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6년 2월 4일, 독일의 베네딕트회 수도승 겸 신학자 라바노 마우로 / 라바누스 마우루스 (Rabanus Maurus, 780? ~ 856) 선종
라바노 마우로 / 라바누스 마우루스 (Rabanus Maurus, 780?, 독일 마인츠 ~ 856년 2월 4일)는 독일의 베네딕트회 수도승 겸 신학자이다.
– 라바노 마우로 / 라바누스 마우루스 (Rabanus Maurus)
.같은이름 : 라바누스, 마오로, 마우로, 마우루스
.출생: 780?, 독일 마인츠
.사망: 856년 2월 4일
.활동년도: 776?년 ~ 856년
.신분: 주교
.지역: 마인츠(Mainz)
.축일: 2월 4일
독일의 마인츠 출신인 듯한 라바누스 마우루스 (또는 라바노 마우로)는 헤센 (Hessen) 지방 풀다 (Fulda)의 수도원 학교와 프랑스 투르(Tours)에서 공부하였고, 풀다로 다시 돌아온 후에 수도자가 되었다.
그는 특히 초기 교부들과 성서에 대하여 폭넓은 지식을 가졌던 것으로 유명하였다.
그는 815년에 사제로 서품되었고, 822년에는 원장이 되어 여러 교회와 수도원들을 건설하였다.
또한 그는 스스로 원장직을 사임하여 지내던 중 71세의 나이로 마인츠의 주교로 임명되자, 교구 사제들에게 수도자와 같은 엄격한 규율을 적용시켜 쇄신코자 하였고, 고트샬크 (Gottschalk)의 이단적인 가르침을 봉쇄하였다.
그는 순교록을 기술하였고 또 유명한 “오소서, 성령이여!” (Veni Creator Spiritus)를 짓는 등 많은 찬미가와 시를 썼다.
축일은 2월 4일이다.
○ 오소서 창조주 성령이여 (Veni, Creator Spiritus)
이 노래는 “오소서 창조주 성령이여”로 번역되는 노래로 9세기 라바누스 마우루스 (Rabanus Maurus)가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찬미가 (hymnus)이다. 원어는 라틴어로 주로 그레고리오 성가로 불린다. 성령을 청하면서 부르는 이 노래는 원래 성령강림 대축일 성무일도 제2저녁기도에 부르는 곡인데, 같은 날의 미사 전례에도 자주 쓰인다. 뿐만 아니라 교황 선출 시 시스티나 경당으로 추기경단 입장할 때 불리며, 주교 서임식, 사제 서품식, 교회 봉헌식, 공의회나 시노드의 개최, 왕의 대관식, 수도자들의 서원식에도 불리며, 다른 장엄하고 다양한 예식에도 쓰인다.
다른 유명한 찬미가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작곡가들이 이 찬미가의 선율을 살리거나 새로운 창작으로 작곡하여 널리 사랑받고 있는 노래이다 (가톨릭성가 145장, 147장, 148장).
Veni, creátor Spíritus, 오소서, 창조주 성령님,
mentes tuòrum vísita, 당신 영들을 보여주소서.
imple supérna grátia, 최상의 은총으로 채워주소서.
quæ tu creásti péctora. 그것으로 당신은 영혼들 (animo)을 창조하셨습니다.
Qui díceris Paráclitus, 당신은 파라클리토 (보호자)로서 보내지셨습니다.
altíssimi donum Dei, 하느님의 가장 큰 선물
fons vivus, ignis, cáritas, 살아 있는 것, 불, 사랑의 샘,
et spiritális únctio. 그리고 영적 기름 바름
Tu septifòrmis múnere, 당신은 일곱 가지 방식으로 (성령칠은으로)
dígitus patérnæ déxteræ, 성부 오른손의 손가락
tu rite promíssum Patris, 당신은 마땅히 성부의 약속
sermóne ditans gúttura. 가르침으로 (설교로) 목구멍을 풍요롭게 하시는 분
Accénde lumen sénsibus, 감각들에게 빛을 켜주시고,
infúnde amórem córdibus, 마음들에게 사랑을 부어주소서.
infírma nostri córporis 약화시켜 주소서
virtúte firmans pérpeti. 끊임없이 부추기는 우리 몸의 습성을
Hostem repéllas lóngius 당신은 적을 더 멀리 내쫓아 주소서
pacémque dones prótinus; 평화를 앞에 주소서
ductóre sic te prævio 인도자이시며 당신이 그러하듯이 앞서신 분이신 분으로써 (의역 : 인도하시고, 앞서 주시어)
vitémus omne nóxium. 우리가 모든 해로운 것들을 피하게 하소서
Per Te sciámus da Patrem 당신을 통하여 아버지를 알게 해 주시고
noscámus atque Fílium, 아들 또한 알게 하소서.
teque utriúsque Spíritum 그리고 당신 둘로부터 나오는 성령을
credámus omni témpore. 우리는 영원히 믿으리이다.
Deo Patri sit glória, 하느님 아버지께 영광이 있기를
et Fílio, qui a mórtuis 죽은 이들로부터 일어나신 아드님께도
surréxit, ac Parác1ito, 또한 보호자(성령)께도
in sæculórum sǽcula. Amen. 영원히. 아멘.
○ Bibliography
The first nominally complete edition of the works of Hrabanus Maurus was that of Georges Colvener (Cologne, 6 vols. fol., 1627). The Opera omnia form vols. cvii–cxii of Migne’s Patrologiae cursus completus (1852). The De universo is the subject of Compendium der Naturwissenschaften an der Schule zu Fulda im IX. Jahrhundert (Berlin, 1880).
- Recent critical editions and translations are available of some of his works:
De sermonum proprietate sive Opus de universo, ed. and tr. by Priscilla Throop, Hrabanus Maurus: De Universo: the peculiar properties of words and their mystical significance, 2 vols. Charlotte, VT: MedievalMS, 2009.
Expositio in Matthaeum, edited by B. Löfstedt, 2 vols.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evalis 174-174A. Turnhout: Brepols, 2000.
In honorem sanctae crucis, edited by M. Perrin, 2 vols.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evalis 100-100A. Turnhout: Brepols, 1997.
De magicis artibus, partial English translation in European Magic and Witchcraft: a reader, tr. Martha Rampton, 2018, pp. 143-145
Martyrologium. Liber de computo, edited by J. McCulloh and W. Stevens, Corpus Christianorum, continuatio mediaevalis 44. Turnhout: Brepols, 1997.
Hrabanus Maurus: De institutione clericorum; Studien und Edition, Freiburger Beitraege zur mittelalterlichen Geschichte 7. Frankfurt am Main: 1996. An edition (with German translation?) of the De Institutione Clericorum is listed as “in preparation” by Brepols.
- German publications on the occasion of the 1150th anniversary of his death:
Hans-Jürgen Kotzur, ed., Rabanus Maurus: Auf den Spuren eines karolingischen Gelehrten. Mainz: Philipp von Zabern, 2006. 120 pages, 85 illustrations, including Maurus’s cross poems and their transcriptions and partial translations.
Stephanie Haarländer, Rabanus Maurus zum Kennenlernen: Ein Lesebuch mit einer Einführung in sein Leben und Werk. Publikationen Bistum Mainz. Darmstadt: Wissenschaftliche Buchgeselschaft, 2006. 184 pages, many illustrations. Collection of texts by Maurus translated into German, with extensive introduction to Maurus’s life and work.
Franz J. Felten, ed., Hrabanus Maurus: Gelehrter, Abt von Fulda und Erzbischof von Mainz. Mainz: Publikationen Bistum Mainz, 2006. 196 pages, 4 illustrations. Collection of historical essays.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