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루이스 칸의 공간구성 : 투상도로 이해하는 20세기 건축가들
하라구치 히데아키 / 화영사 / 2001.4.10
“공간의 본질은 그것에 봉사하는 부수적인 공간에 의해 정해진다. 창고, 서비스실 등의 작은 방들은 하나의 구조 공간이 분할되며 생기는 영역이 아니라, 그 방들만의 고유한 구조가 주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유테인 커뮤니티센터 바스하우스(1954-1959)
“바스하우스를 완성하고 난 후 나는 영감을 얻기 위해서 다른 건축가의 작품을 볼 필요가 없어졌다.”
-어느 인터뷰에서, 루이스 칸
○ 목차

건축의 본질에 대한 손과 눈 – 서문 …3
머리말 – 20세기의 공간 구성을 해석한다 …7
1. 균질 공간에의 과정
기능과 형태를 1대1로 대응시킬 것인가? 다수와 하나로 대응시킬 것인가? …10
2. 균질 공간
Mies가 최종적으로 도달한 것은 「수평 슬래브의 공간」 …21
3. 균질 공간으로부터의 이탈
균질한 「수평 슬래브 공간」의 분절화 …32
4. 공간 단위의 분리
「수평 슬래브 공간」의 해체로부터 「공간단위 = 구조단위」의 생성으로 …42
5. 공간 단위의 분리
분해한 공간 단위는 중심에 따라 통합해 나간다 …52
6. 단핵 플랜과 복핵 플랜
Wright가 해체한 중심을 칸이 부활한다 …64
7. 구심적 구성과 편심적 구성(1)
구심적인 공간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과 균질한 가운데에 편차를 주는 방법 …74
8. 구심적 구성과 편심적 구성(2)
Aalto는 선형을 귀퉁이에 배치하고. Kahn은 정사각형을 중앙에 배치 하고있다 …86
9. 기능적 배열과 형식적 배열
Corbusier의 톱다운구성과. Kahn의 바텀 업 구성 …96
10. 규칙적 연결과 불규칙적인 중첩
분절시키면서 균질적으로 연결하는 구성과 불규칙적으로 코너를 중첩하는 구성 …106
11. 이중피막 구성
환경을 조절하고. 입면에 깊이를 깊숙하게 만드는 이중피막 …116
12. 유리의 극장과 벽의 극장
「벽 공간」과 「수평 유리 공간」에 크기의 차례대로 포개어 안에 넣을 수 있게 만든 구성 …128
13. 대구조물 공간
Corbusier는 지붕을 매달고. Kahn은 바닥을 매달았다 …138
14. 수직 샤프트를 이용한 구성
네귀퉁이에 코어를 두는 구성은 Wright가 시작하고. Kahn이 전개하였다 …148
15. 지붕을 이용한 공간 구성
프레임 구조가 다시 한번 쓰이게 된다 …158
16. Louis Ⅰ. Kahn의 구성 변천
근대 건축구성 →공간 단위의 분리 →중심에 따른 통합 →구성의 다양화 …168
구성의 힘 – LouisⅠ. Kahn …172
공간구성의 비교분석 …178
맺음말 – 설계 자료의 반려로서 …186
○ 저자소개 : 하라구치 히데아키
1959년 도쿄 출생. 1982년 도쿄대학 건축학과 졸업. 1986년 동 대학 석사과정 수료 현재, 도쿄 가정학원대학 생활디자인학과 교수
– 역자 : 강병근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 법학사,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원 법학석사, 영국 Edinburgh 대학 법학박사, 한국국방연구원(KIDA) 군비통제연구센터 연구원, 한림대학교 법행정학부 교수, 대한국제법학회 부회장, (현) 고려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중이다.
연구서로 「국제중재의 기본문제」, 소화출판사(2000),「ICSID 중재제도 연구」, 법무부(2006), “UNCITRAL 투명성 규칙 초안과 한미 FTA 중재절차의 투명성 규정의 비교 검토”, 「국제경제법연구」 제11권 제1호(2013.3), “국제법적 관점에서 본 일제강제징용 배상판결의 주요쟁점에 관한 연구”, 「저스티스」 통권 제143호(2014.8), “한일청구권협정 제3조의 분쟁해결방식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 논총」 제59권 제4호(2014.12) 등이 있다.
○ 독자의 평

스튜디오 시간마다 교수님이 내게 루이스 칸의 공간 구성을 말씀하시길래 루이스 칸과 르꼬르뷔지에를 카피해갔다. 교수님께서 1950년으로 회귀하고 싶은 것이냐 했다.
설계를 할 때 그 중심이 되어야 하는 것은 스타일이 아니라 본질 : 어떤 공간이 되고자 하는지 : 누구에 의해 : 어떤 장소적 요인에 의해 등등 이다. 그래도 이렇게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된 이 책은 칸의 건축적 이념이 어떤 방식으로 설계되어 나타내지는지 상상하며 읽을 수 있었다.
건축의 본질에 대한 손(도식화)과 눈(여행)
옴베르트 에코 : 건축의 기원은 보호막으로서의 <동굴> 사람에게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서의 <계단> 이 두가지를 대표로 하고 그로부터 이론을 전개
20세기의 공간구성을 이해하다.
19세기 이전의 양식 : 그리스, 로마, 로마네스크, 고딕 등
근대 이후 거장들의 작품은 세부보다도 공간구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본서의 목적 1. 루이스 칸의 작품을 공간구성이라는 시점에서 분석하여 알기 쉽게 시각적으로 표현 2.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미스 반데 로에, 르꼬르비제, 알바알토 등 20세기 거장들의 공간 구성과 칸의 것을 비교함으로 쌍방의 작품의 질을 명확하게 함과 동시에 20세기를 바라보는 역사적 시각을 ..
20세기 전반은 독립주택을 중심으로 공간구성이 진전되었으나 후반은 대규모 건축이 중심이 되었다. 균질 공간까지의 변천을 미스등의 주택에서 이해할 수 있으나 균질 공간 해체과정은 칸의 대규모 건축에서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1. 균질 공간에의 과정 : 기능과 형태를 1대 1로 대응시킬 것인가. 다수와 하나로 대응시킬 것인가?
미스가 설계한 주택은 윤곽에 따라 다음과 같이 4단계로 정리할 수 있다.
1기. 외벽을 이용한 명확한 윤곽 (1907-1921): 리우 저택에서 캠프터 저택
2기. 복잡한 윤곽(1921-1931): 피터먼 저택에서 베를린 건축전에 대한 모텔 주택까지
3기. 코트 주위 벽을 이용한 명확한 윤곽(1931-1935): 코트 하우스에서 푸베 저택 까지의 10건
4기. 수평 슬래브를 이용한 명확한 윤곽(1938-1952): 레저 저택에서 로버트 마코믹 저택까지.
1기는 중심성을 가진 고전적인 조적조 상자형이지만 2기에서는 메스를 안행으로 연결함으로써 외형의 중심성을 무너뜨리고 또한 방을 안행하게 하여 연속시킴으로써 내부 공간의 중심성을 해체하고 있다. 1기에서 2기 까지는 중심성을 해케하기 위해 윤곽이 복잡하게 되어 있고 미스의 작품이 단순하고 순수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3기에서는 코트 주위 벽을 따라 윤곽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프라이버시의 보호가 용이하게 되고, 분리면만으로 구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4기에 들어가면 코트 주위 벽은 사라지고 최소한으로 축소되어 수평 슬래브가 공간을 결정하는 지배적인 요소가 된다.
미스의 공간 구성은 <벽의 공간>의 중심성이 복잡한 조작으로 해체되어 원심성이라고 할 수 있는 성격으로 변용하고, 다시 그 동적인 성질을 역하게 하여 <수평슬래브 공간>의 균질성으로 수렴해 간다는 명쾌한 변화를 더듬어 찾은 것이다.
2. 균질공간 : 미스가 최종적으로 도달한 것은 <수평 슬래브의 공간>
건축에서 (균질)이라는 말에는 다음과 같은 4가지 의미가 있다.
-건축의 집합 방식이 균질하다.(도시 구성의 문제)
-사람들의 거의 같은 신분 계급에 속하고 있는 사회를 가르켜 군질하다고 표현한다(계급구성의 문제)
-많은 도시 혹은 건축이 다른 것과 비교하여 어떠한 개성이나 특징을 갖지 않은 것을 가르켜 균질이라고 표현한다.(동일성, 지역성의 문제)
미스가 이용한 균질공간은 : 두장의 수평 슬래브 사이에 수직 경계면이 모두 투명유리이며 수평슬래브를 내외로부터 분리해 볼 수 있는 (기둥이 없는)공간으로 요약된다.
유럽의 전통건축은 (벽의 건축). 일본 건축이 (바닥의 건축)
벽의 건축의 공간을 벽 공간으로 부르기로 하고 미스가 이용한 수평슬래브 공간과의 대비가 언어상으로 명료해진 것이 된다.
근대 건축에 대한 공간의 성립과 변천은 이 (벽 공간)에서 (수평 슬래브 공간)에 대한 변천 과정이었다라고 할 수 잇는 것이다.
ex) 팬드워스 저택, iit크라운 홀
지상을 유리를 끼우기 위한 대공간으로 하고 있다.
미스의 출발점이 고전적 조적조의 박스형이라면 칸의 것은 근대적인 프레임 구조읭 박스형이었다.
존 플래닝(zone planing): 기능으로 존을 나눔 (기능에 따른 공간 분할)

3. 균질 공간으로부터의 이탈 : 균잘한 (수형 슬래브 공간)의 분절화
예일 아트 갤러리에서의 칸의 새로운 변화 3가지
1. 천장의 정삼각형(정사면체) 그리드와 계단의 우너과 정삼각형 등의 순수 형태를 이용한 공간의 통제
2. 기둥을 이용한 공간의 윤곽 규정, 구조단위 = 공간의 윤곽
3. 배후 공원 쪽의 개방적인 큰 유리면에 대조되는 도로측의 폐쇄적인 벽면
4. 기둥배열에 주목해 보면, 코아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전시실은 각기 다른 기중에 의해 지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앙 코어 부분을 봐도 기둥을 코어 벽에 붙이지 않고 떼어 배치하여 공간 단위를 둘러싼 기둥을 의식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기둥을 이용한 공간 단위가 전시실과 일치하는 것은 아님
(기둥을 이용한 공간 윤곽의 규정, 구조 단위 = 공간의 윤곽)
5. 유태인 커뮤니티 센터에서는 상부에 톱 라이트가 있는 피라이드 모양의 네모난 지붕으로 개개의 공간 단위를 분리하면서 전체를 체계적으로 궁성하고 잇다. 복도와 화장실 등 부공간은 평지붕 부분, 주요한 방은 네모난 지붕 부분으로 하는 방법은 주와 부에 다른 이중 그리드를 기본으로 한 구성이다.
그러나 칸이 잘 사용한 이 방식은 꼬르뷔지에와 미스는 잘 사용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이중그리드의 기둥나누기는 사용하는 것만으로 공간의 균질성이 잠재적으로 허물어져 버렸기 때문이다. 칸은 의식적으로 균질성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향한 것은 아니었을 것이다 .다만, 이중 그리드를 이요한 구성도 건축물 전체에서 보면 체계적인 균질성에 가까운 것이다.
꼬르뷔지에가 균등하게 배치한 기둥을 미스가 장애가 된다고 하여 공간의 끝에 붙인 기둥을 칸은 공간을 분절하는 도구로서 당당히 중앙에 갖다 놓은 것이다. 이렇게 하여 칸은 미스와 꼬르뷔지에의 영향으로 부터 멀어져 가게 된다.
4. 공간 단위의 분리 : (수평 슬래브 공간)의 해체로 부터 (공간단위=구조단위)의 생성으로
칸, 정사각형의 공간 단위가 강하게 인식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ex) 리처드 의학연구소, 피셔 주택, 트리뷴 리뷰 사옥
(T자형 창: 칸이 독특한 창의 모티프)
이중 그리드에 의하여 단순한 시스템으로 정적인 구도이면서 각 공간 단위를 독립시킬 수 있게 된다.
칸이 연구한 공간 단위의 분리
수평 슬래브의 공간-> 기하학 그리드의 적용 -> 공간 단위의 분리와 그 동적 배치 -> 공간 단위의 분리와 그 정적 배치 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 진다.
이렇게 하여 미스가 통합한 균질 공간을 칸이 다시 해체하고, 공간단위 = 구조단위로 까지 분리한 것이다. 이후 칸의 관심은 어떤 방법으로 그 단위를 늘어 놓는가, 또 부분을 어떤 방법으로 전체로 까지 통합해 나가는가 하는 것이었다.
5. 공간 단위의 통합 : 분해한 공간 단위는 중심에 따라 통합해 나간다.
1950년대 전반에 칸은 근대 건축에 대해서 합리적으로 기둥.보를 설치한 공간을 구조적으로 독립된 공간단위로 분해한다. 근 공간 단위는 정사각형 평면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단독으로 분리한 초기에는 앞뒤가 겹치지 않게 비켜 놓고, 각도를 틀어 랜덤하게 배치하는 등 각각의 단위라는 것을 강조하는 그런 배치가 의도적으로 취해져 있다. 그러한 동적인 배치도 선형으로 늘어 놓는 그런 정적인 배치로 이행해 가고 있다. 그리고 공간 단위를 어떤 방법으로 늘어놓는가를 살펴보고 분해한 단위를 어떤 방법으로 통합하여 정리하는가에 칸의 흥미는 더해간다. 그래서 건축물 전체의 중심이 되는 공간의 존재에 따라 각 단위를 통합하는 전체의 중심성이 나타나게 된다. 이제 까지는 개개의 공간 단위에 중심성은 있었으나 그것을 정리할 상위의 중심성은 없었다. 이때에 이르러서 처음으로 칸은 전체의 중심성에 도달한 것이다. 칸의 건축이 고전적인 건축으로부터 강하게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1950년대 후반이 되고부터이며, 출발점을 근대 건축에서 여러가지 경위를 거쳐 그렇게 되었다는 것을 여기서 다시 한번 강조해 두고자 한다.
공간 단위를 통합하는데 칸은 중심을 설정하지만 정확하게는 매스를 이용한 중심이 아니고 공간을 이용한 중심이다. 중심이 되는 그런 중정 주위에 구조적으로 독립한 공간 단위를 배치하고 그들을 통합하는 것이다. 그러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결과적으로 큰 매스가 되는 것은 당연하지만 형태를 이용한 통합이 아니고 공간을 이용한 통합이었다는 점에 주의해두기 바란다.
지배적인 공간에 따라 많은 단위를 통합하고자 한 최초의 예가 클레버 저택이다. 정사각형 단위가 좀더 큰 정방형 공간 주위에 모여져 잇는 것을 알 수 있다.
계층적 중심에 따른 통합 : 예 : 선형중심 -> 중정 중심 등.. 중심의 계층을 둠
이중피막 : 유리면 바깥쪽에 거리를 두고 벽을 세우고 안길이가 있는 즉 깊숙한 입면의 표현을 하고 있음과 동시에 일조 등의 기후 조건을 완화. (마리오 보타에 영향을 줌)
칸의 벽의 공간 : 벽에 따라 강하게 한정된 단위 공간이 중심에 따라 단계적으로 통합되어 가는 공간 구성이다. 1950년대 말 까지는 칸은 프레임 구조를 많이 사용해 왔으나 여기에 와서 벽 구조를 다루게 되었던 것이다.
6. 단핵 플랜과 복핵 플랜 : 라이트가 해체한 중심을 칸이 부활하다.
20세기 전반 건축가들은 중심에 따라 전체가 통합되는 공간 구성을 극단적으로 싫어하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그것은 조적조 시대의 구성원리이므로, 철이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건축에서는 새로운 원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새로운 구법이 반드시 새로운 구성을 만들어 내지는 못한다.
칸의 그것은 마치 상자를 다루듯이 무조작이다… 라이트는 벽을 분절하지만, 칸은 벽을 면으로서 다루고 있다. 라이트는 섬세한 벽을 다룬데 비하여 칸은 조금 난폭하다고까지 생각된다. 칸의 내부공간이 풍부함에 대한 외관의 무표정함은 이 벼긍ㄹ 다룬느데 많이 기인한 것 같이 보인다.
7. 구심적 구성과 편심적 구성(1) : 구심적인 공간을 기본으로 하는 방법과 균질한 가운데에 편차를 주는 방법
칸은 도시 통로의 축과 건물의 축을 일치시키는 것을 항상 피하고 있었다.
이중피막 : 강한 햇살을 피하기 위해서 거리를 두고 그 벽이 솟아 있어 일조를 조절함과 동시에 안길이가 있는 입면 삼각형이나 원형 구명이 뚫린 벽을 이용하여 이중히막이 만들어져 있다. 유리면에서 거리를 두고 그 벽이 솟아 있어 일조를 조절함과 동시에 안길이가 있는 입면, 삼각이나 원의 구멍이 뻥 뚫린 상징적인 입면이 만들어져 있다.
양자를 구성하는 법. 1.구심적인 공간을 중심으로 구성하는 방법 2. 균질한 가운데에 편심을 주는 공간을 삽입하는 방법

8. 구심적 구서과 편심적 구성(2) : 알토는 선형을 귀퉁이에 배치하고 칸은 정사각형을 중앙에 배치하고 있다.
알바알토 : 근대 건축을 풍토에 잘 융합시킨 건축가로서 평가받고 있다. 곡선을 많이쓰고 나무나 벽돌 등의 자연 소재를 사용했다.
1920년대 신고전주의 작품으로부터 건축가 경력을 쌓기 시작. 1930년대 모더니즘 작훔을 만들구 이후 근대 건축 구성으로 이행한다. 1930년대 이후로 그의 공간적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1950-60년대 그의 독자적 공간 구성을 완성시켰다.
알토의 가장 큰 특징은 평면도에 나타나는 물결치는 곡면과 선형 두가지 이다.
초기에 고전주의를 배우고 다시 근대 건축을 출발점으로 하여 독자적인 건축을 만들어낸 알토의 경위는 루이스 칸과 아주 흡사하다.
그러나 알토의 구성은 직육면체의 복합을 기본으로 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형태를 복합화해 가는 것이며, 그 점에서는 근대 건축의 범위 내에 들어간다. 한편, 칸의 구성은 초기 비대칭인 구성이 후에는 대칭이 강한 구심적 구성으로까지 귀착하고 있다.
주연부를 강조하는 것은 근대 건축 특유의 것이며, 건축물 전체를 편심적인 성격으로 만들기 위한 큰 결정적인 방법이 된다.
중앙부를 강조하는 것은 근대 건축이 기피한 구심적인 구성이며, 칸의 형태가 모더니즘이 아니라는 것의 최대 이유가 되고 있다.
9. 기능적 배열과 형식적 배열 : 방 구성을 꼬리뷔지에는 톱 다운(전체에서 부분으로) 칸은 바텀 업(부분에서 전체로)
전체의 윤곽을 맨처음 설정하고 그 다음에 분할하여 방을 만드는 것이 톱 다운, 방을 맨 처음에 설정하고 그 다음에 방을 집합하여 전체를 구성하는 것을 바텀 업이라고 한다.
톱 다운의 주된 수법이 분할이며, 바텀 업의 주된 수법이 연결
칸은 방을 형식적으로 배치하고, 꼬르뷔지에는 기능적으로 배치한다. 그 결과가 정사각형과 직사각형이라는 형의 차이로 나타나고 있다.
(칸: 브린 모어 대학 여자 기숙사 : 방의 집합이라는 바텀업의 발상)
10. 규칙적 연결과 불규칙적인 중첩 : 분절시키면서 규칙적으로 연결하는 구성과 랜덤으로 코너를 중첩하는 구성
미스 반 데어 로에는 고전주의의 중심을 해체하고 원심성을 가진 공간을 만들고 그 원심성을 서서히 역하게 하여 균질성을 가진 (수평 슬래브 공간)을 실현하였다.
칸의 디 보어 저택, 아들러저택, 유태인 커뮤니티 센터, 피셔주택 은 공간 단위를 불규칙하게 배치하여 각가이 단위라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11. 이중피막 구성 : 환경을 조절하고, 입면에 안길이를 깊숙하게 만드는 이중피막
근대 건축에서는 벽은 아주 얇은 것이어야 된다.
근대 건축의 원리인 얇고 존재감이 없는 벽은 건축물 본체에서 자립시켜 떼어 두면 구조와는 관계가 없다는 것을 강조할 수 있다. 게다가 벽에 뚫은 구멍을 통하여 깊숙하게 건축물을 보이게 하면 안길이와 투명감을 연출할 수 있다.
프레임을 이용한 이중피막
한편, 칸의 이중피막은 두꺼운 벽에 따른 것 + 상징적인 형태
12. 유리의 극장과 벽의 극장 : 벽공간과 수평 슬래브 공간에 크기의 차례대로 포개어 안에 넣을 수 있게 만든 구성
극장은 기본적으로는 크기의 차례대로 호개어 안을 넣을 수 있는 구성이다.
안쪽 상자의 벽은 바깥쪽의 소리를 차단하고, 또, 무대에 대한 조명장소를 확보하기 위해 이중벽으로 튼튼하게 만드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모두 극이라는 픽션과 바깥쪽의 현실을 분리하는 공간 구성이라고 해도 된다.
포트웨인 극장 : 설비를 위해서만 구조적으로 독립된 공간을 할당 (칸)
칸은 이 두 종류의 공간을 마스터 스페이스와 서벤트 스페이스를 독립시키는 것을 디자인의 테마로 한 것은 근대 건축의 합리주의에 대한 반립도 되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기능을 주인과 하인으로 나누는 수법화된 기계적인 형태 조작에 빠져버릴 우려도 내포하고 있다. 코어에 따라 이어진 정도의 따분한 건축이 그 예일 것이다.

13. 대구조물 공간: 꼬르뷔지에는 지붕을 매달고 칸은 배닥을 매달았다.
대 공간(대회의장, 체육관, 홀)에서는 구조형식을 어떻게 하는 가에 따라 디자인이 크게 바뀌어 간다.
14. 수직 샤프트를 이용한 구성 : 네 귀퉁이에 코어를 두는 구성은 라이트가 시작하고 칸이 전개하였다.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는 주택에서 2개의 기둥이나 매스를 양옆으로 돌출시킨으로써 입면을 구성하는 방법을 자주 사용
15. 지붕을 이용한 공간 구성 : 프레임 구조가 다시한번 쓰이게 된다.
16. 루이스 칸의 구성 변천: 근대건축 구성 -> 공간딘위의 분리 -> 중심에 따른 통합 -> 구성의 다양화
○ 침묵과 빛의 건축가,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1901 ~ 1974)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1901년 2월 20일 ~ 1974년 3월 17일)은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활동한 세계적인 건축가이다. 필라델피아의 여러 회사에서 경력을 쌓은 후 1935년에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였다. 1947년에서 1957년까지는 개인의 작업을 계속하면서 건축 비평가와 예일 건축대학의 건축과 교수직을 담당하였다. 1957년부터 사망 전까지는 아이비리그 중 하나인 펜실베니아 대학 (유펜)의 디자인 대학교수로 건축디자인을 가르쳤다. 유펜에는 그가 디자인한 건축물이 남아있으며, 펜디자인에는 루이스 칸 아카이브 공간이 있다. 루이스 칸 아카이브에는 그의 스케치와 건축모형, 도면 등이 남아있다.
–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본명: 이체레이브 슈무일로프스키 (Itze-Leib Schmuilowsky)
.출생: 1901년 2월 20일, 에스토니아 쿠레사레
.사망: 1974년 3월 17일, 미국 뉴욕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학력: 펜실베니아 대학 (~1924년)
.저서: Louis Kahn: Essential Texts, Louis I. Kahn : silence and light ; [Essay und Hörbuch] 등
.수상: AIA Gold Medal, Twenty-five Year Award, 로열 골드 메달 등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은 미국 필라델피아 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현대 건축가이자 모더니즘 건축 최후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현대 건축을 지배하던 모더니즘 사조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전통 건축에서 모티브를 얻어 창의적인 현대 건축으로 승화시켰다. 말 그대로 전통과 혁신을 실현시킨 몇 안되는 건축가이다. 특히 빛을 잘 이용해서 극적인 장면을 잘 나타내는 건축물을 많이 남겼다.
특이한 점은 인생 후반에 창작열기가 폭발하여 남은 20년 동안 질풍같이 걸작들을 남기다가 죽었다.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이 제정되기 전에 죽었기 때문에 수상자가 되지는 못했지만, 아마도 좀 더 오래 살았다면 프리츠커상을 받는 것은 확실했다고 여겨질만큼 뛰어난 건축가였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