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5년 5월 15일, 미국 신고전파 경제학자로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 폴 앤서니 새뮤얼슨 (Paul Anthony Samuelson, 1915 ~ 2009) 출생
폴 앤서니 새뮤얼슨 (Paul Anthony Samuelson, 1915년 5월 15일 ~ 2009년 12월 13일)은 미국 신고전파 경제학자로, “현대 경제학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다. 1947년 저서 ‘경제 분석의 기초’에서 다룬 비교 정태 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서술을 비롯 경제학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기여로 알려져 있다. 새뮤얼슨은 1947년에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을 수여했고, 1970년 역사상 두 번째로 수여된 노벨 경제학상을 단독으로 수상했다. 그의 제자 로런스 클라인 (1980년), 조지 애컬로프와 조지프 스티글리츠 (이상 2001년), 폴 크루그먼 (2008년) 등 4명도 노벨상을 수상했다. 1948년에 집필한 ‘경제학’ (Economics)은 19판까지 발간됐고, 가장 인기있는 대학교재 중 하나로 여겨진다.

– 폴 새뮤얼슨 (Paul Samuelson)
.출생: 1915년 5월 15일, 미국 게리 (인디에나 주)
.사망: 2009년 12월 13일 (94세), 미국 벨몬트
.배우자: Risha Eckaus (1981 ~ 2009), 마리온 크로포드 (1938 ~ 1978)
.국적: 미국
.소속: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분야: 거시경제학
.모교: 하버드 대학교, (Ph.D.)
시카고 대학교, (B.A.)
.지도 교수: 조지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영향받음: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조지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고트프리트 하벌리, 앨빈 한센, 에드윈 윌슨, 크누트 빅셀, 에리크 린달
.영향줌: 스탠리 피셔, 로렌스 클라인, 로버트 C.머튼, 로버트 솔로, 에드먼드 펠프스, 폴 크루그먼, 조지프 스티글리츠, 서브라마리안 스와미
.기여: 신 고전학파 종합, 수리 경제학, 경제학 방법론, 현시선호 이론, 국제 무역, 경제성장, 공공재
.수상: 존 베이츠 클라크 메달 (1947), 노벨 경제학상 (1970), 미국 과학 훈장 (1996)
1915년 인디애나 주에서 출생한 새뮤얼슨 교수는 시카고대에서 학사학위를, 하버드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의 많은 과학적 이론들은 젊은 시절부터 세계적 명성과 1970년 미국인 최초 노벨경제학상을 받게 하였다. 케네디 대통령 시절 경제고문으로도 활동한 그는 미 연준, 미 재무성 및 각종기관의 자문위원 역임과 여러 차례 의회 의결 전 검증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로런스 클라인, 조지 애컬로프, 조지프 스티글리츠, 벤 버냉키와 같은 세계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제자들을 배출한 그는, ‘현대경제학의 아버지’로 추앙 받으며 끊임없는 학문 탐구의 길을 걷다 2009년 12월 13일 향년 94세를 일기로 많은 이들의 애도 속에 타계하였다.

○ 생애 및 활동
폴 새뮤얼슨은 1915년 5월 15일 인디애나주의 개리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약사였고, 그는 유대인 가정에서 자랐다 (그들은 예식에 참여하지는 않았다). 1923년 폴은 시카고로 이주했고, 시카고 대학교에서 공부했으며 1935년 학사 학위를 받았다. 그리고 1936년에 하버드 대학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받았고, 1941년에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MIT 교수, 국가자원기획의원으로 일했다.
새뮤얼슨은 조지프 슘페터, 바실리 레온티예프, 코트프리드 하버러, 그리고 “미국의 케인즈”로 불리는 앨빈 한센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다.
그의 많은 과학적 이론들은 젊은 시절부터 세계적 명성과 1970년 미국인 최초 노벨경제학상을 받게 하였다.
케네디 대통령 시절 경제고문으로도 활동한 그는 미 연준, 미 재무성 및 각종기관의 자문위원 역임과 여러 차례 의회 의결 전 검증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로런스 클라인, 조지 애컬로프, 조지프 스티글리츠, 벤 버냉키와 같은 세계경제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제자들을 배출한 그는, ‘현대경제학의 아버지’로 추앙 받으며 끊임없는 학문 탐구의 길을 걷다 2009년 12월 13일 향년 94세를 일기로 많은 이들의 애도 속에 타계하였다.

– 학력
1927 ~ 1931 : 하이드 파크 고등학교 졸업
1931 ~ 1935 : 시카고 대학교 경제학 학사
1935 ~ 1936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석사
1936 ~ 1941 :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 박사
– 직위
1940년 MIT에 조교수로 왔고, 1944년 부교수로 지명되었다.
1944년부터 1945년까지 방사능 연구실에서 직원으로 협력했다.
1945년에는 플레처 법-외교 학교에서 국제 경제 관계학 (파트 타임) 교수였다.
1947년 MIT에서 경제학 교수로 임용, 1962년 MIT 석좌교수가 되었다.
1948년~1949년 기간 동안 구겐하임 특별 회원이었다.
– 회원
미국 예술-과학 아카데미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회원
미국 철학 협회 (American Philosophyical Society)와 영국 학술원 (British Academy) 특별 회원
미국 경제학회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회원 겸 전직 회장 (1961)
계량경제학 협회 (Econometric Society) 편집 위원 겸 전직 회장 (1951)
경제 협회 (Economic Society) 특별회원, 자문위원 겸 전직 부회장
파이 베타 카파 (Phi Beta Kappa Society) 회원

○ 업적
새뮤얼슨은 신고전학파의 미시적 시장균형 이론과 케인스의 거시경제 이론을 접목시켜 ‘신고전파 종합이론’ (Neoclassical Synthesis)이라는 새로운 학문체계를 완성했다.
신고전파 종합이론은 완전 고용을 위해서는 적절한 정부 개입이 필요하지만 (케인스 이론) 일단 완전고용이 달성되면 오직 수요ㆍ공급이라는 시장 메커니즘에 맡겨 경제를 자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 (신고전학파)는 것이다. 그의 이론은 2차대전 이후 30여 년간 경제학계에서 가장 중심적인 이론으로 자리잡았으나 1980년대 이후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하고 신자유주의가 대두하면서 퇴조했다.
그가 신고전파 종합이론을 완성하는 데는 그의 유년시절과 시카고대 생활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자유방임주의로 대표되는 시카고 학파의 본산 시카고대를 나왔음에도 그는 정부의 시장 개입을 강조하는 케인스 이론에 심취했다고 한다. 1차대전과 대공황의 경험 때문이다. 이런 두 가지 배경은 케인스 이론과 자유방임 이론을 결합하는 배경으로 작용했다.
그의 학문적 라이벌은 1976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통화학파의 거두이자 시카고대에서 함께 공부한 밀턴 프리드먼. 블룸버그통신은 “(새뮤얼슨의) 칼럼 연재는 자신의 이론을 대중에게 널리 전파할 생각도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프리드먼이 독무대를 차지하도록 내버려둘 수 없는 이유도 있었다”고 로버트 솔로 교수의 말을 인용해 전했다.
– 관심 분야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의 경제학과 교수로서 새뮤얼슨은 다음을 포함하는 많은 분야에서 연구를 하였다:
.후생 경제학 분야에서 그는 린달-보웬-새뮤얼슨 조건 (어떤 행위가 후생을 증가시켰는지를 결정하는 기준)을 널리 알렸고, 1950년에는 국민 소득 지수가 어느 두 사회적 선택 중 어느 쪽이 다른 쪽의 (달성가능한) 가능 함수밖에 있는지 일관적으로 밝혀내는 데 불충분하다는 것을 보였다.
.재정학 이론에서 그는 공공재와 사적재가 둘 다 있는 상황에서 자원의 최적 분배 결정에 대한 연구로 잘 알려져 있다.
.국제경제학에서, 그는 두 개의 중요한 국제 무역 이론의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하나는 발라사-새뮤얼슨 효과이고 다른 하나는 헥셔-올린 모형 (스톨퍼-새뮤얼슨 정리를 포함)이다.
.거시경제학에서 그는 경제 주체의 다기간에 걸친 행위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겹친 세대 모형을 고안했다.
.소비자이론에서 그는 현시선호 이론을 개척했다. 그것은 최선의 가능한 선택을 식별하는 것이 가능할 때의 방법으로, 소비자의 행위를 관찰하는 것으로 소비자의 효용함수를 정의할 수 있게 하였다.

○ 명언들
– 새뮤얼슨이 남긴 명언 중 ‘경제의 3대 문제’를 기억할 것이다.
“무엇을 얼마나 생산할 것인가?
어떻게 생산할 것인가?
누구를 위해 생산할 것인가?”
우리는 제한된 자원에서 상품의 종류와 양을 현명하게 결정해야 하며, 결정된 상품은 효율성을 고려하여 생산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생산된 상품과 서비스를 형평성을 고려해서 분배해야 할 것이다.
– 새뮤얼슨은 책의 서두에 경제학도들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남겼다.
“사회는 시장이 요구하는 준칙을 사회적 과업의 열정과 결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경제학은 차가운 머리의 지식을 활용하여 뜨거운 가슴을 보완함으로써 사회의 능률과 번영과 공정성을 달성하기 위한 적절한 평형을 찾는데 자기 몫을 할 수 있다.”
– 그는 생전에 “학자는 좌 · 우파 어느 한쪽 이론의 대변자가 아니라 중립주의자 (centralist)여야 한다”고 말하곤 했다. 케네디와 존슨 등 민주당 정부 때 시장 실패를 바로잡기 위한 정부 개입을 지지하면서도 대통령 경제자문위원장 자리를 맡아달라는 거듭된 요청을 한사코 뿌리친 것도 그런 소신 때문이었다. 그는 스스로를 “20세기 후반을 살다간 다양한 경제학자들의 목소리를 한데 모으는 오케스트라 지휘자”로 비유했다. 그는 갔어도 그의 경제 철학은 후배 학자들에게 길이 이어질 것이다.

○ 저서들
새뮤얼슨이 발표한 박사논문은 처음으로 기초경제학을 수학적으로 접근해 화제가 됐다. 이 논문은 ‘경제학 이론의 기초’라는 제목으로 출간됐으며, 오늘날 전 세계 경제학자들이 자신의 이론에 대한 수학적 근거를 찾는 데 자주 이용된다. 현대 경제학이 지나치게 수학적인 모델을 이용하면서 일반인과 멀어진 데는 역설적으로 그의 영향이 컸다는 의견도 있다. 저서 가운데 ‘경제학’은 경제학계에서 역대 최고의 베스트셀러로 꼽힌다. 경제학과 학부생 교재용으로 그가 1948년 저술한 이 책은 40개 언어로 번역됐으며 400만 부가 팔렸다. 새뮤얼슨의 경제이론은 글로벌 경제위기가 진행되는 시대에 더 빛을 발한다.
Samuelson, Paul A. (1947), Enlarged ed. 1983. Foundations of Economic Analysis, Harvard University Press.
Samuelson, Paul A. (1948), Economics: An Introductory Analysis; with William D. Nordhaus (since 1985), 2009, 19th ed., McGraw–Hill.
Samuelson, Paul A. (1952), “Economic Theory and Mathematics – An Appraisal”, American Economic Review, 42(2), pp. 56–66.
Samuelson, Paul A (1954). “The Pure Theory of Public Expenditur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6 (4): 387–89.
Samuelson, Paul A. (1958), Linear Programming and Economic Analysis with Robert Dorfman and Robert M. Solow, McGraw–Hill.
Samuelson, Paul A. (1960). “Efficient paths of capital accumulation in terms of the calculus of variations”. In Arrow, Kenneth J.; Karlin, Samuel; Suppes, Patrick (eds.). Mathematical models in the social sciences, 1959: Proceedings of the first Stanford symposium. Stanford mathematical studies in the social sciences, IV.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pp. 77–88.
Samuelson, Paul A. (1982). “Quesnay’s ‘Tableau Economique’ as a theorist would formulate it today”. In Meek, Ronald (author); Bradley, Ian C.; Howard, Michael C. (eds.). Classical and Marxian political economy: essays in honour of Ronald L. Meek. London: Macmillan. pp. 45–78.
The Collected Scientific Papers of Paul A. Samuelson, MIT Press.
Paul A. Samuelson Papers, 1930s–2010, Rubenstein Library, Duke University.
Samuelson, Paul A. (2007), Inside the Economist’s Mind: Conversations with Eminent Economists with William A. Barnett, Blackwell Publishing.
Samuelson, Paul A. (2002), Paul Samuelson and the Foundations of Modern Economics, Transaction Publishers.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