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6년 4월 4일, 세비야의 대주교 ‘고대 세계의 최후의 학자’로 평가되는 이시도르 (Isidore of Seville, 560? ~ 636) 선종
세비야의 이시도르 (Isidore of Seville, 560년경 ~ 636년 4월 4일)는 30년 이상 세비야의 대주교로 지낸 사람으로, 역사가 몽탈렝베르는 그를 고대 세계의 최후의 학자로 언급했다.

– 세비야의 이시도르 (Isidore of Seville)
.주교, 고해신부, 교부
.출생: 560년경, 비잔티움 제국 스파니아 카르타헤나
.선종: 636년 4월 4일 (79 ~ 80세), 서고트 왕국 세비야
.묘지: 스페인 무르시아 무르시아 성당
.부모: 부) 테오도라, 모) Severiano
.형제자매: Leander of Seville, 성 플로렌티나, 풀겐티우스 오브 카르타헤나
.교파: 가톨릭 교회, 동방 정교회
.시성: 653년 제8회 톨레도 공의회
.축일: 4월 4일
저서로는 ‘어원학’과 ‘어원백과사전’ (Ethymologiarum sive originum) 제18권이 있다.

○ 생애 및 활동
성 이시도루스 (Isidorus, 또는 이시도로)는 카르타고 (Carthago)에 정착하여 살다가 549년경 서고트족 (Visigoths)의 침입으로 도시가 파괴되자 세비야로 이주한 에스파냐계 로마인 귀족 가문에서 560년경에 4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20년 정도 나이 차가 나는 큰형 성 레안데르 (Leander, 2월 27일)와 누나 성녀 플로렌티나 (Florentina, 6월 20일)는 카르타고에서 태어났고, 작은형 성 풀겐티우스 (Fulgentius, 1월 16일)와 그는 세비야에서 태어났다.
이들 남매들은 후에 모두 성인 성녀로 시성되었다.
부모가 일찍 세상을 떠나 큰형 성 레안데르에게서 양육과 교육을 받은 성 이시도루스는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절을 주로 수도원과 세비야 주교좌 학교에서 보냈다.
그는 다양한 분야의 학문적 소양을 쌓으며 성숙한 영성생활을 하였을 뿐만 아니라, 라틴어, 문학 등에서도 탁월한 재능을 갖추게 되었다.
형 레안데르가 600년경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세비야의 대주교가 된 성 이시도루스는 형의 과업을 이어받아 서고트족을 아리우스주의 (Arianism)로부터 개종시키고 에스파냐에 가톨릭 교회를 재건하는데 전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그는 여러 차례 교회 회의를 개최하였는데, 그중 619년의 세비야 교회 회의와 633년의 제4차 톨레도 (Toledo) 교회 회의가 대표적이다.
또한 그는 히브리어와 그리스어를 비롯하여 의학, 법률 등을 제자들에게 가르쳤고, 아리스토텔레스를 연구하였다.
그의 위대한 학문적 업적은 시세부토 왕의 요청으로 전 20권으로 구성된 백과사전 “어원학”을 저술하였다. 이는 이후 여러 세기 동안 교과서 및 중요한 자료로 사용되었다.
또 역사서로 “고트족, 반달족, 스베니아족의 통치사” (Historia de Regibus Gothorum, Vandalorum, et Suevorum)도 유명하다.
또 다른 것으로 그는 모자라빅 미사경본과 성무일도서를 편집하였다.
이런 생활 중에서도 그는 가난하고 병든 이들을 꼭 찾아보았고 사랑을 실천하였다.
보편교회와 일치하는 에스파냐 교회를 재건한 성 이시도루스는 서방 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마지막 교부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는 1598년 교황 클레멘스 8세 (Clemens VIII)에 의해 시성되었고, 1722년 교황 인노켄티우스 13세 (Innocentius XIII)에 의해 교회학자로 선포되었다.

○ 축제
세비야는 발음에 따라 “세빌리아”라고 달리 불리기도 한다. 특히 세비야는 ‘세비야의 이발사’라는 오페라 제목으로, 음악의 도시, 오페라의 도시로 상징되고 있기도 하다.
그뿐만 아니라 투우가 유명한 곳, 집시의 플라멩고가 유명한 도시로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몇 가지 도시의 이미지를 부각시켜서 활용하는 것이 도시의 축제이다.
세비야의 대주교로 엄격한 규율로 교회의 기반을 확고히 하고, 중세 말까지 유럽의 정치를 지배하고 있던 두 개의 큰 주춧돌인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를 정비하여 치우침 없이 유지되고 운영될 수 있도록 공헌한 인물이다.
스페인에서는 산티아고 성인과 더불어 스페인을 대표하는 성인이다.
세비야 지역에 게르만족의 대이동 (서고트족의 침입 409년)이 있었는데, 북방 인종으로 키가 크고 금발에 파란눈이 특징으로 원래 거주지는 스칸디나비아 반도의 남부에서 지금의 북독일에 걸친 지역이다.
이들의 이동은 훈족이 볼가강을 건너 동고트 족을 정복함으로써 376년 로마 영토 안으로 이주, 476년 로마 황제가 게르만족의 오토아케르에게 폐위되었다.
특히 세비야는 서고트 왕국의 지배 기간 동안 세비야시의 대주교이자 가톨릭교의 아버지라 알려진 “성 이시도르”의 탄생한 도시이다.
스페인에서 지금도 성인의 한 사람으로 추앙받는 “성 이시도르”는 독일계 유대인으로 알려져 있다.

○ 백과사전 편저자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저서로 ‘어원학’을 남겼지만, 편저자로 ‘어원백과사전’ (18권)에서 “인체는 세계를 구성하는 4대 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의 살은 흙의 성질을, 피는 물의 성질을, 숨결은 공기의 성질을, 체온은 불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라고 정의한 것으로 유명하다.
– Other works
Isidore’s authored more than a dozen major works on various topics including mathematics, holy scripture, and monastic life, all in Latin:
Historia de regibus Gothorum, Vandalorum et Suevorum, a history of the Gothic, Vandal and Suebi kings. The longer edition, issued in 624, includes the Laus Spaniae and the Laus Gothorum.
Chronica Majora, a universal history
De differentiis verborum, a brief theological treatise on the doctrine of the Trinity, the nature of Christ, of Paradise, angels, and men
De natura rerum (On the Nature of Things), a book of astronomy and natural history dedicated to the Visigothic king Sisebut
Questions on the Old Testament
a mystical treatise on the allegorical meanings of numbers
a number of brief letters
Sententiae libri tres Codex Sang. 228; 9th century
De viris illustribus
De ecclesiasticis officiis
De summo bono
De ortu et obitu patrum
Regula Monachorum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