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일반언어학 노트
페르디낭 드 소쉬르 / 인간사랑 / 2007.12.30
완전히 상실된 것으로 생각되었던 <일반언어학에 대한 저서>의 수고 (手稿) 원본이 1996년에 쥬네브의 소쉬르 저택창고에서 발견된 사건은 이 현대언어학의 창시자의 사상 (思想)에 새로운 빛을 던져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 원고들은 쥬네브 대학공공도서관에 보존된 일반언어학과 관련된 소쉬르의 다른 모든 글들과 함께 엮어 지금 이 책으로 최초로 출간되었다.

○ 목차
역자 서문
편집자 서문
I. 언어의 이중적 본질에 관하여
(BPU 자료 1966)
1 서문
2a [이중적 본질: 처음과 끝인 이중성의 원리]
2b 정체성의 위치
2c 언어학적 대상의 본질
2d [이원성의 원리]
2e [네 가지 관점]
3a [대상에 접근하기]
3b [언어학과 음성학]
3c [음성의 존재와 상관관계]
3d [음성형상의 생리-음향학적 영역]
3e 생리학적, 음향적 관점에서의 구개자음에 대한 관찰
3f [가치, 의미, 의미작용…]
3g [가치와 형태]
4a [음성학과 형태론, 1]
4b [음성학과 형태론, 2]
5a [음성과 의미]
5b [동일성-실체]
5c [동일성-관념의 행진]
6a [언어학자의 조작에 대한 성찰]
6b [형태론-언어상태]
6c [형태]
6d [무차별성과 차별성]
6e [형태-음성적 형상]
7 [음성변화와 의미변화]
8 [기호학]
9 [독자에게 전하는 견해]
10a 본질에 관하여, 등[순간의 전망과 음성학. 상태]
10b 규칙 : 권설음 ṇ
11 [기호의 다양성]
12 [언어의 삶]
13 [문법 : 범주]
14 [문법 : 규칙]
15 [순간의 음성규칙]
16 순간 음성규칙의 특성들
17 [실제적 발화와 잠재적 발화]
18 [평행관계]
19 [모음교체]
20a [부정성과 차이, 1]
20b [부정성과 차이성, 2]
21 [동일화; 상대적 가치와 관점]
22a [음성학과 형태론]
22b [기호학의 근본 원리]
23 [고유 의미와 비유 의미]
24 [기호와 부정성]
25 [동의의 부정성에 대하여]
26 [동의의 문제(계속)]
27 본질에 관하여
28 색인
29a [언어의 체계]
29b [차이와 실체]
29c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의 상대적 상황
29d 종합 부분
29e 어원적 동일성
29f [역사 통사론]
29g [유추변화]
29h [언어학의 중심 대상]
29i [형태론적 혁신]
29j [통합 혹은 추후성찰-사색]
II 1부 아이템과 아포리즘
I. 新 아이템(Fonds BPU 1996)
1 [허사]
2 [기원의 문제-시냇물]
3 [근본적인 요소-그 자체로서의 음성-문장-의식-
언어학적 단위(기호-음성-의미)]
4 [담화적인 것, 변형의 장소-이 책의 구분]
5 [언어학의 상황-언어적 단위]
6 [기호와 의미-기호학적 실체]
II. 舊 아이템(엥글러 편집 1968-1974)
III. 아포리즘(엥글러 편집 1968-1974)
III. 일반언어학에 관한 또 다른 노트
I. 새로운 자료(1996 BPU 문서)
1 [언어활동-언어-발화]
2 [기호]
3 [직감과 귀납]
4 [agricola 유형의 라틴어 합성어에 대해]
5 [faber-Faure (Favre, Fèvre, Lefèvre, Lefébure)]
II. 舊자료(엥글러 편집 1968-1974)
1 [음운론 1]
2a [쥬네브 대학 1차 강연(1891년 11월)]
2b [쥬네브 대학 2차 강연(1891년 11월)]
2c [쥬네브 대학 3차 강연(1891년 11월)]
3a〔언어사에 대한 노트 : 비교문법이란 표현에 대한 비판 I〕
3b〔비교문법이란 표현에 대한 비판 2〕
4〔문학, 문헌학, 언어학의 구별〕
5 [음성사실은 두 시기를 전제한다]
6a [음운론, 2]
6b [음운론, 3]
7 [언어의 특성]
8 형태론
9 [과학문법 내에서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분석에 대한 비판]
10a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1]
10b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2]
10c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3]
11 [휘트니에 대한 논문을 위한 노트]
12a [상태와 운동.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1]
12b [상태와 운동. 일반언어학 저서를 위한 노트, 2]
13a [언어학에서 용어법의 난점에 대하여 (<비유는 더 이상 없다>)]
13b [언어학에서 용어의 난점에 대하여(또는 단순 표현)]
14a [분절에 대하여]
14b [내파+내파]
14c [음절이론(1897?)]
14d [음운론을 위한 노트 ; 간극: 음절이론(1897?)]
15a [언어학은 어떤 종류의 단위 개체를 가지고 있는가?]
15b [단위 개체에 대한 성찰]
16 [해부학과 생리학]
17 [알베르 세쉬예의『이론언어학의 프로그램과 방법』에 대한 노트, 1908]
18 [분류 불가능한 다양한 노트]
19 [기호학]
20 [사건, 상태, 유추]
21 [어족]
22 [접두사 또는 전치사]
23 [모음교체]
24 [문체론 강좌 개설에 대한 보고]
Ⅲ. 담화에 대한 노트(Fonds BPU 1996)
Ⅳ. UNDE EXORIAR(Fonds BPU 1996)
Ⅳ. 일반언어학 강의를 위한 예비노트
I. 새 문헌자료들(Fonds BPU 1966)
1 [언어의 단위의 비물질적 성질]
2 [수단의 무관함]
3 [언어]
4 [기호학]
5 [기호체계-집단]
6 [가치-집단]
7 [지리적 불연속]
8 [상호교류]
II. 옛 문헌자료들(앵글러 편집 1965-1974)
1 [강의 I(1907)을 위한 노트]
2a [강의 II(1908-1909)를 위한 노트 : 이원성]
2b [강의 II(1908-1909)를 위한 노트 : 휘트니]
2C [강의(1908~1909)를 위한 노트 : 켈트어]
3a. [강의(1910~1911)를 위한 노트 : 강의의 구분 및 지리언어학]
3b [강의(1910-1911)을 위한 노트 : 음향연쇄 분석]
3c [강의 III(1910-1911)을 위한 노트 : 명칭목록]
3d [강의 III(1910-1911)을 위한 노트 : 개체와 단편]
3e [강의 III(1910-1911)을 위한 노트 : 기호의 자의성과 사항의 개념]
3f [강의 III(1910-1911)을 위한 노트 : 기호의 변질의 필요성;
공시태와 통시태]
3g [강의 III(1910-1911)을 위한 노트 : 언어가치]
색인

○ 저자소개 : 페르디낭 드 소쉬르
저자 페르디낭 드 소쉬르는 스위스 제네바에서 출생한 소쉬르는 현대 언어학의 이론적 토대를 수립하고 기호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의 가능성을 주창한 천재 언어학자이며 동시에 20세기 사상 지형에서 심대한 영향력을 행사한 독창적 사상가이기도 하다. 증조부에서 부친까지 자연과학 분야의 석학들을 배출한 스위스 명문가에서 태어나 15세에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섭렵하고 언어의 기원에 대한 연역적 방법에 입각한 소논문을 작성하면서 일찍이 자신의 천부성을 증언했다.
19세기 역사비교언어학을 주도한 독일의 라이프치히 대학교에서 약관 21세에 발표한 석사 논문 「인도유럽어들에 있어서 모음의 원시적 체계 논고」는 그를 일약 당대 최고의 비교역사언어학자의 반열에 올려놓고, 유럽 전역의 학계에서 추앙을 받게 해 준 문제작으로서, 지난 200년 동안 언어학 분야에서 생산된 모든 저서들을 통틀어 가장 독창적인 성과들 가운데 하나로서 인정받고 있다. 파리에서 고트어를 비롯한 인도유럽어들을 10년 동안 강의한 후 모교 제네바 대학교로 돌아가 1891년부터 1913년까지 산스크리트어와 비교문법을 강의했다. 그 기간의 말년에 속하는 1907년부터 1913년까지 세 차례의 대학 강의를 통해 일반언어학의 근본적 문제를 다루었다. 하지만 그는 일반언어학 강의와 관련된 출판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심지어 제자들이 출간을 간청해도 수용하지 않았다. 우리가 읽고 있는 『일반언어학 강의』는 그가 타계한 지 3년이 지나 학생들의 강의 필사 노트를 참고해 편집, 출간한 유고집이다.
20세기 중반기부터 소쉬르 사상은 언어학의 틀을 훌쩍 뛰어넘어 인류학, 정신분석학을 비롯하여 현대 인문학의 영역 전반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행사했으며, 더 나아가 20세기 현대 사상의 지적 상상력의 자양분과 수액을 제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소쉬르 강의 및 연구 연보
1857년 11월26일: 쥬네브 태생
1913년 2월22일: 쥬네브 사망
- 독일 시기
1876-1878년: 라이프찌히 대학에서 수학
1878년:『인도유럽어 원시 모음체계에 관한 논고』
1880년:『산스크리트어 절대 속격의 용법』논문으로 박사학위 - 파리 시기
1881년11월: 파리 고등연구원에서 게르만어 비교문법, 그리스어와 라틴어 비교문법 강의 - 쥬네브 시기
1891년11월: 쥬네브 대학의 인도유럽어 비교역사언어학과 산스크리트어 교수.
1896년-1910년: 그리스어, 라틴어, 산스크리트어 비교역사 문법 강의
1896년-1912년: 게르만어 비교문법
1912-1913년: 게르만어 비교문법 및 니벨룽겐 강의, 게르만 전설 연구 - 쥬네브 대학의 <일반언어학 강의>
1907년1월: 1차 강의
1908-1909년: 2차 강의
1910-1911년: 3차 강의 - 1916:『일반언어학강의』(éd. Ch. Bally, A. Sechehaye)
- 1957:『일반언어학강의 수고 원고』(éd. R. Godel)
- 2002:『일반언어학강의 노트』(éd. S. Bouquet, R. Engler)
- 역자 : 김현권
서울대학교 문리대(언어학) 졸업했고, 서울대학교대학원 졸업(석사, 박사)했다. 파리7대학 수학, 경북대 인문대 불문과, 한국방송통신대학 불어불문학과 교수(현)로 있다. - 역자 : 최용호
2004년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불어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역서로는 『언어학과 정신분석학』(1993), 『소쉬르,언어학과 기호학 사이』(2002), 저서로는 『텍스트 의미론 강의』(2004),『의미와 설화성』(2006), 공저로 『광고 커뮤니케이션』, 『문화 마케팅〔(2005)이 있다.

○ 출판사 서평
이 책은 의미가 크다. 소쉬르 저서로 알려진 ‘일반언어학 강의’는 사실 소쉬르가 쓴 것이 아니기 때문. 소쉬르를 연구하는 두 언어 학자가 소쉬르 제자들의 노트를 바탕으로 자신들의 생각을 덧붙여 만든 책이었다. 간접적으로 유추할 수밖에 없던 소쉬르의 사상을 ‘일반언어학 노트’를 통해 직접 접하게 됐다.
이 책은 미완성의 성격이 강해 독자에게 새로운 해석과 상상을 불어넣는다. 소쉬르가 상념에 잠길 때마다 몰아 쓴, 다듬어지지 않은 성격이 강하다. 그래서 텍스트 곳곳이 빈 공간으로 남아 있다.
이 책을 번역한 최용호(한국외대 불어과), 김현권(한국방통대 불어불문학과) 교수는 ‘이 텍스트에 일관성을 복원시킴으로써 텍스트성을 부여하는 행위는 소쉬르와 함께 산책을 나선 독자들의 몫’이라고 설명한다.
각 주제에 대한 단상을 명상록처럼 모은 이 책은 세기의 사상가가 겪은 정신적 고뇌와 사색의 깊이, 인간과 언어에 대한 성찰을 생생하게 풀어내고 있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