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3년 2월 21일, ‘학습목표분류’ · ‘완전학습모형’을 제시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벤저민 블룸 (Benjamin S. Bloom, 1913 ~ 1999) 출생
벤저민 블룸 (Benjamin S. Bloom, 1913년 2월 21일 ~ 1999년 9월 13일)은 미국의 교육심리학자이다.

– 벤저민 블룸 (Benjamin S. Bloom)
.출생: 1913년 2월 21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랜스포드
.사망: 1999년 9월 13일, 미국 일리노이 시카고
.학력: 펜실베니아주립대학교, 시카고 대학
.저서: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등
.배우자: 소피 블룸 (1940 ~ 1999)
.자녀: 데이빗 블룸, 조나단 블룸
블룸 (Benjamin S. Bloom, 1913 ~ 1999)은 유태계 미국인 교육심리학자로, 교육목표 분류와 ‘완전학습’ (mastery-learning)에 대한 이론을 업적으로 남겼다.
1944년 시카고대학교 교육학부 교수가 되었고, 1948년에는 전국 대학 및 대학교 회의를 소집해서 광범위한 목표학습 결과를 분류할 수 있는 규범을 고안하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를 시작했다.
블룸은 교육적 목표는 인지적 복합성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는 가정을 하였다.

○ 생애 및 활동
미국 펜실베이니아주의 유태계 가정에서 태어나 1935년 펜실베이니아 주립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시카고 대학교의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이스라엘, 인도 등의 국가에서 교육자문으로 활동하였다.
1955년 수업목표에 대한 타일러의 견해를 구체화한 ‘학습 (교육) 목표분류’를 발표하였고 ‘완전학습모형’을 제시하였다.
벤저민 블룸은 교사와 학생의 피드백으로 보완된 집단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결함투성이로 성장하기 전에 결함을 교정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교사의 관심과 격려를 받을 기회를 모든 학생들에게로 확대하는 방법을 통해, 그는 교사와 학생 간의 1대1 튜터링에서만 가능했던 학습 결과를 다른 방법으로도 얻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블룸은 J. B. 캐롤이 제안한 “목표도달 학습의 성취는 학습 성취에 필요한 시간과 학습에 실제로 투입한 시간과의 함수관계로 나타난다” 라는 가정을 받아들여 효율적인 수업전략으로 완전학습을 연구했다.
그후 J. H. 블락이 완전학습을 더욱 발전시켰다.
완전학습의 수업체제는 미국의 초·중등학교 교육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고 또한 널리 적용되었으며, 한국에서도 1970년대의 학교교육에 널리 적용된 바 있다.

○ Bloom의 학습목표 분류
Bloom의 학습목표 분류에 의하면 학습목표는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 심리운동적 영역 3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1.인지적 영역은 지식의 증가와 그 정보를 이용하는 능력의 증가를 보여주는 것
2.정의적 영역 (정서학습)은 느낌이나 정서의 내면화가 이루어지면서 대상자의 성격과 가치체계에 통합되는 것
3.심리운동적 영역 (심동적 학습)은 지식이 늘어나면서 신체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신경· 근육의 조정을 필요로 하는 기술을 발휘하는 것
– 지적영역 (인지적 영역)은 ‘지식 – 이해 – 적용 – 분석 – 종합 – 평가’의 6단계로 나눌 수 있다.
.1단계 지식 : 학습하는 것을 기억하는 단계 (행동용어 : 기술하다, 정의하다, 배열하다, 기억하다, 확인하다, 진술하다, 선택하다)
.2단계이해 : 의미를 파악하는 단계 (행동용어 : 분류하다, 번역하다, 구별하다, 예를들다)
.3단계 적용 : 새로운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단계 (행동용어 : 적용하다, 계획하다, 수정하다, 조작하다)
.4단계 분석 : 내용의 부분을 나누고 차이를 구별할 수 있으며,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단계 (행동용어 : 분석하다, 분출하다, 도해하다, 세분하다, 분리하다, 검증하다)
.5단계 종합 : 새로운 전체를 형성할 수 있는 단계 (행동용어 : 종합하다, 결합하다, 편찬하다, 구성하다, 창작하다, 고안하다, 설계하다, 수정하다, 재구성하다, 요약하다)
.6단계 평가 : 새로운 내용의 유용성을 판단하고, 질적, 양적 가치판단을 내릴 수 있는 단계 (행동용어 : 사정하다, 판단하다, 평가하다, 비교하다, 결론을 내리다, 대조하다, 비평하다, 변별하다)

– 정의적 영역 학습 (정서학습)은 느낌이나 정서의 내면화가 깊어짐에 따라, 대상자의 성격과 가치체계에 통합됨이 증가하는 것으로 ‘수용 (감수, receiving) – 반응 – 가치화 – 내적일관화 (조직화) – 채택 (인격화)’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1. 수용, 감수 : 경청하고 관심을 보임
2. 반응 : 참여하고 반응
3. 가치화 : 가치를 인정함
4. 내적일관성(조직화) : 가치를 내면화시킴
5. 채택(인격화, 성격화) : 새로운 가치를 생활속으로 통합
– 단계 / 대상자의 행동 / 교사 (간호사)의 행동
1. 수용, 감수 (receiving) / 가족계획 강의에 관심을 보임 / 대상자의 관심을 끌어냄
2. 반응 / 다양한 방법의 장단점을 토론함 / 대상자의 참여를 격려함
3. 가치화 / 사용할 방법을 선택함 / 대상자의 결정권한을 존중함
4. 내적일관성 (조직화) / 자녀수를 제한하는 것에 대한 책임을 이해하고 받아들임 / 대상자가 역할모델과 접촉할 수 있도록 함
5. 채택 (인격화) / 출산조절을 계속해서 실천함 / 실천에 대해 긍정적으로 강화시켜 줌
심리운동적 영역은 반사동작, 기본동적, 지각능력, 신체능력, 숙력동작, 동작적 의사소통 등과 관련된 목표가 포함되지만 세분화하지는 않다.

○ Bloom의 완전학습모형 (Mastery Learning)
완전학습모형 (Mastery Learning)은 1968년 미국의 교육심리학자 벤자민 블룸에 의해 처음 제안된 학생 지도 전략의 방안으로 이에 의하면 학생들은 차시 학습으로 넘어가기 이전에 그 수준의 정보에 통달하는 단계 (즉, 지식 테스트의 90%에 통달하는 단계)에 이르러야 한다.
학생이 테스트에서 정보 통달을 성취하지 못하면 정보 학습과 검증에 대해 추가적 지원을 받고 테스트를 다시 받아야 한다.
이런 순환은 학습자가 정보 통달에 이를 때까지 이어져야 하고 그 다음에라야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 완전학습 모형 단계
1.기초학습 결함 진단
2.기초학력 보충과정
3.수업 목표 명시
4.교사의 수업
5.수업 보조활동
6.형성평가
7.보충학습 or 심화학습
8.제2차 학습기회
이 이론은 동일한 대상을 학습하고 동일한 수준의 통달을 성취하기 위해 서로 다른 학생들에게 제각기 요구되는 시간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제시한다.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대상을 학습하기 위해 거의 동일한 시간이 주어지는 고전학습이론에 비하여 이 이론이 요구하는 시간의 양은 매우 많은 편이다.
학생의 학습성취 실패를 학생 탓으로만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존 이론에 비하여 학습성취 실패의 책임이 향하는 대상에 변화를 주기 때문에 이 이론에서의 어려운 점은 모든 학생들이 동일한 수준의 학습을 성취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을 마련해주고 지도안을 이용하는 것이다.

○ 저서
블룸 (Bloom)의 교육에 대한 공헌은 수년 동안 일련의 책에 기록되어 있다.
교육 목표의 분류, 지침 1 : 인지적 영역, Benjamin S. 1956년.
교육 목표의 분류 : 교육 목표의 분류, Benjamin S. 1956년.
우리의 모든 아이들의 학습, Bloom, Benjamin S. 1980년.
젊은 사람들의 재능 개발, Ballantine Books. Bloom, BS, & Sosniak, LA 1985년.
– Works
Bloom, Benjamin Sapkota (1980). All Our Children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Bloom, Benjamin 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1956). Published by Allyn and Bacon, Boston, MA. Copyright (c) 1984 by Pearson Education.
Bloom, B. S. (ed).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Eisner, Eliot W. “Benjamin Bloom: 1913-1999.” Prospects, the quarterly review of comparative education (Paris, UNESCO: International Bureau of Education), vol. XXX, no. 3, September 2000. Retrieved from http://www.ibe.unesco.org/publications/ThinkersPdf/bloome.pdf on April 10, 2009.
Torsten Husén, Benjamin S. Bloom, in: Joy A. Palmer (ed), Fifty Modern Thinkers on Education: From Piaget to the Present Day,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1, pp. 86–90.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