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0년 2월 5일, 스위스의 화가•디자이너 H. R. 기거 (Hans Rudolf “Ruedi” Giger, 1940 ~ 2014) 출생
한스 루돌프 “루어디” 기거 (Hans Rudolf “Ruedi” Giger, 1940년 2월 5일 ~ 2014년 5월 12일)는 스위스의 초현실주의 화가, 디자이너이다.
– H. R. 기거 (Hans Rudolf “Ruedi” Giger)
.출생: 1940년 2월 5일
.사망: 2014년 5월 12일
.직업: 화가, 조각가, 건축가, 삽화가, 그래픽 디자이너, 디자이너, 영화 감독, 영화제작자
.수상: 아카데미 시각효과상 (1978), Science Fiction and Fantasy Hall of Fame (2013), 잉크팟 어워드 (1979)
.웹사이트: www.hrgiger.com
한스 루돌프 “루어디” 기거 (Hans Rudolf “Ruedi” Giger, 1940년 2월 5일 ~ 2014년 5월 12일)는 스위스의 초현실주의 화가, 디자이너로 그라우뷘덴주 쿠어에서 태어났다.
어둡고 환상적인 그림을 그리며, 그의 작품을 보면 작가가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기괴하다. 기거는 자신의 독특한 작품 세계가 자신의 꿈, 러브크래프트, 프란츠 카프카, 프로이트의 심리학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말한다. 약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렸을 때부터 사람의 두개골이나 뼈에 관심이 많았다. 여성에 대한 관심이 많았지만 외모에 컴플렉스가 있었으며, 여성 앞에만 서면 소극적으로 변하는 성격이었다. 여성 관계도 별로 좋게 끝나지 않았다. 애인이었던 스위스 배우는 자살, 첫 결혼도 반년만에 파경. 그 때문인지 그의 작품에선 여성의 누드가 해골, 악마, 기계 등과 합쳐진 듯한 기괴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전반적인 그의 작품은 문명 사회의 잔혹함을 추상화한 그로테스크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의 이러한 독특하고도 공포스러운 디자인을 ‘기거테스크’, ‘바이오메카니즘’ 등으로 부르고 있다. SF 등에서 등장하는 생물인지 기계인지 알 수 없는 섬뜩하면서 기괴한 디자인은 이 인물이 원조인 셈. 기법에서 기존의 초현실주의 화풍 외에도 히에로니무스 보스 같은 서양 중세의 환상 회화의 영향을 느낄 수 있는데, 실제로 네크로미콘 시리즈 같은 작품 일부는 중세 회화를 현대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영화 듄의 디자인을 맡은 것을 계기로 영화 업계에서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조드로프스키 판 듄이 제작 취소되고 당시 듄을 함께 작업했던 댄 오배넌이 에이리언 1을 제작하던 리들리 스콧에게 에이리언의 디자인으로 기거의 ‘네크로노미콘 IV’를 추천하게된다. 이 영화가 세계적인 흥행을 하면서 기거 역시 큰 명성을 얻게 된다.
이후 스피시즈 등에 참여해 뛰어난 디자인을 그려냈다. ELP의 ‘Brain Salad Surgery’, 블론디의 보컬리스트 데비 해리의 ‘koo koo’, 데드 케네디스의 ‘Frankenchrist’, 콘의 보컬 조나단 데이비스의 마이크 스탠드와 히데의 앨범 ‘HIDE YOUR FACE’, 켈틱 프로스트의 ‘To Mega Therion’, 카르카스의 ‘Heartwork’, Triptykon의 ‘Eparistera Daimones’ 등 많은 음악 앨범의 표지를 디자인 하기도 했다.
게임 쪽에서는 어둠의 씨앗 (Dark seed) 컨셉 디자이너로 유명하다. 여기에 얽힌 비화가 하나 있는데, 원래 제작진 쪽에서 사양 타협으로 저해상도로 시안을 기거에게 제시했는데 기거가 무슨 판단이냐, 원화를 시궁창에 버릴 셈이냐라고 벌컥 화를 내는 바람에 제작진 쪽에서 울며 겨자먹기로 해상도를 상향 조정했다고 한다. 2011년에는 에이리언 세계관과 연관이 있는 리들리 스콧의 영화, 프로메테우스 제작에 디자이너로 참여했다.
에이리언의 디자이너, 헤비메탈 앨범의 커버 디자이너 정도로 알음알음 알려졌던 H. R. 기거의 작품이 국내에서 제대로 소개된 것은 1993년 서울창작이라는 출판사에서 발간한 호러/SF 단편 소설 모음집인 토탈 호러를 통해서이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이 책의 커버 및 전면 화보에 다수의 기거 작품을 컬러 화보로 실어놓아서 순진한 대중에게 ‘아니 세상에 이런 그림이?’하는 충격을 주었다. 사실 이 표지 그림은 위에 언급된 게임 어둠의 씨앗 포스터로 대대적으로 사용된 그림이며, 국내에 출시되기까지 했다. 즉, 당시 게임이나 PC 관련 잡지라면 빠짐 없이 실렸던 것이다. 그것을 위 호러 소설집에서 표지 그림으로 무단으로 도용한 것이다. 표지 그림의 원본은 기거가 1974년에 그린 Li II인데 게임으로 기거 작품중 제일 유명해진 작품이라 사용된 것인듯하다.
그로테스크한 그림이 많아서 일부 작품은 즈지스와프 벡신스키의 것과 혼동되기도 한다.
2014년 5월 12일 오후에 별세했다. 집 계단에서 넘어져 병원에 실려갔다가 별세했다고 전한다.
○ 참여 작품
- 영화
듄(1974) – 제작 취소
에이리언 시리즈 – 에이리언, 에이리언 3
폴터가이스트 2(Poltergeist II: The Other Side)
킬러 콘돔
스피시즈 시리즈 – 스피시즈, 스피시즈 2
퓨쳐 킬
제도물어(크리쳐 디자인)
프로메테우스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