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
인조실록 (仁祖實錄)
조선후기 제16대 왕 인조의 재위 기간 동안의 국정 전반에 관한 역사를 다룬 실록.

○ 내용
1623년 4월부터 1649년 5월까지 인조의 재위 26년 2개월 간의 국정 전반의 역사를 다루고 있다. 50권 50책. 활자본. 정식 이름은 ‘인조대왕실록’이다.
인조가 승하한 다음해인 1650년(효종 1) 8월 1일 전왕대의 실록을 편찬하라는 왕명에 따라 춘추관 안에 실록청을 설치하고 편찬에 착수, 1653년 6월에 완성하였다. 편찬에 관여한 전후의 실록청 총재관(摠裁官)과 도청당상·낭청 및 각방(各房) 당상·낭청은 다음과 같다.
총재관은 영춘추관사 이경여(李敬輿)·김육(金堉)이고, 도청당상은 지춘추관사 오준(吳竣)·이후원(李厚源)과, 동지춘추관사 윤순지(尹順之)·조석윤(趙錫胤)·채유후(蔡裕後)이며, 도청낭청은 편수관인 홍명하(洪命夏)·조한영(曺漢英)·이응시(李應蓍)·김홍욱(金弘郁)·심세정(沈世鼎)·이천기(李天基)·권우(權堣)·홍처윤(洪處尹)·심지한(沈之漢)·조빈(趙贇), 기주관(記注官)인 조복양(趙復陽)·홍처량(洪處亮)·정언벽(丁彦璧)·김시진(金始振)·홍처대(洪處大)·오정위(吳挺緯)·이정영(李正英)·이정기(李廷夔), 기사관(記事官)인 조사기(趙嗣基)·오핵(吳翮)·서필원(徐必遠)·김휘(金徽)·이경휘(李慶徽)·민정중(閔鼎重)·신최(申最)이다.
일방당상(一房堂上)은 지춘추관사인 임담(林墰)·이기조(李基祚), 동지춘추관사인 신유(申濡), 수찬관인 김익희(金益熙)·이시해(李時楷)이고, 일방낭청(一房郎廳)은 편수관인 이해창(李海昌)·성이성(成以性)·이홍연(李弘淵)·이석(李晳), 기주관인 정유(鄭攸), 기사관인 홍중보(洪重普)·김종일(金宗一)이다. 이방당상(二房堂上)은 동지춘추관사 여이징(呂爾徵), 수찬관 이일상(李一相)·황호(黃㦿), 이방낭청(二房郎廳)은 편수관 조형(趙珩)·유도삼(柳道三)·변시익(卞時益), 기주관 채충원(蔡忠元)·홍수(洪鐩)·김좌명(金佐明)·이경억(李慶億), 기사관 조구석(趙龜錫)이다.

삼방당상(三房堂上)은 지춘추관사 한흥일(韓興一)·박서(朴遾), 동지춘추관사 신익전(申翊全), 수찬관 유황(兪榥)·조수익(趙壽益)·이지항(李之恒)·이행진(李行進)·남노성(南老星), 삼방낭청(三房郎廳)은 편수관 엄정구(嚴鼎耉)·정지화(鄭知和)·곽지흠(郭之欽), 기주관 이항(李杭)·이후(李垕), 기사관 장차주(張次周)·신혼(申混) 등이다.
인조는 세조·중종과 같이 전왕을 폐하고 즉위했기 때문에 조선시대의 일반적인 기년법인 유년칭원법(踰年稱元法)을 사용하지 않고 즉위년칭원법(卽位年稱元法)을 사용하였다. 이 실록은 인조가 재위한 1623년(인조 1) 3월 13일(癸卯)부터 1649년 5월 8일(丙寅)까지 26년 2개월 간에 있었던 정치·외교·국방·경제·사회·문화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이 연월일순에 따라 편년체로 서술되어 있다.
이 시기는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집권에 따라 정계가 재편되고 국가 정책의 변화가 있었으며, 또한 반후금정책(反後金政策)을 취한 결과 두 차례의 호란을 겪은 격동기였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조대의 사실(史實)은 물론이고 조선 후기의 역사와 문화를 연구하는 데에 있어 근본적인 자료의 하나이다. 1920년대 이후 조선 역대 왕(태조∼철종)의 실록이 수차 영인되었는데, 당시 이 실록도 다른 왕의 실록과 함께 영인본이 간행되었다.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1권의 번역본 『인조실록』을 민족문화추진회에서 출간하였고, 현재 국사편찬위원회 홈페이지에서 번역본과 원문을 공개하고 있다.(http://sillok.history.go.kr/)


참고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