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8년 4월 19일, 이탈리아의 화가 카날 / 카날레토 (Giovanni Antonio Canal, 1697 ~ 1768) 별세
지오반니 안토니오 카날레토 (Giovanni Antonio Canal, 1697년 10월 18일 ~ 1768년 4월 19일)은 이탈리아의 화가이다. 베네치아 출신으로 풍경화의 대가였던 그는 카날레토로 더 잘 알려져있다.

– 카날 / 카날레토 (Giovanni Antonio Canal)
.출생: 1697년 10월 18일, 이탈리아 베니스
.사망: 1768년 4월 19일, 이탈리아 베니스
.예술 사조: 로코코, 바로크
.부모: 베르나르도 카날, 아르테미시아 바비에리
.국적: 베네치아 공화국, 이탈리아
카날레토는 베네치아의 명소 그림으로 유명하지만, 초기에는 베네치아의 일상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호평을 얻었다.
힘들이지 않은 것 같은 능숙한 붓놀림과 뚜렷한 명암의 표현이 특징이다.
사실적, 지형학적인 풍경을 그렸다.

○ 생애 및 활동
카날레토는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때때로 가문의 문장 (紋章)을 서명으로 사용했다.
그러나 그가 어떻게 카날레토로 알려지게 되었는지는 확실하지 않은데, 아마 이 이름은 그의 아버지와 그를 구별하기 위해 처음 사용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의 아버지 베르나르도 카날은 극장의 무대 배경을 그리는 화가였으며 카날레토는 작업실에서 아버지를 도왔다.
카날레토는 1716 ~ 1719년에는 베네치아에서, 1719 ~ 1720년에는 로마에서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의 오페라를 위한 배경 장면을 그리는 등 아버지, 동생과 함께 일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카날레토가 무대 그림을 그만두고 지지적 (地誌的)인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것은 바로 로마에서였는데, 주제를 선정하는 것이라든가 담채화 기법을 사용하며 무대에서와 같은 원근법을 이용한 점에서 여전히 무대 그림과 아주 비슷했지만 이 그림들로 말미암아 그뒤 곧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는 베네치아로 돌아와서 외국인 후원자들과 접촉하기 시작했는데, 그들은 그의 전생애에 걸쳐 계속 주요한 후원자가 되었다.
1723년 이전에 리히텐슈타인의 왕자를 위해 4점의 대작을 완성했으며, 1725 ~ 1726년에는 루카 출신의 상인인 스테파노 콘티를 위해 일련의 그림들을 완성했다.
이무렵 그가 얼마나 바쁘고 힘들었는지는 콘티의 비망록에 잘 나타나 있다.
카날레토에 따르면, 그림들을 넘겨주는 것이 늦어진 이유는 우선 수많은 주문들이 밀려들어왔고, 그 자신은 좋은 물감을 써서 실물을 기초로 그리는 것을 고집했기 때문이었다.
〈석공의 작업장 ; The Stonemason Yard〉(런던 국립미술관)을 비롯한 1720년대 후반의 그림들에서 그는 좀처럼 성취하지 못할 대담하고 섬세한 양식을 사용해 베네치아의 건축을 풍부하게 극적으로 해석했다.
그가 햇빛과 그림자, 구름의 효과, 건물에 대한 빛의 작용을 이해하고 있었다는 것은 그당시의 화가들에게는 매우 특이한 방식인 야외 사생이라는 그의 비망록에 나오는 내용을 뒷받침하고 있다.
1730년대 내내 카날레토는 베네치아의 풍경화에 대한 외국인들의 주문을 충족시키는 데 전념했다.
그는 심한 부담을 느껴 결국에는 실물을 기초로 하기보다는 주로 소묘와 심지어는 다른 미술가들의 판화를 기초로 해서 작품을 만들지 않을 수 없었다.
그는 또한 렌즈를 통해 그라운드글래스 스크린 위에 소묘나 밑그림용으로 쓸 풍경의 상을 맺게 해주는 장치인 ‘카메라 오티카’ (camera ottica)의 사용을 개발했으며, 후에 기계적인 방법을 개발했는데, 여기에서는 자와 컴퍼스가 사용되었으며 건축물과 인물들은 훌륭하고 효과적인 공식에 따라 배치되었다.
그의 생애에 엄청나게 많은 베네치아의 풍경화가 만들어져서 카날레토가 대규모 작업장의 우두머리였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많지만 이에 대한 증거는 전혀 없다.
당시에 카날레토에 견줄 만한 상대는 거의 없었다.
그가 주로 외국의 고객을 위해 지지화를 그리기로 결정하는 데에 처음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이는 화가인 루카 카를레바리스는 경쟁에서 밀려났고, 카날레토의 조카인 베르나르도 벨로토는 아직 성숙한 화가가 아니었으며, 미켈레 마리에스키는 경쟁자라기보다는 그의 추종자였다.
이렇게 독보적인 존재였기 때문에 카날레토와 거래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졌다.
영국의 유명한 오페라 배우 겸 카날레토의 후원자인 오웬 맥 스위니는 일찍이 1727년에 다음과 같이 썼다.
“그 친구는 성격이 변덕스러우며 그래서 그가 요구하는 가격도 날마다 변한다.
그러나 자신의 작품에 긍지를 느끼는 사람이라면 그것에 너무 집착하는 것처럼 보여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미술가는 그로 인해 가격은 물론 그림도 더 나쁘게 평가받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1740년 오스트리아의 왕위계승을 놓고 전쟁이 일어나자 베네치아를 찾아오는 방문객들의 수가 갑자기 줄어들었으며, 그로 말미암아 카날레토에게 들어오던 주문도 급격히 감소했다.
이무렵 일찍부터 알고 지내던 조지프 스미스 (출판업자 겸 상인으로, 뒤에 베네치아에 주재하는 영국 영사가 됨)가 그에게 원조의 손길을 뻗쳤다.
양식적인 베네치아의 풍경화에 대한 수요가 떨어지자 스미스는 카날레토에게 주제의 범위를 넓혀 로마의 기념물과 파도바 지방 및 브렌타 강 유역의 풍경 등을 그리도록 권유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의 장소를 어느 정도 알아볼 수 있는 요소들을 재배치한 카프리치오 (capriccio) 그림들과 거의 완전히 상상에 의한 건축 및 배경 요소들로 이루어진 이상화된 베두타 그림들이 카날레토의 작품에서 점점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기 시작했다.
1741 ~ 1744년 카날레토는 매우 솜씨가 뛰어나고 섬세한 30점의 에칭 연작을 제작했는데, 이것들은 능숙한 원근법 및 명암처리를 보여준다.
관광객들이 더욱 줄어들자 그의 국제적인 명성은 오히려 높아졌다.
1746년 그는 영국에 가서 크게 환영받았으며, 작센의 선제후로부터 드레스덴으로 오라는 초청을 받았지만 1755년까지 영국에 머물렀다.
그는 주로 런던에서 영국의 풍경을 그렸다.
이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들을 고려할 때, 베네치아의 경험을 기초로 다양한 전통을 이끌어낸 50세의 노장 카날레토가 전혀 다른 정서적 환경과 주제를 다룬 것이 눈에 띈다.
때때로 그는 베네치아풍의 분위기에 영국식 소재를 집어넣음으로써 걸작을 만들기도 했지만, 대부분은 그의 평소 수준에 못 미치는 것이었으며 활기가 없고 기계적이었다.
그러나 베네치아로 돌아와서도 그의 명성은 떨어지지 않았으며 마침내 공식적인 인정을 받아 1763년 베네치아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고 같은 해에 콜레조 데이 피토리의 원장으로 임명되었다.

○ 위대한 베두타 화가
카날레토 (Antonio Canaletto, 1697 ~ 1768)는 베투타의 대가답게 베네치아의 건축물들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재현하였는데 너무나 사실적이라서 회화라기 보다는 조감도 느낌이 들기도 한다.
베두타 (Veduta)란 이탈리아어로 ‘전망’이라는 뜻이며 도시나 마을 등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상세히 묘사한 회화, 소묘, 에칭을 일컫는 미술 용어다.
카날레토 (Antonio Canaletto, 1697 ~ 1768)는 극장의 배경화가였던 아버지에게서 그림의 기초를 배우고 풍경화가 루카 카를레바리스를 따라 ‘베두타’라고 하는 풍경화를 공부했다.
카날레토는 베네치아와 런던 및 영국의 교외 풍경을 사실적으로 묘사해 후대 풍경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친 인물이다.
카날레토의 작품은 주제 선정이나 원근법 등에서 실물과 아주 비슷했으며 이로 말미암아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된다.
카날레토는 베네치아의 풍경을 정밀하게 묘사 하였는데 햇빛과 그림자, 구름의 효과, 건물에 대한 빛의 작용 등을 잘 이용한 데다가 적재적소에 인물 군상도 배치해서 당시의 생생한 사진을 보는 듯한 작품으로 유럽 귀족들에게 인기가 대단했다고 한다.
카날레토는 베투타의 대가답게 베네치아의 건축물들을 정확하고 상세하게 재현하였는데 너무나 사실적이라서 회화라기 보다는 조감도 느낌이 들기도 한다.
베두타 (Veduta)란 이탈리아어로 ‘전망’이라는 뜻이며 도시나 마을 등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상세히 묘사한 회화, 소묘, 에칭을 일컫는 미술 용어다.

○ 작품 (ABC순)
A Regatta on the Grand Canal 1732
Arrival of the French Ambassador in Venice 1740
Bacino di San Marco (St. Mark’s Basin) 1738
Capriccio – River Landscape with a Column 1754
Capriccio – Ruins and Classic Buildings 1730
Capriccio – The Grand Canal, with an Imaginary Rialto Bridge and Other Buildings 1740
Capriccio – The Horses of San Marco in the Piazzetta 1743
Capriccio with Ruins and Porta Portello, Padua 1750
Capriccio with Venetian Motifs 1740
Dolo on the Brenta 1730
Entrance to the Grand Canal – from the West End of the Molo 1735
Eton College Chapel 1754
Grand Canal – Looking from Palazzo Balbi 1726
Grand Canal – Looking North from Near the Rialto Bridge 1726
Grand Canal – Looking South-West 1738
Grand Canal, Looking East from the Campo San Vio 1723
Grand Canal, Looking Northeast from Palazo Balbi toward the Rialto Bridge 1723
La Vigilia di Santa Marta 1760
London – Ranelagh, Interior of the Rotunda 1754
London – Seen Through an Arch of Westminster Bridge 1746
London – The Thames and the City of London from Richmond House 1747

London – Westminster Bridge from the North on Lord Mayor’s Day 1746
Palazzo Ducale and the Piazza di San Marco 1755
Piazza San Marco – Looking East from the South West Corner 1760
Piazza San Marco – Looking South-West 1755
Piazza San Marco – the Clocktower 1730
Piazza San Marco with the Basilica 1730
Reception of the Ambassador in the Doge’s Palace 1730
Return of the Bucentoro to the Molo on Ascension Day 1732
Warwick Castle 1748
Santi Giovanni e Paolo and the Scuola di San Marco 1726
The Bucintore Returning to the Molo on Ascension Day 1740
The Bucintoro Returning to the Molo on Ascension Day 1730
The Grand Canal and the Church of the Salute 1730
The Grand Canal at the Salute Church 1738
The Grand Canal from Campo S. Vio towards the Bacino 1729
The Molo – Looking West 1730
The Piazzetta, Looking toward the Clock Tower 1726
The Vigilia di San Pietro
Venice – The Grand Canal from Palazzo Flangini to the Church of San Marcuola
Venice – The Piazzetta Looking South-west towards S. Maria della Salute 1725
View of San Giovanni dei Battuti at Murano 1725
Warwick Castle – the South Front 1748
Alnwick Castle 1746
Perspective 1765
San Giacomo Di Rialto 1727
The Stonemason’s Yard 1728
Santi Giovanni e Paolo and the Scuola di San Marco 1725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