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이상학 (形而上學, Metaphysics) – 아리스토텔레스를 중심으로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s)으로 번역되는 영어 낱말 “메타피직스(Metaphysics)”는 그리스어의 메타(meta: 뒤)와 푸지카(fusika: 자연학)의 결합으로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유래하였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의에 따르면, 형이상학은 존재의 근본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그리고 라틴어 의 역어로 세계의 궁극적 근거를 연구하는 학문이며, 다른 정의로는, 형이상학은 사회의 근본 체계, 사회 현상, 모든 지식들 또는 인류 대다수에게 그보다 나은 지식일지라도, 그것들의 근원은 변증된 체계가 아니라, 하나의 독립된 개별적 영역이라고 주장하는 철학이념이기도 하다…
또한 아리스토텔레스는 존재의 근본을 연구하는 부문을 “제1철학”이라 하고 동식물 등을 연구하는 부문을 “자연학”이라 했다. 그가 죽은 후 유고(遺稿)를 정리·편집함에 있어 제1철학에 관한 것이 “자연학” 뒤에 놓여 그때부터 메타피지카(metaphysica: 형이상학)라는 말이 쓰이게 되었다.
형이상학에 대한 동서양의 견해는 차이가 있다. 대표적인 차이로는 서양의 경우 인간은 형이상학적 진리들을 직접적인 경험으로 알 수 없다는 견해가 많은 반면, 동양의 경우 형이상학적 진리들을 직접적인 경험으로 알 수 있다는 견해가 많다.
– 서양의 형이상학
서양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형이상학이라는 말은 여러 뜻으로 쓰이고 있다. 볼프는 철학을 표상력(表象力)에 의한 형이상학(이론)과 의욕력에 의한 실천철학(실천)으로 나누었다. 칸트가 형이상학이라 칭하는 것은 주로 볼프를 따르고 있으나 기존의 형이상학적 논의는 독단적이라 해서 배척했고, 경험할 수 없는 것을 논하는 기존의 형이상학과는 다르며 인식론에 기반을 둔 “학문으로서의 형이상학”을 정립하려고 하였다.
헤겔부터는 형이상학이 회복되어 사유(思惟)의 형식이 동시에 실재의 형식이라고 하는 형이상학적 논리가 주장되었다. 하이데거, 야스퍼스도 형이상학을 주장했으나 객체적인 것이 아니라 주체적인 자각존재의 의미이다. 변증법에서는 형이상학이 자기에게 대립하는 것을 고정시켜 생각한다고 주장한다.
– 동양의 형이상학
서양에는 인간은 형이상학적 진리들을 직접적인 경험으로 알 수 없다는 선입견이 있다. 때문에 형이상학적 진리들은 사색 · 추론, 또는 근거 없는 신념또는 신앙에 지나지 않는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2]또한 서양에서는 모든 사상 체계는 서로 간에 대립 또는 모순되어, 하나가 진실이라면 다른 하나는 거짓이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동양에서는 인간은 직접적인 경험에 의해 형이상학적 진리들을 알 수 있다는 관점을 갖는다. 또한 형이상학적 진리들을 알기 위해 사색 · 추론 · 신념 또는 신앙에 의존해야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리고 하나의 형이상학적 진리에 대해 여러 가지의 해석이 있을 수 있는데, 이들 여러 가지 해석은 대립하거나 모순되는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라고 보며 각각의 해석은 다양한 종교적 · 사상적 · 철학적 배경 또는 경향성을 가진 여러 다른 사람들 중 특정 부류의 사람들을 직접적인 경험으로 이끔에 있어 특히 적합하다고 본다.
형이상학 – 아리스토텔레스 / 책세상 / 2009.4.10
실체에 대해 그 원리와 원인을 밝히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대한 책이며, 저자는 책에서 가능한 한 아리스토텔레스가 순수하게 자신의 형이상학을 기술한 부분들만을 발췌하려 하고 있다. 실체가 무엇인지 밝히고 그러한 실체를 질료와 형상으로 분석하는 등 형이상학에 대한 정의와 설명을 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아리스토텔레스 이전 사상가들의 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도 담고 있어 형이상학 이외에도 여러 이론을 보다 폭 넓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1. 아리스토텔레스, 존재를 묻고 답하다
태초부터 인간은 ‘있는 것이란 무엇이며 있는 것을 있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 ‘있는 것의 궁극적 근거는 무엇인가?’와 같이 존재의 맨 처음의 원인과 원리에 대해 질문해왔는데, 이처럼 있음의 본질, 즉 실체를 탐구하는 학문이 형이상학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 본질, 실체가 ‘신’이라고 규정하며 형이상학은 더 이상 철학적 연구의 대상이 아니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러나 철학은 신학 없이도 존재해왔지만, 신학은 중세 시대 이래로 신의 존재 증명을 시도해왔고, 그렇기 때문에 신학은 철학 없이는 불가능하다. 본질 탐구는 신학이 아니라 철학, 특히 형이상학의 과제이기 때문이다.
윤리학, 자연학, 논리학, 정치학, 시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체계적으로 자신의 논리를 세웠으며, 철학사에서 최초로 형이상학을 학문으로 정립한 아리스토텔레스의《형이상학》(발췌 번역)이 책세상문고․고전의세계 71번째 책으로 출간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사유의 정점을 보여주는 이 책에서 “모든 인간은 본성상 알고 싶어 하는 속성을 지닌다”라는 문장을 시작으로 앞선 철학자들의 사유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실체와 운동 개념을 통해 존재를 설명함으로써 형이상학을 독자적인 철학의 영역으로 확립했다. 이 책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체란 자신은 변화, 생성, 소멸하지 않으면서 있는 것들을 있게 해주는 밑바탕이며, 실체가 있는 것들로 만들어지는 과정이 운동임을 밝힌다.
이번 책세상 번역본은 실체와 운동이라는 개념을 통해 존재의 원인과 원리를 체계적으로 구축한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핵심 사유만을 뽑았다. 총 열네 편으로 구성된 아리스토텔레스의《형이상학》에서 이 책에 실린 부분은 맨 처음의 원리와 원인에 관한 이전 철학자들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Α편(1~2장), 실체의 개념을 정립하고 구체적으로 어떤 것들이 실체인지를 살펴본 Ζ편, 형이상학을 이해하는 중요한 한 방법인 운동 개념으로 실체를 탐구한 Η편, 실체를 가능태, 활동태, 완성태의 개념에서 살펴본 Θ편, Α~E편까지의 내용과《자연학》의 내용을 ‘형이상학적 실체’와 관련해서 정리한 Κ편(7~12장), 다른 편들 중 가장 먼저 쓰여 형이상학적 실체에 대한 전반적인 밑그림을 보여주는 Λ편으로, 아리스토텔레스가 순수하게 자신의 형이상학을 기술한 부분들을 실었다. 또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를 가능한 한 그대로 옮기기 위해 의역을 피했고, 중요한 개념의 경우 그리스어를 병기했으며, 한자어를 사용한 기존의 철학 개념들을 ‘기체→밑바탕, 존재→있음, 존재자→있는 것, 범주→틀/틀 지음, 우연적인 것→덧붙여진 것’ 등 순우리말로 바꿔 사용했다.
본질 철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제공함으로써 서양 철학의 토대를 마련했으며 운동 개념을 완성함으로써 능동적인 삶의 지평을 제시한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지금도 우리 스스로 존재의 근원과 삶의 가치를 성찰하게 한다.
2. 최고의 학문, 형이상학
실체(본질)에 관한 학문인 형이상학은 크게 앎(인식)의 본질에 관한 탐구와 있는 것(존재)에 관한 탐구로 나뉘는데, 앞의 것은 플라톤에 의해서 뒤의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서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연구했지만, 그의 ‘존재에 관한 형이상학’에서 ‘실체가 무엇인가’를 탐구의 목적으로 삼으면서 이런 것에 관한 학문이 최고의 학문이라고 생각했다. 즉 지혜로운 학문은 학문 자체, 앎 자체를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다른 목적 때문에 하는 학문보다 더 지혜롭다고 본 것이다. 그리고 이 같은 지혜로운 최고의 학문은 원리들 자체와 원인들 자체, 맨 처음의 원리와 원인들을 알고 이해하는 학문이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이런 맨 처음의 원인으로부터 다른 것들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그에 따르면, 실체란 있는 것들을 있게 하는, 자신은 변화하지 않으며 생겨남도 사라짐도 없는 것, 그러므로 다른 것들에 의해서 일컬어지지 않고 오히려 다른 것들이 이것에 의해서 일컬어지는 것이다. 그는 이러한 실체를 질료와 형상으로 분석하고, 이것들이 어떻게 다양한 개별자들로 만들어지는지를 가능태, 활동태, 완성태에서 변화와 운동 개념으로 통찰한다. 즉 질료와 형상으로부터 구체적인 개별자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변화 혹은 운동이 일어나는데, 가능태에 있는 실체가 운동을 통해 활동태의 있는 것이 된다. 이때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최고의 것, 이것이 궁극적인 제1원인, 즉 운동하지 않으면서 운동하는 것이라는 논리를 구축한다.
3. 기존 철학자들을 넘어서는 실체에 관한 고찰
아리스토텔레스의 존재에 대한 고찰과 논리는 이전 철학자들 이론의 문제를 비판하고 발전시킨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추상화된 이데아만이 참된 세계이며 실체이고 우리가 사는 현실 세계는 거짓된 세계라고 주장하는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자신의 방식으로 발전시킨다. 즉 있는 것은 그 자체와 여기에 덧붙여진 양, 질, 장소, 관계 등에 의해 구성되는데, 있는 것의 근원은 그것 자체, 즉 그것 안에 있는 실체라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실체란 질료와 형상이 결합한 것인데, 자연 철학자들이 내세운 원리를 수용한 것인 질료는 감각적 대상들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이며, 플라톤의 이데아를 말하는 것인 형상은 질료의 목적이 된다. 즉 가능태인 질료는 완전태인 형상, 즉 이데아에 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 목적을 위해 질료가 형상을 이루어나가려 하는 과정이 바로 변화와 운동이라고 설명한다. 이렇게 형이상학을 변화와 운동으로 설명하는 것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특징인데, 이는 앞선 철학자들의 이론이 실체들이 서로 어떻게 관계하는지를 밝히지 못했음을 비판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앞선 철학자들은 생겨남과 사라짐이라는 현상이 실체들의 뭉침이나 흩어짐, 사랑과 싸움, 혼합, 모방이나 참여에 의해 일어난다고 보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는 이러한 견해에는 운동이 빠져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이렇게 그는 각각의 실체들이 운동의 원인에 의해 서로 관계된다고 보았다.
비물질적이며 관념적인 이데아를 실체로 본 플라톤을 넘어, 자연과 감각을 토대로 존재의 근원과 원리를 설명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유는 지금의 서양 철학의 실체를 이루는 것이며, 2,5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점점 물질 만능주의에 빠져드는 우리에게 보다 본질적인 문제에 대해 질문하면서 진정한 가치란 무엇인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 목차
들어가는 말 /김재범
A. 원리와 원인에 관한 앞 철학자들의 이론
1.앎에 관한 탐구(경험, 기술, 학문)
2.지혜와 제1학문
Z. 실체에 대한 탐구
1.실체란 무엇인가
2.실체에 관한 개별 종류들
3.밑바탕으로서 실체
4.무엇임으로서 실체
5.정의의 생겨남
6.무엇임과 개별자는 같은 것인가?
7.생성에 관하여
8.생성:형상에 관하여
9.자발성에 의한 생성
10.부분과 전체의 정의, 이것들의 우선성
11.형상, 질료 그리고 구체적인 것의 부분에 관하여
12.유에서 정의의 통일
13.비실체로서 보편적인 것
14.비실체로서 이데아
15.정의할 수 없는 개별자와 이데아
16.비실체로서 하나와 있는 것
17.실체로서 형상
H. 감각적 지각 대상으로서 실체에 관한 탐구
1.질료로서 실체
2.가능태에서 실체와 활동태에서 실체
3.이름이 표시하는 것
4,질료적인 실체와 영원한 실체의 원인
5.질료와 변화
6.정의가 하나임의 원인
Θ. 가능태에 대한 탐구
1.가능태에 대한 정의
2.이성과 관계한 가능태와 이성과 관계하지 않은 가능태
3.운동과 가능태
4.필연성과 가능태
5.작용과 가능태
6.가능태에서 있는 활동태
7.가능태에서 있는 것
8.개념과 실체에서 가능태보다 앞선 활동태
9.가능태와 활동태
10.있는 것과 있지 않은 것의 참과 거짓
K. 앞 장에 대한 요약
7.자연학, 수학 그리고 신에 관한 학(E 1)
8.덧붙여진 것과 필연적인 것(E 2~4)
9.가능태와 활동태 그리고 운동(자연학Γ 1~3)
10.무한한 것(자연학Γ 4, 5, 7)
11.변화와 운동(자연학 E 1)
12.변화와 운동:질, 양, 장소(자연학 E 1, 3)
Λ. 형이상학적 실체에 관한 탐구
1.실체의 세 종류
2.질료와 변화
3.생겨남에서 질료와 형상
4.사물의 원인, 원리, 기초 요소는 같은 것인가?
5.원인과 원리:같은 것과 다른 것
6.가능태와 활동태에서 운동과 맨 처음의 운동
7.맨 처음 운동하는 것과 신
8.맨 처음 운동하는 것과 장소 운동하는 것들
9.정신-신에 관하여
10.원리로서 선
해제-‘있는 것’의 실체에 관한 탐구 /김재범
1.아리스토텔레스의 삶과 사상
(1)생애
(2)학문-형이상학, 윤리학, 자연학, 논리학, 정치학, 시학
(3)저작과 저술 시기
2.『형이상학』, 맨 처음의 원인과 원리에 대한 탐구
(1)『형이상학』의 세계
(2)『형이상학』에 담긴 사상
3.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영향
4.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현대적 의의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 저자소개 : 아리스토텔레스 (Aristoteles)
기원전 384년에 스타게이로스에서 태어났다. 17세의 나이에 아테네의 최고 교육기관인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 들어가, 그의 정치이론, 형이상학, 인식론 등을 배우고 논의했다. 기원전 343년에는 마케도니아의 왕 필리포스의 아들 알렉산드로스의 개인교사를 맡기도 했다.
<형이상학> <니코마코스 윤리학> <천체론> <자연학> <시학> <범주론> <분석론 전서> <분석론 후서> <동물의 생성에 관하여> <기억에 관하여> 등 방대한 양의 저술을 남겼다.
칼키디키의 동쪽 연안(오늘날 그리스 북부 에게 해 연안)에 있는 스타기로스라는 작은 마을에서 기원전 384년에 태어났다. 기초 교육을 갖춘 지적인 환경에서 양육되어 당대의 학술적 문헌에 정통했고, 플라톤의 저술들을 읽으며 많은 자극을 받았다. 17세 되던 해에 아테네로 가서 플라톤의 아카데미아에 입문해, 당시 사상의 완숙기에 있던 플라톤에게서 특별한 재능을 인정받는다. 아테네에 머무른 20년 동안 그는 정치에는 관여하지 않고 오직 연구와 강의에만 전념한다. 기원전 335년에 다시 아테네로 돌아온 그는 연구를 하며 리케이온에서 강의를 시작한다. 이 시기에 주로 실천 학문인 윤리학과 정치학에 대해 집필하며, 특히 이론 학문에 있어서는 플라톤에게서 완전히 벗어나 자기 철학을 기술하게 되는데, 이때 쓰인 것이《형이상학》 Γ․Ε․Ζ․Η․Θ편이다.《오르가논》,《자연학》,《영혼론》,《니코마코스 윤리학》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연구를 계속하던 그는 어머니의 고향인 에우보이아 섬의 칼키스에서 홀로 지내다가 심한 우울증과 병으로 기원전 322년에 63세의 생을 마감한다.
○ 출판사 서평
《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에 “형태를 넘어선 것을 일컬어 도(道)라고 하고, 형태를 가진 것을 일컬어 기(器)라고 한다(形而上者, 謂之道, 形而下者, 謂之器)”라는 구절이 있다. 우리는 보통 이 구절을 빌어 ‘형이상학’을 자연을 넘어서 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탐구라고 이해한다. 그리고 그런 탐구가 가진 추상적이고 사변적이며 관념적인 성격을 가리켜 ‘형이상학적’이라고 부르면서, 그 말을 난해해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것들에 대한 수식어로 쓰기도 한다.
하지만 ‘형이상학’은 서양 철학의 한 분야를 가리키며, 그 말은 본래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기원전 384~322)의 저술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사람이 생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문제들에 대해 탐구했고 수많은 저술들을 남겼다. 그가 남긴 저술들은 그가 죽은 뒤 그리스 세계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다가 기원전 1세기에 로마에서 편집되기에 이른다. 편집을 맡았던 사람은 로도스 섬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연구하다가 로마로 이주한 안드로니코스(Andronikos)였다. 이 사람은 편집을 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다른 저술들에 대해서는 적절한 이름을 찾아낼 수 있었지만, 한 무리의 글들에 대해서는 그렇게 할 수 없었다. 그는 이 글들을 함께 묶어 편집의 순서에 따라 자연학에 대한 글들 뒤에 두고 ‘자연학에 대한 글들 뒤에 있는 것’, 즉 ‘ta meta ta physika’라고 불렀는데, 바로 이 말이 동양에서는 ‘형이상학’이라는 다소 엉뚱한 말로 옮겨지게 되었다.
‘ta meta ta physika’나 ‘형이상학’이라는 말이 쓰이게 된 경위야 어쨌건,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서양 철학사에서 첫손에 꼽히는 고전 중의 고전이다. 20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이 책은 성서와 더불어 서양의 정신사에 크나 큰 영향력을 미쳤고, 오늘날에도 그 가치는 전혀 줄어들지 않았다. 《형이상학》에서는 동서양을 가릴 것 없이 사람이 가질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물음들, 예컨대 있는 것이란 무엇인가? 우리가 있는 것들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어떤 방식으로 있으며, 그것들의 궁극적인 근거는 무엇인가?와 같은 물음들이 철저하게 다루어진다. 이런 문제들을 다루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수많은 전문 용어들을 가다듬어 냈다. 그는 일상 용어의 뜻을 철학적으로 변용해서 전문 용어로 계발하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전혀 새로운 용어들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우리의 일상 언어에 깊이 뿌리내린 말들, 이를테면 본질, 실체, 원리, 형태, 현실성, 가능성 등은 모두 아리스토텔레스가 그 뜻을 철학적으로 확정한 낱말들이다. 만일 지금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아나서 이런 용어들에 대한 권리를 주장한다면, 우리는 그에게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사용료를 지불해야 할 것이다.
본서《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서양 철학 및 정신사에 크나큰 영향을 미친《형이상학》을 소개하는 안내서이다. 이 책은 《형이상학》의 주요 부분에 대한 번역서이자 그 저술에서 다루어진 근본 문제들을 다루는 연구서이며 서양의 고전을 알기 쉽게 소개하는 교육적인 목적의 저술로서 다양한 관심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서양 철학 최고의 고전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 제대로 소개되지 않았다. 《형이상학》이 본래 이해하기 어려운 책이라는 데도 그 원인이 있겠지만, 더 큰 원인은 아마도 그에 대한 우리말 연구서나 논문도 흔치 않은 데서 찾아야 할 것 같다. 서양 철학을 받아들인 지 한 세기를 바라보는 오늘날도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수용은 아직도 걸음마 단계에 있는 셈이다. 이는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서양 철학 수용과 이해의 깊고 넓은 틈새를 보여주는 한 가지 사례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은 이런 빈자리를 메우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