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21일, 폴란드의 시인 아담 자가예프스키 (Adam Zagajewski, 1945 ~ 2021) 별세
아담 자가예프스키 (폴: Adam Zagajewski, 1945년 6월 21일 ~ 2021년 3월 21일)는 폴란드의 시인이다. 한국에는 그의 시집 한 권이 출간되었다.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1945년 6월 21일, 폴란드의 리비우, 지금의 우크라이나 영토가 된 르부프에서 태어났다. 2차 대전 이후 르부프가 소비에트로 넘어가자 자가예프스키 가족도 새로이 폴란드 영토가 된 실롱스크 자방의 탄광도시인 글리브채에 정착해서 살았다. 그가 영원한 정신적 이방인으로 살게 된 것은 이러한 유년의 기억 때문이다. 그는 자기 자신까지도 타인의 의식 속에 넣고 시를 썼다.
그는 억압 받는 자의 고독에 깊이 천착 한다. “나는 시가 내 국가가 아니라 나 자신의 감정, 의견, 기쁨, 슬픔으로부터 커가야 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고 고백한다.

○ 생애 및 활동
아담 자가예프스키 (Adam Zagajewski)는 1945년 6월 21일 폴란드 리비우에서 태어나 고향을 배반한다. 한번 잃어버린 고향은 결국 어느 장소에서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던 1945년 폴란드에서 태어난 자가예프스키는 어린 나이에 가족과 함께 가축 운반차에 실려 새로운 땅으로 추방당한다. 그 이후 그는 영원한 이방인, 자기 자신까지도 타인으로 느끼는 삶에 지배당한다.
어린 시절 강제로 고향을 떠나야 했고 시인이 된 후에도 정부와의 마찰로 고국을 등진 채 외국의 도시들에서 쉼 없이 떠돌아야 했던 ‘영원한 타인’ 아담 자가예프스키는 폴란드 출신의 노벨문학상 수상 시인 밀로즈와 심보르스카를 잇는 대표적인 시인이다.
고향 상실과 독재 정치는 자가예프스키의 시 세계에 깊이 파고들었다. 그는 공산 사회의 실체를 폭로한 ‘크라쿠프 뉴웨이브’, 곧 1968년 전후로 등단한 작가 단체인 ‘68세대’의 중심인물로 유명해지지만 그의 작품은 곧 금서 목록에 오른다.
그러나 자가예프스키는 정치적인 상황보다 개인적이고 실존적인 상황에 더 큰 의미가 있음을 깨닫는다. 그는 억압받는 자의 고독에 깊이 천착한다. “나는 시가 내 국가가 아니라 나 자신의 감정, 의견, 기쁨, 슬픔으로부터 커 가야 한다는 것을 확신하게 되었다.”
자가예프스키는 폴란드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체스와프 미워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를 잇는 대표 시인이다. 그의 작품은 세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고 한국의 고은 시인과 함께 매년 노벨문학상 후보에 오른다. 그는 우리 시대의 가장 강렬한 목소리 가운데 하나다. 시를 읽는 사람이 적어지는 지금의 현실에서 그는 시의 열렬한 옹호자이다. “당신은 시를 쓴다. 당신은 살아 있다. 당신이 시를 쓴다면 그것은 그저 슬퍼하기보다 더 큰 전체적인 무언가를 염원하고 있는 것이다. 시에서 당신은 어떤 인간성 같은 것을 복원하려는 것이다. 인간성은 웃음과 울음의 혼합이기 때문이다.” 그는 삶이 기꺼이 내놓는 모든 것을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 안에 그리고 다른 물건 속에 존재하는 아름다움을 인식하라고 한다. 그렇게 하는 것이 우리에게 보편적인 선, 우리 내부에 저마다 존재하는 신, 깊은 곳에 있는 아름다움을 보다 더 가깝게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그는 시를 통해 쉼 없이 나와 타인에 대한 의문부호를 던진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치열한 탐구, 불의와 모순으로 가득찬 거대한 세상을 끊임없이 방랑하는 이방인, 역사 속에 실종된 개인이 안고 있는 존재론적인 고민, 더불어 인간의 삶에 내재되어 있는 역동성과 다양성에 대한 찬미가 씨실과 날실처럼 그의 시편들을 관통하고 있다.
뉴욕타임스 서평처럼, 자가예프스키의 시는 우리를 둔감하게 만드는 모든 일상적인 위협으로부터, 우리를 하찮은 존재에 불과하다고 믿게 만드는 모든 것으로부터 우리를 끌어내 준다.

○ 평가
폴란드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체스와프 미워시,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를 잇는 대표시인이다.
그의 작품은 세계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다수의 문학상을 수상했고 한국의 고은 시인과 함께 매년 노벨 문학상 후보에 오른다.
그는 2차 세계대전이 끝나던 1945년 폴란드에서 태어나 어린나이에 가족과 함께 새로운 땅으로 추방당한다.
이후 그는 영원한 이방인, 자기 자신까지도 타인으로 느끼는 삶에 지배당한다.
고향상실과 독재 정치는 자가예프스키의 시 세계에 깊이 파고들었다.
공산사회의 실체를 폭로한 ‘크라쿠프 뉴웨이브’, 곧 1968년 전후로 등단한 작가단체인 ’68세대’의 중심인물로 유명해지지만 그의 작품은 곧 금서 목록에 오른다.
그러나 정치적인 상황보다 개인적이고 실존적인 상황에 더 큰 의미가 있음을 깨닫고 억압받는 자의 고독에 대한 시를 쓰기 시작한다.
현재 문학가들 중 우리 시대의 가장 강렬한 목소리 가운데 하나다.

○ 저서
*Collections
– Poetry
Komunikat. Kraków, 1972.
Sklepy mięsne. Kraków, 1975.
List. Oda do wielkości. Paris, 1983.
Jechać do Lwowa. London, 1985.
Plótno. Paris, 1990.
Ziemia ognista. Poznan, 1994.
Trzej aniołowie / Three Angels. Kraków, 1998 (bilingual edition of selected poems).
Pragnienie. Kraków, 1999.
Powrót. Kraków, 2003.
Anteny. Kraków, 2005.
Unseen Hand (Niewidzialna reka). Kraków, 2009.
Wiersze wybrane. Kraków, 2010.
Asymetria. Kraków, 2014.
Lotnisko w Amsterdamie / Airport in Amsterdam. Kraków, 2016 (bilingual edition of selected poems).
Prawdziwe życie. Kraków, 2019.
– Prose
Ciepło, zimno. Warszawa, 1975.
Słuch absolutny. Kraków, 1979.
Cienka kreska. Kraków, 1983.
– Essays
Świat nieprzedstawiony. Kraków, 1974.
Drugi oddech. Kraków, 1978.
Solidarność i samotność. “Zeszyty literackie”, 1986.
Dwa miasta. Paryż-Kraków, 1991.
Another Beauty (W cudzym pięknie). Poznań, 1998.
Obrona żarliwosci. Kraków, 2002.
Poeta rozmawia z filozofem. Warszawa, 2007.
Lekka przesada. Kraków, 2011.
Poezja dla początkujących. Warszawa, 2017.
Substancja nieuporządkowana. Kraków, 2019.

*Books in English translation
– Poetry
Tremor Translator Renata Gorczynski, Collins Harvill, 1987.
Canvas Translators Renata Gorczynski, Benjamin Ivry, C. K. Williams, Farrar, Straus and Giroux, 1994.
Mysticism for Beginners: Poems. Farrar, Straus and Giroux. 15 April 1999.
Without End: New and Selected Poems. Clare Cavanagh. Farrar, Straus and Giroux. 18 March 2003.
Selected Poems, Translator Clare Cavanagh, Faber & Faber, 2004.
Eternal Enemies: Poems. Farrar, Straus and Giroux. 28 October 2014.
Unseen Hand: Poems (2011)
Asymmetry: Poems. Farrar, Straus and Giroux. 20 November 2018.
– Essays
Solidarity, Solitude, Ecco Press, 1990,
Two Cities: On Exile, History, and the Imaginatio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95.
Another Beauty. University of Georgia Press. 2002. .
A Defense of Ardor: Essays. translator Clare Cavanagh. Farrar, Straus and Giroux. 28 October 2014.
Slight Exaggeration: An Essay. Trans. Clare Cavanagh. Farrar, Straus and Giroux. 4 April 2017.
– Edited
Polish Writers on Writing (Trinity University Press, 2007)
*Critical studies and reviews
Carpenter, Bogdana (2005). “A Tribute to Adam Zagajewski”. World Literature Today. 79 (2): 14–15.
Cavanagh, Clare (2005). “Lyric and Public: The Case of Adam Zagajewski”. World Literature Today. 79 (2): 16–19.
Kay, Magdalena (2005). “Place and Imagination in the Poetry of Adam Zagajewski”. World Literature Today. 79 (2): 20–22.
Kay, Magdalena (2012). Knowing One’s Place in Contemporary Irish and Polish Poetry: Zagajewski, Mahon, Heaney, Hartwig. New York: Continuum.
Krivak, Andrew (9 May 2003). “The Language of Redemption: The Catholic Poets Adam Zagajewski, Marie Ponsot & Lawrence Joseph”. Commonweal. 130 (9): 12–14.
Shallcross, Bozena (2002). Through the Poet’s Eye: The Travels of Zagajewski, Herbert, and Brodsky. Evanston: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