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칸 : 침묵과 빛의 건축가 루이스 칸
(MIMESIS ARTIST)
데이비드 B. 브라운리, 데이비드 G. 드 롱 / 미메시스 / 2010.7.10
– ‘건축가들의 철학자’ 루이스 칸의 정신적 궤적을 좇다
『칸: 침묵과 빛의 건축가 루이스 칸』은 20세기를 대표하는 건축가이자 사상가인 루이스 칸의 드로잉과 문헌을 정리한 책으로, 이상적인 건축을 위해 끊임없이 사색하고 탐구했던 루이스 칸의 사유 과정을 고스란히 담아 그의 철학적 궤적을 좇아간다. 그는 국제주의 양식에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모더니즘의 문을 연 건축가로 평가받으며 로버트 벤투리, 마리오 보타, 안도 다다오 등의 현대 건축가들에게 신선한 영감을 불어넣었다. 이 책은 칸의 드로잉, 설계 도면, 건축 사진 등 도판 자료를 200점 이상 수록했으며, 풍부한 컬러 사진을 통해 칸의 건축이 어떻게 공간과 빛을 재창조해 내는지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칸이 관여한 프로젝트 목록과 주석 및 인덱스를 덧붙여 칸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은 칸의 작품 세계를 집대성해 보여주는 결정파닝라고 할 수 있다. ‘루이스 I. 칸 컬렉션’의 방대한 기록을 5년에 걸쳐 50명의 연구자들이 분석하여 칸 작품 세계의 모든 측면을 조명한다. 또한 시기별로 변화해 가는 그의 건축 철학과 주요 테마를 꼼곰하게 묘사하고, 킴벨 미술관, 소크 생물학 연구소 등 칸 최고의 걸작들은 물론 비교적 덜 알려진 주택과 시공되지 않은 프로젝트들도 다수 수록하였다.
○ 목차

08 머리말 -줄리아 무어 컨버스
09 서문 – 빈센트 스컬리
1. 14 아무도 탐험하지 못했던 공간을 찾아서 – 철학을 정립하다 1901~1951
15 건축가의 모습을 갖추기까지
23 대공황 시기, 모더니스트가 되다
28 전시의 건축이 안겨 준 도전 과제
33 1940년대를 위한 설계
41 단독 주택 건축
47 어떻게 기념비성을 획득할 것인가?
50 예일 대학 강단에 서다
2. 54 공간의 이상적인 형태를 발견하다 – 새로운 건축을 상상하다 1951~1961
55 로마에서 새로움을 목격하다
59 고대의 육중한 매스를 도입하다
66 공간의 구분이 의미하는 것
89 중첩시키고 병치시키기
105 <형태>와 <디자인>
3. 112 교감을 이끌어 내는 공간 – 회합을 위한 건축
116 미크베 이스라엘 시나고그
118 셰르-에-방글라 나가르
134 이슬라마바드 대통령궁, 국회 의사당
138 베스-엘 시나고그, 후르바 시나고그
139 팔라초 데이 콩그레시
4. 144 영감을 불어넣는 공간 – 연구를 위한 건축
147 소크 생물학 연구소
159 브린 마워 대학 기숙사
170 아메다바드 인도 경영 연구소
184 세인트앤드루스 수도원
186 성카타리나 데 리치 도미니크 수녀원
188 메릴랜드 예술 대학
188 라이스 대학 예술 대학
5. 190 <이용 가능성>을 극대화하는 공간 – 복합 건물을 위한 건축
193 포트웨인 미술관
194 레비 기념 놀이터
196 필라델피아 예술 대학
197 브로드웨이 교회와 오피스 빌딩
199 캔자스시티 오피스 빌딩
201 볼티모어 이너 하버 복합 단지
210 코만 하우스
210 포코노 아트 센터
213 필라델피아 200주년 기념 박람회
6. 214 <침묵>과 <빛>이 만나는 지점 – 타인의 업적을 기리는 건축
218 필립 엑서터 아카데미 도서관
224 킴벨 미술관
239 올리베티-언더우드 공장
240 예일 영국 미술 센터
241 드 메닐 미술관
250 600만 유대인 희생자 추모관
253 루스벨트 기념관
255 루이스 칸의 마지막, 그리고 그 후
258 Notes
275 Buildings and Projects 1925~1974
280 Index
287 Illustrations Credits
○ 저자소개 : 데이비드 B. 브라운리, 데이비드 G. 드 롱
– 데이비드 B. 브라운리
저자 데이비드 B. 브라운리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예술사 교수
– 데이비드 G. 드 롱
저자 데이비드 G. 드 롱은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건축학 교수
– 역자 : 김희진
역자 김희진은 성균관대학교에서 불어불문학, 영어영문학을 전공하였으며, 현재 동 대학원 불어불문학과에서 번역 이론을 공부하고 있다. 『천장 위의 오르탕스』, 『폴 세잔』, 『저주받은 왕』(공역),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역사 유적 1001』, 『프리다 칼로』, 『죽기 전에 꼭 알아야 할 세계 역사 1001 Days』 등 프랑스어와 영어로 된 책들을 우리말로 옮겼다. 현재 출판, 기획, 번역 네트워크 ‘사이에’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 출판사 서평
– 20세기를 대표하는 건축 거장 루이스 칸, 그의 건축 세계를 집대성해 보여 주는 결정판
20세기를 대표하는 건축가이자 사상가인 루이스 칸(1901~1974)의 건축 세계를 온전하게 보여 주는 서적이 미메시스에서 출간되었다. 이 책은 루이스 칸의 사상을 집대성해 보여 주는 결정판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그의 건축 작품과 주요 테마는 물론 자연인 칸에 대한 흥미로운 기록까지 꼼꼼하게 서술되어 있다.
이 책은 <루이스 I. 칸 컬렉션>의 방대한 기록을 연구하는 데서 시작됐다. 이 기록을 전부 검토하는 데만 무려 5년이 걸렸으며, 이 대규모 검토 작업에는 저자 데이비드 B. 브라운리와 데이비드 G. 드 롱을 포함한 50여 명의 연구자들이 참여했다. 덕분에 칸의 건축 철학이 충실하게 묘사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로 변화해 가는 그의 사상을 다층적으로 복원하기 위해, 소크 생물학 연구소, 킴벨 미술관, 방글라데시 다카의 국회 의사당 등 칸의 대표작들만이 아니라, 비교적 덜 알려진 주택, 심지어 시공되지 않은 프로젝트들도 비슷한, 혹은 더 큰 비중으로 소개하고 있다. 더불어 도판 자료를 200점 이상 풍부하게 수록해, 그의 건축이 어떻게 공간과 빛을 창조해 내는지 시각적으로도 잘 보여 준다. 국내에 루이스 칸에 대한 책들이 출간된 적은 있으나 한 권을 제외하고는 현재 전부 품절 상태이며, 그나마도 칸의 대표작에서 벗어나 그의 전체적인 작품 세계를 망라한 책은 이 책이 유일하다. 루이스 칸의 정신적 궤적을 짚어 보고 싶은 독자들에게 이 이상 필요한 책은 아마 없을 것이다.
– 건축의 <궁극적인 본질>에 천착한 건축가, 루이스 칸의 정신적인 궤적을 뒤따르다
루이스 칸은 국제주의 양식에 종지부를 찍고, 새로운 모더니즘의 문을 연 건축가로 평가받는다. 그의 등장으로 인해 미국 건축의 흐름이 바뀌었으며, 독보적인 건축 사상은 로버트 벤투리, 마리오 보타, 안도 다다오 등을 위시한 현대 건축가들에게 신선한 영감을 불어넣었다.
하지만 그가 세상에 명성을 떨치기 시작한 것은 50대에 이르러서였다. 건축가의 길에 들어선 지 30년 만이었으니, 다소 늦은 편이었다. 그런 그에게 사람들은 <그동안 무엇을 하고 있었느냐>고 질문할 때면, 그는 늘 이렇게 대답했다.「공부를 하고 있었습니다.」
사실상 칸은 시대적 조류에서 한 발짝 떨어져, 자신만의 방식을 고집했다. 당시의 건축계는 참신한 스타일, 새로운 건축 기술에 경도되어 있었지만, 그는 그 무렵에 오히려 고대 로마의 원형을 찾아 나섰다. 시대를 초월하여 영원히 존재하는 <건축의 본질>이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그는 자신의 이상을 구현하기 위해 끊임없이 사색하고 탐구했다. 이 책은 그러한 사유 과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으며, 그의 정신적 궤적을 좇는다.
칸은 내가 지금까지 알고 지내 온 사람들 그 누구보다도 가장 지성 넘치는 사람이다. – 건축사가 빈센트 스컬리
그는 <건축가들의 철학자>다. – 조각가 이사무 노구치
루이스 칸의 건축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는 <침묵>과 <빛>이다. 이 또한 <시대 초월적인 본질>을 추구하는 그의 신념과 맞닿아 있는 개념이다. 그의 정의에 따르면, <침묵>은 건축의 이상적이고 본질적인 형태를, <빛>은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에너지를 의미한다. 또한 <침묵>은 (건물의) 존재하고자 하는 의지를 상징하며, <빛>은 (건물의 )표현하고자 하는 의지를 상징한다. 그는 침묵과 빛이 만나는 문턱, 즉 이상과 현실이 서로 긴장 관계를 유지해 가는 과정에서 건축이 탄생된다고 보았다.
“건축은 침묵과 빛이 만나는 문턱에서 만들어진다.”
“내가 생각하기에, 위대한 건물이란 측정할 수 없는 것[침묵]으로 시작하여 디자인의 과정에서 측정 가능한 것[빛]을 거쳐 가야 한다. 그러나 결국에는 측정할 수 없는 것[침묵]이어야 한다.” p.218
– 독자의 이해를 돕는 세심한 부속 자료 : 217점의 도판, 546개의 주석, 550개의 인덱스
루이스 칸에 대한 꼼꼼한 연구서답게, 이 책에는 방대한 부속 자료들이 있다. 우선, 칸의 드로잉, 설계 도면, 건축 사진 등의 도판 자료가 총 217점 수록되었고, 이 중에는 책을 출간하면서 새로 촬영한 컬러 사진들도 풍부하게 포함되었다. 책 말미에는 칸이 관여한 프로젝트를 총망라한 목록이 실려 있는데, 참여 시기, 참여 건축가와 칸의 역할, 건축 여부와 철거 여부, 주소 등의 상세 정보가 정리되어 있다. 또한 방대한 주석 및 인덱스도 덧붙여 독자들이 그의 사상을 온전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 책은『게리- 프랭크 게리가 털어놓는 자신의 건축 세계』(2010.1), 『라이트- 미국 건축의 아버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2010.5)에 이어 출간되는 <미메시스 아티스트> 건축 시리즈의 세 번째 책이며, 이 시리즈의 네 번째 책으로는 <안도 다다오>의 책이 출간될 예정이다.
– 루이스 칸에 대한 다른 건축가들의 찬사
내 첫 번째 작품은 칸에 대한 존경심에서 탄생한 것이다. – 프랭크 O. 게리
칸은 그야말로 예술가였다. 그는 융통성이 없었기 때문에, 그렇게 많은 건축물을 남길 수 없었다. 하지만 그가 만든 서너 개의 작품은 나의 수많은 작품과는 비교할 수 없다. – I. M 페이
칸은 단순히 건축 작품의 형태를 통해서가 아니라, 그가 그렇게 아름답게 언급한 원리들을 통해 모든 건축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노먼 라이스
루이스 칸은 우리 시대에 가장 사랑받는 건축가였다. – 필립 존슨
– 루이스 칸은 누구인가?

1901년 러시아령인 에스토니아의 오셀 섬에서 태어났다. 1906년 5세의 나이에 미국으로 이민을 가, 펜실베이니아에서 성장했다. 어린 시절 얼굴에 큰 화상을 입는 불의의 사고를 겪었으며, 성홍열에 걸려 목소리에도 이상이 생겼다. 이런 신체적 결점 탓에 칸은 수줍음을 많이 타게 되지만, 내성적인 성격도 그의 예술적 재능과 감수성을 감추어 두지는 못했다. 미술에 특출한 재능을 보여 교사들의 권유로 필라델피아의 미술 명문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고, 더불어 음악에도 남다른 소질을 보여 음악 장학금을 주겠다는 제안을 받기도 했다.
그런 그에게 <건축>이라는 운명은 갑작스럽게 다가왔다. 고등학교 시절 우연히 들은 건축사 수업이 그를 사로잡은 것이다.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려던 계획을 접고, 그때부터 평생 건축에 몰두하기 시작했다. 펜실베이니아 대학 건축학과로 진학했고, 졸업 후 바로 유수의 건축 사무소에서 건축 일을 시작했다. 그는 건축의 이상적인 형태가 있음을 믿고, 그 <본질>을 구현하는 데 천착했다. 대표작으로는, 예일 대학 아트 갤러리, 소크 생물학 연구소, 방글라데시 다카의 국회 의사당, 킴벨 미술관, 필립 엑서터 아카데미 도서관 등이 있다. 1970년 미국 건축가 협회 금메달을 수상하고, 1971년 영국 왕립 건축가 협회 금메달을 수상했으며, 미술 예술학회 회원으로 선출된 바 있다.
○ 침묵과 빛의 건축가,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1901 ~ 1974)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1901년 2월 20일 ~ 1974년 3월 17일)은 펜실베니아주 (필라델피아)를 중심으로 활동한 세계적인 건축가이다. 필라델피아의 여러 회사에서 경력을 쌓은 후 1935년에 자신의 회사를 설립하였다. 1947년에서 1957년까지는 개인의 작업을 계속하면서 건축 비평가와 예일 건축대학의 건축과 교수직을 담당하였다. 1957년부터 사망 전까지는 아이비리그 중 하나인 펜실베니아 대학 (유펜)의 디자인 대학교수로 건축디자인을 가르쳤다. 유펜에는 그가 디자인한 건축물이 남아있으며, 펜디자인에는 루이스 칸 아카이브 공간이 있다. 루이스 칸 아카이브에는 그의 스케치와 건축모형, 도면 등이 남아있다.
–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

.본명: 이체레이브 슈무일로프스키 (Itze-Leib Schmuilowsky)
.출생: 1901년 2월 20일, 에스토니아 쿠레사레
.사망: 1974년 3월 17일, 미국 뉴욕 뉴욕 펜실베이니아 역
.학력: 펜실베니아 대학 (~1924년)
.저서: Louis Kahn: Essential Texts, Louis I. Kahn : silence and light ; [Essay und Hörbuch] 등
.수상: AIA Gold Medal, Twenty-five Year Award, 로열 골드 메달 등
루이스 이저도어 칸 (Louis Isadore Kahn)은 미국 필라델피아 등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현대 건축가이자 모더니즘 건축 최후의 거장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현대 건축을 지배하던 모더니즘 사조를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전통 건축에서 모티브를 얻어 창의적인 현대 건축으로 승화시켰다. 말 그대로 전통과 혁신을 실현시킨 몇 안되는 건축가이다. 특히 빛을 잘 이용해서 극적인 장면을 잘 나타내는 건축물을 많이 남겼다.
특이한 점은 인생 후반에 창작열기가 폭발하여 남은 20년 동안 질풍같이 걸작들을 남기다가 죽었다. 건축계의 노벨상인 프리츠커상이 제정되기 전에 죽었기 때문에 수상자가 되지는 못했지만, 아마도 좀 더 오래 살았다면 프리츠커상을 받는 것은 확실했다고 여겨질만큼 뛰어난 건축가였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