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4월 5일, 미국의 분자생물학자 시드니 올트먼 (Sidney Altman, 1939 ~ 2022) 별세
시드니 올트먼 (Sidney Altman, 1939년 5월 7일 ~ 2022년 4월 5일)은 캐나다 태생의 미국의 분자생물학자이다.

– 시드니 올트먼 (Sidney Altman)
.출생: 1939년 5월 7일, 캐나다 퀘벡주 몬트리올
.사망: 2022년 4월 5일 (82세), 미국 뉴저지주 라클리
.국적: 캐나다, 미국
.배우자: 앤 M. 알트만 (1972년–2018년)
.주요 업적: 리보자임
.수상: 노벨 화학상 (1989년),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 (2016년)
.분야: 분자생물학
.학력: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애리조나 주립대학, 콜로라도 볼더 대학
.유명한 제자: 벤자민 C. 스타크, 로빈 리드
1989년에 RNA의 촉매 작용을 발견한 공로로 토머스 체크와 함께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생명은 RNA에서 시작되었는가?
1980년대 초에 ‘DNA가 먼저인가? 단백질이 먼저인가?’문제를 해결하는 대발견이 있었다.
미국 콜로라도 대학의 ‘토머스 체크 (Thomas Cech, 1947~)’ 박사와 예일 대학의 ‘시드니 올트먼 (Sidney Altman, 1939~)’ 박사는 ‘리보자임 (Ribozyme)’이란 분자를 발견했다.
리보자임이란 이름은 ‘효소 (Enzyme)’와 ‘RNA (Ribonucleic Acid)’의 이름을 조합시킨 것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리보자임’은 스스로 화학 반응을 촉진할 수 있는 ‘RNA (Ribonucleic Acid)’를 말한다.
DNA와 마찬가지로, RNA도 유전 정보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RNA는 단백질처럼 화학 반응을 촉진시키는 장치로 작용할 수도 있다.
즉, 리보자임은 두 기능을 모두 갖춘 ‘생명의 만능 분자’였다.

이를 바탕으로 해서, 하버드 대학의 ‘월터 길버트 (Walter Gilbert, 1932 ~ )’ 박사가 주장하는 것이 바로 ‘RNA 월드 가설 (RNA World Hypothesis)’이다.
1986년에 나온 이 가설에서는 ‘생명의 탄생’을 다음과 같은 시나리오로 설명한다.
원시 지구에서는 ‘DNA (Deoxyribonucleic Acid)’나 ‘단백질 (Protein)’보다 ‘RNA (Ribonucleic acid)’가 먼저 나타났다.
그리고 그 안에서 자기를 복제할 수 있는 ‘리보자임 (Ribozyme)’이 나타나, RNA로 이루어진 생명 세계인 ‘RNA 월드 (RNA World)’가 출현했다.
그리고 RNA는 나중에 등장한 단백질에게 화학 반응을 촉진하는 기능을 양보했다.
그리고 더 늦게 등장한 DNA에 유전자에 관한 기능을 양보해 현재의 생명으로 진화했다.
RNA에서 생명이 시작되려면, 다양한 기능을 가진 리보자임이 나타나야 한다.
이것을 검증하기 위해, 1990년대 이후 ‘시험관 안의 진화’라는 방법을 이용한 실험이 실행되고 있다.
이것은 인위적 돌연변이에 의해, 시험관 안의 RNA를 무작위로 진화시키는 실험이다.
이런 실험에서 리보자임이 출현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실험관 안에서 ‘RNA의 짧은 사슬을 만들어내는 반응’, ‘RNA에 아미노산을 붙이는 반응’, ‘산화 환원 반응’ 등을 촉매하는 리보자임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 수상 경력
1989년: 노벨 화학상
2016년: 로모노소프 황금 메달
Nobel Prize in Chemistry, Royal Swedish Academy of Sciences (1989)
Honorary Doctor of Science, McGill University (1991)
Honorary Doctor of Laws, Concordia University (2003)
○ 저서·논문
Altman, Sidney (2007). “A view of RNase P.”. 《Mol Biosyst》 (Sep 2007) 3 (9): 604–7.
Altman, S; Baer, M F; Bartkiewicz, M; Gold, H; Guerrier-Takada, C; Kirsebom, LA; Lumelsky, N; Peck, K (1989). “Catalysis by the RNA subunit of RNase P—a minireview.”. 《Gene》 (1989년 10월 15일) 82 (1): 63–4.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