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2년 2월 2일, 아일랜드의 문학가 제임스 조이스 (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1882 ~ 1941) 출생
제임스 오거스틴 앨로이셔스 조이스 (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1882년 2월 2일 ~ 1941년 1월 13일)는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의 작가로, 소설, 시, 희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239px-Revolutionary_Joyce_Better_Contrast.jpg)
– 제임스 조이스 (James Joyce)
.본명: 제임스 오거스틴 앨로이셔스 조이스 (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출생: 1882년 2월 2일, 아일랜드 더블린
.사망: 1941년 1월 13일(58세)
.언어: 영어, 에이레어
.직업: 작가
.활동기간: 1903년 ~ 1941년
.장르: 희곡, 수필
유명한 소설은 《율리시즈》 (1922)와 매우 난해한 후속작 《피네간의 경야》 (1939), 단편인 《더블린 사람들》 (1914), 반자전적 소설 《젊은 예술가의 초상》 (1916) 등이 있다.
성인이 되어서 삶의 대부분을 외국에서 보냈지만, 그의 정신적 가상적 세계는 그의 고향인 아일랜드 더블린에 뿌리깊게 자리잡고 있다.
《더블린 사람들》에서도 드러나듯 더블린은 그의 소설의 주제와 설정의 많은 부분을 제공해 주었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1.jpg)
○ 생애 및 활동
제임스 조이스는 1882년 더블린의 중심에서 남쪽으로 약 4km 떨어진 라스가 (Rathgar)의 브라이턴 서부 스퀘어 41번지에서 아버지 존 스태니스라우스 조이스 (John Stanislaus Joyce)와 어머니 매리 제인 머래이 (Mary Jane Murray) 사이에서 첫 번째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정치에 관심이 높았으나 직업적으로 거의 사회 밑바닥을 전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리고 그의 어머니 매리는 독실한 가톨릭 신자로서 제임스를 포함하여 10명의 자녀들을 낳아 가톨릭 신앙에 따라 키우고자 노력하였다.
제임스는 아일랜드의 예수회가 운영하는 클론고즈 우드 콜리지와 벨비디어 콜리지에 다녔는데 예수회 신부들의 교육은 몹시 엄격하고 절대적 복종과 규율을 강조했다. 이러한 교육 하에 제임스는 신부들의 부당성과 잔인성을 알게 되고 가톨릭 종교에서 멀어지고 그의 작품 속에 비판적으로 묘사하게 된다.
1898년 열여섯 살 때부터 1902년 스무 살 때까지 더블린의 유니버시티 칼리지를 다녔고 1902년에 현대어문학 전공으로 학사학위를 받았다. 대학에서 그는 철학과 언어를 공부했으며, 1900년 아직 대학생이었던 무렵, 노르웨이의 극작가 입센의 마지막 연극에 관한 긴 논문을 ‘포트나이트리 리뷰’지에 발표했다. 당시 그는 서정시를 쓰기 시작했는데, 이는 나중에 ‘실내악’이라는 제목의 시집으로 출간되었다.
그 후 의학공부를 하러 파리로 떠났다가 1904년 어머니의 병환 때문에 일시 귀국하지만 그해 노라 바나클이라는 여인과 함께 다시 유럽 대륙으로 떠났다. 그들은 1931년 정식으로 결혼했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2.jpg)
1905년부터 1915년까지 그들은 이탈리아의 트리에스테에서 함께 살았으며 조이스는 그곳의 벨리츠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쳤다.
1909년과 1912년에 그는 마지막으로 아일랜드를 방문했는데, 이는 ‘더블린 사람들’의 출판을 주선하기 위해서였다. 이 작품은 1914년 영국에서 마침내 출판되었다.
1915년 한 해 동안 조이스는 그의 유일한 희곡 ‘망명자들’을 썼다. ‘젊은 예술가의 초상’은 1916년에 출간되었다. 같은 해 조이스와 그의 가족은 스위스의 취리히로 이사했으며 조이스가 ‘율리시스’를 작업하는 동안 그들은 심한 재정적 빈곤을 겪어야 했다. 연재는 1918년에 시작되었으나 작품의 외설로 인한 시비와 고소로 1920년에 중단되었다.
‘율리시스’는 1922년 파리에서 단행본으로 출판되었으며 조이스 가족은 세계 양차대전 기간 동안 그곳에 체류했다.
1939년에 ‘피네간의 경야’가 출간되었고, 이어 조이스 가족은 스위스로 되돌아갔다.
두 달 뒤, 1941년 1월에 조이스는 장 궤양으로 사망했다.
‘초상’의 초고의 일부인 ‘영웅 스티븐’이 1944년 저자의 사후에 출간되었다.
- 문학세계
〈더블린 사람들〉에서는 20세기 초의 더블린 사람들의 냉소적이고 우울한 모습과 당시의 각박했던 사회상을 그려냈다.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3-1.jpg)
○ 작품
유명한 소설은 《율리시즈》 (1922)와 매우 난해한 후속작 《피네간의 경야》 (1939), 단편인 《더블린 사람들》 (1914), 반자전적 소설 《젊은 예술가의 초상》 (1916) 등이 있다.
*Major works
Dubliners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Exiles and poetry
Ulysses
Finnegans Wake
*Bibliography
– Prose
Dubliners (short-story collection, 1914)
A Portrait of the Artist as a Young Man (novel, 1916)
Ulysses (novel, 1922)
Finnegans Wake (1939, restored 2012)
– Poetry collections
Chamber Music (poems, Elkin Mathews, 1907)
Giacomo Joyce (written 1907, published by Faber and Faber, 1968)
Pomes Penyeach (poems, Shakespeare and Company, 1927)
Collected Poems (poems, Black Sun Press, 1936, which includes Chamber Music, Pomes Penyeach and other previously published works)
– Play
Exiles (play, 1918)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7-1.jpg)
– Posthumous publications and drafts
.Fiction
Stephen Hero (precursor to A Portrait; written 1904–06, published 1944)
The Cat and the Devil (London: Faber and Faber, 1965)
The Cats of Copenhagen (Ithys Press, 2012)
Finn’s Hotel (Ithys Press, 2013)
.Non-Fiction
The Critical Writings of James Joyce (Eds. Ellsworth Mason and Richard Ellmann, 1959)
Letters of James Joyce Vol. 1 (Ed. Stuart Gilbert, 1957)
Letters of James Joyce Vol. 2 (Ed. Richard Ellmann, 1966)
Letters of James Joyce Vol. 3 (Ed. Richard Ellmann, 1966)
Selected Letters of James Joyce (Ed. Richard Ellmann, 1975)
○ 가족
부인 : 노라 바나클 (1884년 ~ 1951년)
아들 : 조지오 조이스 (1905년 ~ 1976년)
손자 : 스티븐 조이스 (1933년 ~ 2020년)
딸 : 루치아 조이스 (1907년 ~ 1982년)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4-1.jpg)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6-1.jpg)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5-1.jpg)
![](https://chedulife.com.au/wp-content/uploads/images.jpeg-170.jpg)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