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9년 1월 19일, 러시아의 혁명가 보리스 사빈코프 (Boris Viktorovich Savinkov, 1879 ~ 1925) 출생
보리스 빅토로비치 사빈코프 (Boris Viktorovich Savinkov, 러: Бори́с Ви́кторович Са́винков, 1879년 1월 19일 ~ 1925년 5월 7일)는 러시아의 작가, 혁명가이다. 사회주의혁명당의 투쟁조직의 지도자로서 1904년에서 1905년 사이 러시아 제국 고위 관료 여러 명의 암살을 주도했다.
– 보리스 사빈코프 (Boris Savinkov)
.본명: 보리스 빅토로비치 사빈코프 (Бори́с Ви́кторович Са́винков)
.출생: 1879년 1월 19일,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
.사망: 1925년 5월 7일 (46세), 소련 모스크바 루뱐카 교도소
.국적: 러시아 제국 → 러시아 공화국
.부모:빅토르 미하일로비치 사빈코프, 소피야 알렉산드로브나 사빈코바
.학력: 상트페테르부르크 황립대학교 (법학과),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직업: 정치인, 혁명가, 작가
.소속: 사회주의혁명당, SR 전투조직 (1906-1911)
조국자유수호연합 (1918)
보리스 사빈코프는 러시아 제국, 러시아 공화국의 정치인이자 혁명가이다.
제정 시절에는 사회혁명당 계열 좌익 성향이었지만 제정 몰락 이후 극우의 길을 걸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러시아 공화국 임시정부에서 전쟁차관을 맡았다.
볼셰비키가 쿠데타를 일으키자 1920년 외국으로 망명했다.
1924년 귀국하는 모험을 감행하였으나 체포되어 살해 또는 자살하였다.
○ 생애 및 활동
1879년 1월 19일, 우크라이나의 하르키우에서 태어났다.
사빈코프는 바르샤바에서 어린 시절을 보내고 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에서 수학했으며 그 과정에서 사회주의를 접하고 혁명 활동에 들어서게 된다.
그의 가족은 귀족이었으나, 황실의 압제에 저항하는 진보적 지식인이었다. 사빈코프는 이런 혁명적 기질을 고스란히 물려받았다.
1897년 열여덟 살에 처음 사회주의 활동을 하다가 체포된다.
그 이후 석방과 체포를 반복하던 그는 끝내 감옥에서 탈출하여 제네바에 도착하고, 그곳에서 활동 중인 러시아 혁명가들과 만나게 된다. 이를 계기로 그는 본격적으로 테러에 뛰어든다.
러시아로 돌아온 그는 1904년 재무장관 플레베 암살, 1905년 당시 모스크바 총독이던 세르게이 알렉산드로비치 왕자 암살에 성공한다.
그는 모스크바 총독 암살 사건의 전말을 『테러리스트의 수기』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1906년 이중간첩의 밀고로 수감된 그는 탈옥하여 파리로 망명한다. 파리에서 그는 앞서 언급한 『테러리스트의 수기』를 완성한다.
1909년 ‘롭쉰’이라는 필명으로 『창백한 말』을 출간한다.
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프랑스군에서 종군 기자로 복무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귀국하여 케렌스키 임시정부에서 군사 총지휘관, 국방차관을 역임했지만 정치적 마찰로 인해 중앙위원회에 의해 제명된다.
이후 러시아 내전이 발발하자 백군과 함께 볼셰비키의 권력 독점에 맞서 싸웠다.
혁명에서부터 내전으로 이어지는 이 시기 그의 이야기는 소설 『검은 말』로 1923년 파리에서 출간되었다.
1920년에는 소비에트 정부가 폴란드를 침공하자 바르샤바로 가 폴란드를 위해 싸웠다.
1924년 소련 비밀경찰이 기획한 함정에 빠진 그는 소비에트 러시아로 입국하려다 체포되었고 이듬해인 1925년 5월 7일, 감옥에서 별세한다. 향년 46세
- 저술 활동
1906년 파리에서의 망명생활 중 세르게이 대공 암살에 대해 서술한 ‘테러리스트의 수기’를 완성하였고, 1909년 ‘창백한 말’이라는 소설로 다시 발표했다.
이후 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검은 말’을 저술하였다.
- 대중매체에서
Hearts of Iron IV의 대체역사모드 카이저라이히에선 백군이 승리하며 생존, 사혁당에서 탈당하고 모국자유수호연합 (SZRS)을 창설하여 집권한 상태다. 시작 시점에서 라브르 코르닐로프의 사혁당 당수 빅토르 체르노프를 암살문제를 처리하며, 국민의 분노 혹은 군부의 분노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봉기 혹은 쿠데타로 사망한다. 계속 집권하면 독일을 쳐부순 뒤 최종적으로 전세계의 사회주의 국가들에 전쟁선포할 수 있는데, 온 지구의 빨갱이들을 쓸어버리고 나면 뭘 위해 그 많은 피를 쏟으며 동료들을 잃은 건지, 차라리 독일에게 진 게 나았을거라며 자신이 바란건 이런게 아니었다고 허탈해한다. 경제 공황 속 군비 확장과 팽창정책을 통한 패전국의 부흥을 꿈꾼다는 점과 강경한 극우 파시즘 민족주의/대중주의 정치인이라는 점, 보즈드라는 일인독재 체제 때문에 현실 세계의 아돌프 히틀러, 베니토 무솔리니와도 유사한 포지션이다. 거의 전세계 극우, 심지어 독일에도 사빈코프주의자가 있을 정도로 엄청난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
레드플러드에서는 벨라루스의 좌익 세력을 맡고 있다. 모스크바를 지배하는 콜차크에 대한 복수를 꿈꾸고 있다. 중점 중 극단주의자들을 쓸어버리는 중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통일 이벤트는 분명 성향은 온건하지만 불안한 피아노 소리와 총소리가 들린다.
조선, 혁명의 시대에서는 초반부터 황실 일가족을 암살한 거물 좌익 테러리스트라고 언급되다가 러시아 공화국이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혼란스러운 러시아 공화국을 살리기 위해 강력한 지도자가 필요하다는 것을 숙적 표트르 스톨리핀과 동의하고 화해한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를 러시아의 나폴레옹으로 만들려고 하나 케렌스키 공세의 대실패로 무산. 권력에서 실각하고 실제 역사에서는 좌익 테러리스트였던 과거와 정반대로 볼셰비키를 색출하는 공안 책임자가 된다. 적백내전은 결국 소련의 승리로 끝나지만 역사의 변화로 인해 대한제국이 강대국이 되면서 만들어진 위성국인 극동 공화국에 정착. 아무르 지역에서 인기있는 정치인으로 활동하면서 자신만의 정치체제인 ‘보즈드’를 구상하기도 한다. 역사의 변화로 강력한 지도자를 가진 대한제국을 좋아하며 김좌진이나 박용만 같은 인물과 교류하기도 한다.
○ 저서
1906년 파리에서의 망명생활 중 세르게이 대공 암살에 대해 서술한 ‘테러리스트의 수기’를 완성하였고, 1909년 ‘창백한 말’이라는 소설로 다시 발표했다. 이후 1차 세계 대전과 러시아 내전에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검은 말’을 저술하였다.
- Works
The Pale Horse (novel), 1909 (English edition 1919, online), Russian: Конь бледный (Kon’ blednyj) – published under the pseudonym “V. Ropshin”
What Never Happened: A Novel of The Revolution, 1912 (English edition 1917, online), Russian: То, чего не было (To, chego ne bylo) – published under the pseudonym “V. Ropshin”
Memoirs of a Terrorist, 1917 (English edition 1931), Russian: Воспоминания террориста (Vospominanija terrorista)
On The Path to a “Third” Russia, 1920 (Russian edition 1920), Russian: На пути к “Третьей” России (Na puti k “Tret’yey” Rossii)
The Black Horse (novel), 1924 (Russian edition 1923), Russian: Конь вороной (Kon’ voronoj)
In the prison (novel), 1924 (Russian edition 1924), Russian: В тюрьме: Посмертный рассказ (V t’urme: posmernyi rasskaz)
In France during the war (collection of articles), 1917 (Russian edition 1917), Russian: Во Франции во время войны (Vo Francii vo vremia voiny) – published under the pseudonym “V. Ropshin”
Why I Recognized Soviet Power? (collection of articles ), 1924 (Russian edition 1924), Russian: Почему я признал Советскую власть? (Pochemu ja priynal sovetskuju vlast?)
“Boris Savinkov’s Letter to Felix Dzerzhinsky”, in The Russian Review, Vol. 29, No. 3 (July 1970), pp. 325–327
참고 = 위키백과, 나무위키,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