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96년 5월 12일, 스웨덴의 국왕으로 바사가의 시조 구스타프 1세 바사 (Gustav Vasa, 1496 ~ 1560) 출생
구스타브 1세 바사 (스: Gustav I Vasa, 1496년 5월 12일 ~ 1560년 9월 29일) 또는 구스타브 1세 에릭손 바사 (Gustav I Eriksson Vasa)은 스웨덴의 국왕 (재위: 1523년 6월 6일 ~ 1560년 9월 29일)이자 바사가의 시조이다.

– 구스타브 1세 바사 (Gustav Vasa)
.출생: 1496년 5월 12일, 스웨덴 우플란드 린드홀멘
.사망: 1560년 9월 29일 (64세), 스웨덴 스톡홀름
.매장지: 웁살라 대성당
.가문: 바사가
.부모: 부) 에릭 요한손 바사, 모) 세실리아 몬스도테르
.배우자: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카타리나, 마르가레타 레이온후부드, 카타리나 스텐보크
.종교: 로마 가톨릭교회 → 루터교
* 스웨덴 국왕
.재위: 1523년 6월 6일~1560년 9월 29일
.대관식: 1528년 1월 12일
.전임: 크리스티안 2세 / 후임: 에리크 14세
칼마르 연합을 주도하던 덴마크로부터 스웨덴을 독립시킨 실질적인 국부이다.
스웨덴을 근대 국가로 만든 장본인이다.

○ 생애 및 활동
스웨덴의 귀족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에리크 요한손 (1470 ~ 1520)은 원로원 의원이었으며 어머니는 체칠리아 몬스도테르 (1476 ~ 1523)이다.
그의 가문은 15세기 스칸디나비아 파벌 귀족종치의 세도가였고 스웨덴 섭정 3명을 배출한 스투레 가문과 사돈지간이었다.
그가 어린 시절 스웨덴은 덴마크가 주도하는 칼마르 연합의 일원이었고, 스웨덴의 주요 귀족들은 덴마크의 간섭에서 벗어나 스웨덴의 자주성을 되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 저항 운동
1509년부터 1514년까지 웁살라 대학교에서 재학했다.
1518년 덴마크의 크리스티안 2세 국왕과의 전쟁에 참전하여 덴마크군의 포로로 잡혔지만 1519년에 도피했고 달레카를리아 (Dalecarlia)에 귀환했다.
1520년 11월에는 스톡홀름을 점령한 덴마크 군대가 스웨덴의 귀족들을 대규모로 학살한 스톡홀름 피바다 사건이 일어났다. 이 사건으로 인해 아버지를 잃은 구스타브는 스웨덴을 탈출한 뒤부터 저항 운동에 앞장섰다.
1521년 달라르나 지방으로 귀환한 이후에는 농민들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그가 일으킨 농민 반란은 스웨덴 해방 전쟁으로 확산되었다.
1523년 6월 6일에는 스웨덴 의회로부터 구스타브 1세 에릭손 바사 국왕으로 즉위함과 동시에 스웨덴의 독립을 선언하여 마침내 칼마르 동맹이 해체되었다.
스웨덴에서는 매년 6월 6일을 국경일로 정하고 이를 기념한다.

– 종교 개혁
바사는 국교를 루터교, 곧 개신교로 정하는 종교 개혁을 시행하였다.
1527년에는 전체 교회 재산을 몰수하여 국가 재정을 늘렸다. 또한 그립스홀름 성 등을 짓고, 개혁을 잘 이끌어 훗날 스웨덴이 발트 해의 강대국으로 발전하는 기틀을 만들었다.
1544년에는 스웨덴 의회를 통해 선거군주제를 폐지시키고 세습군주제로 전환했다.
– 말년
구스타브 1세는 맏아들 에리크와 둘째 요한이 틈만 나면 싸우는 것을 우려했다.
하지만 이 둘의 갈등은 그가 방조한 면도 없잖아 있는데 1557년 둘째 이하의 자식들에게 스웨덴을 공국으로 나누어 분배하면서 거의 준독립국 수준의 자치를 허용한 것.
생전에 그가 추구했던 왕권 강화와는 상반된 정책이었고 덕분에 스웨덴은 막내 칼이 즉위하기 전까지 골육상쟁으로 얼룩진 정쟁을 겪었다.
1550년대부터 건강에 문제가 생겼고 1560년 9월, 아들들과 귀족들을 불러모아 단합을 부탁하는 마지막 연설을 끝으로 숨을 거두었다.
1560년 9월 29일 사망하여 웁살라 대성당에 묻혔다.

○ 왕비와 자녀
– 제1비 작센라우엔부르크의 카타리나
에리크 14세
– 제2비 마르가레타 레이온후부드
요한 3세
카타리나
세실리아
망누스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안나 마리아
소피아
엘리사베트
칼 9세
– 제3비 카타리나 스텐보크
(소생 없음)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