(靈性)과 종교문화.” 「동방학지」 56 (1987): 399-413.
. “풍류신학으로의 여로.” 「신학논단」 18 (1989): 51-69.
. “한국민족의 영성과 한국종교.” 「기독교사상」 375 (1990): 63-75.
외. “서회 백년의 반성과 2세기 과제.” 「기독교사상」 378 (1990): 110-129.
. “한국인의 영성(靈性)과 종교.” 「계간 사상」 5 (1990): 129-162.
. ‘한국종교와 신학적 과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7 (1990): 11-33.
외. “한국토착화신학 논쟁의 평가와 전망.” 「기독교사상」 390 (1991): 78-100.
외. “한국토착화신학 논쟁의 평가와 전망(2).” 「기독교사상」 391 (1991): 75-94.
. “요한복음과 풍류도.” 『두산 김우현 목사 – 그 신앙과 사상』 전택부 편. 서울: 기독교문사, 1992.
. “한국 감리교회의 전통과 다원주의.” 「감리교단을 염려하는 기도회 자료집」 (서울: 1992).
. “다원종교사회와 한국의 기독교.” 「계간 연세: 진리 · 자유」 1992, 겨울.
. “한국종교와 한국신학.” 「기독교사상」 421 (1994): 164-167.
. “앞서간 변선환 목사를 그리며.” 「기독교사상」 441 (1995): 135-138.
. “해방후 50년 한국신학.” 「신학사상」 91 (1995): 48-69.
. “기획특집: 현대사와 한국종교 1 < 한국종교의 세계사적 조명 > 세계사 속의 한국기독교: 그 위치와 과제.” 「종교와 문화」 1 (1995): 59-76.
, 이주연. “토착화신학의 선구자 유동식.” 「기독교사상」 453 (1996): 137-155.
. “《한국 종교문화와 그리스도》창간에 부쳐.”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1 (1996): 5-6.
. “예술에 산 목회자 이연호.” 「기독교사상」 461 (1997): 48-65.
. “한국교회와 문화신학의 과제.” 「기독교사상」 462 (1997): 128-133.
외. “심포지엄: 안병무의 신학과 사상.” 「신학사상」 96 (1997): 23-53.
외. “심포지엄: 한국신학연구소 25년 회고와 전망.” 「신학사상」 102 (1998): 5-27.
. “멋의 회복 – 한국 문화신학의 과제.”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2 (1998): 5-5.
. “효도의 신학적 이해.” 「한국효학회 제1회 효학 학술대회」 (1998): 18-28.
. “전덕기의 민중ㆍ민족 목회 사상.” 「나라사랑」 97 (1998): 99-113.
. “밀레니엄과 예술.” 「기독교사상」 488 (1999): 204-216.
. “특집1. 인문학의 이해: 한국의 얼과 새 밀레니엄 문화.” 「인문과학」 80 (1999): 1-13.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1): 종교적이며 예술적인 존재.” 「기독교사상」 509 (2001): 246-254.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2): 하나님을 떠난 인간 상황.” 「기독교사상」 510 (2001): 242-253.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3): 해방의 복음.” 「기독교사상」 511 (2001): 230-241.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4): 혼돈과 빛.” 「기독교사상」 512 (2001): 240-250.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5): 전쟁과 사랑.” 「기독교사상」 513 (2001): 238-249.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6): 나그네의 자유와 사랑.” 「기독교사상」 514 (2001): 252-262.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7): 문화와 복음.” 「기독교사상」 515 (2001): 250-261.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8): 종교와 복음.” 「기독교사상」 516 (2001): 244-257.
. “한국신학으로서의 예술신학.”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4 (2001): 187-195.
. “이단자의 후예들을 기리며.”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5 (2001): 9-15.
. “『근 · 현대 한국종교사상 연구』를 읽고.” 「한국종교」 25 (2001): 291-292.
. “종교적 예술과 한국신학” 「풍경소리」 20 (서울: 풍경소리사, 2001).
. “종교와 예술의 뒤안 길에서(9): 무교와 한국문화.” 「기독교사상」 517 (2002): 240-253.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10): 풍류도와 한국사상.” 「기독교사상」 518 (2002): 238-257.
. “동방의 등불.” 「기독교사상」 519 (2002): 248-259.
. “풍류신학으로의 여로.” 「기독교사상」 520 (2002): 234-244.
. “3 · 1 문화와 풍류도.” 「기독교사상」 521 (2002): 242-252.
. ”풍류도와 한국미.” 「기독교사상」 522 (2002): 226-236.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 밀레니엄과 삼대 거작.” 「기독교사상」 523 (2002): 234-246.
. “종교와 예술의 뒤안길에서: 포구에 서서.” 「기독교사상」 524 (2002): 254-265.
. “진오기굿을 통해 본 한국인의 죽음 이해.”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7 (2004): 170-179.
. “한국 기독교 미술에 대하여.”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8 (2005): 85-91.
외. “한국에 기독교 문화는 있는가?.”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8 (2005): 185-204.
. “풍류신학.” 「한국문화신학회 논문집」 9 (2006): 256-269.
외. “대한기독교서회 120주년 좌담회 – 원로에게 듣는다.” 「기독교사상」 618 (2010): 56-71.
__. “무교와 한국문화.” 「기독교사상」 769 (2023): 138-149.
그밖의 일본어와 영어 논문은 『소금 유동식 전집』 제10권 544-545쪽 참조.
참고 =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