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7년 5월 15일, 조선 제4대 국왕 ‘세종 대왕’ (世宗 大王, 1397 ~ 1450) 출생
세종 (世宗, 1397년 5월 15일 ~ 1450년 3월 30일)은 조선의 제4대 국왕 (재위 : 1418년 9월 9일 ~ 1450년 3월 30일)이다. 그의 업적에 대한 존경의 의미를 담은 명칭인 세종대왕 (世宗大王)으로 자주 일컬어진다.
조선의 4대 국왕으로, 태종과 원경왕후의 아들이다. 형인 양녕대군이 폐세자되자 세자에 책봉되었으며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 세종 (世宗)
.휘: 이도 (李祹)
.별호: 충녕대군 (忠寧大君)
.묘호: 세종 (世宗)
.시호: 장헌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 (莊憲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능호: 영릉 (英陵)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왕대리 901-3
.출생: 1397년 5월 15일 (양력), 조선 한성부 준수방
.사망: 1450년 3월 30일 (52세), 조선 한성부 영응대군 사저 동별궁
.부모: 부) 태종, 모) 원경왕후 민씨
.배우자: 소헌왕후 심씨
.자녀: 18남 7녀 (적자녀 8남 2녀)
* 조선의 왕세자
.재위: 1418년 7월 6일 ~ 9월 9일
.전임: 왕세자 제 (양녕대군) / 후임: 왕세자 향 (문종)
* 조선의 제4대 국왕
.재위: 1418년 9월 9일 ~ 1450년 3월 30일
.즉위식: 경복궁 근정전
.전임: 태종 / 후임: 문종

세종은 과학 기술, 예술, 문화, 국방 등 많은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는데, 백성들에게 농사에 관한 책을 펴내었지만 글을 읽지 못해 보지 못하는 모습을 보고,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는 효율적이고 과학적인 문자 체계인 훈민정음 (訓民正音)을 창제하였다. 이것은 20세기 주시경에 의해 한글로 발전되어, 오늘날 대한민국의 공식 문자로서 널리 쓰이고 있다.
과학 기술에도 두루 관심을 기울여 혼천의, 앙부일구, 자격루, 측우기 등의 발명을 전폭적으로 지원했고, 신분을 뛰어넘어 장영실, 최해산 등의 학자들을 적극 후원하였다.
또한 국방에 있어서는 이종무를 파견하여 왜구를 토벌하고 대마도를 정벌하였으며, 이징옥, 최윤덕 등을 북방으로 보내 평안도와 함길도에 출몰하는 여진족을 국경 밖으로 몰아내고 4군 6진을 개척하여 압록강과 두만강 유역으로 국경을 확장하였고, 백성들을 옮겨 살게 하는 사민정책 (徙民政策)을 실시하여 국토의 균형된 발전을 위해서도 노력하였다.
정치면에서는 김종서, 맹사성 등을 등용하여 정무를 주관하였는데 이 통치체제는 일종의 내각 중심 정치제도인 의정부서사제의 효시가 되었다. 이 밖에도 법전과 문물을 정비하였고 전분 6등법과 연분 9등법등의 공법 (貢法)을 제정하여 조세 제도의 확립에도 업적을 남겼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