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8년 6월 18일, 당 고조 (唐高祖) 이연 (李淵)이 당 (唐) 나라를 건국하고 황제 등극
당 (唐) 나라는 수나라와 오대 십국 시대 사이에 존재한 중국의 한 왕조이다. 수도는 현재의 시안인 장안이다.
당 고조 이연 (李淵, 566년 ~ 635년 6월 25일)은 수나라 말기에 권력을 잡아 수나라를 멸망시키고 618년 6월 18일 당(唐)나라 황제에 등극했다.

– 당 고조 (唐高祖)
.휘: 이연 (李淵)
.별호: : 숙덕(叔德)
.연호: 덕 (武德)
.묘호: 고조 (高祖)
.시호: 신요대성대광효황제 (神堯大聖大光孝皇帝)
.능호: 헌릉 (憲陵)
.출생: 북주 천화(天和) 원년 3월 2일 (566년 4월 7일), 북주 장안성
.사망: 정관(貞觀) 9년 5월 6일 (635년 6월 25일), 당 장안성 대안궁
.왕조 당조
.가문 이씨 (李氏)
.부모: 부) 당국공 이병, 모) 독고신의 4녀 독고씨
.배우자: 두의의 딸 태목황후 두씨
*당나라의 태상황
.재위: 626년 9월 4일 ~ 635년 6월 25일
.전임: 신설국 / 후임: 예종(睿宗)
* 당나라의 초대 황제
.재위: 618년 6월 18일 ~ 626년 9월 4일
.즉위식: 무덕(武德) 원년 5월 21일 (618년 6월 18일)
.전임: 수(隋) 공제(恭帝) / 후임: 태종(太宗)
* 당왕
.재위: 617년 12월 20일 ~ 618년 6월 18일
수나라 황제와의 이종사촌이며 이연이 수나라 말기 혼란을 수습하고 장안에서 당나라의 개국을 선포하였다.
또한 조세제도와 토지제도와 군사제도도 정비하였다.(조용조) 이러한 것들이 복합적으로 이뤄져 당나라 시대의 율령 체제가 완성되었다. 태종이 황제였던 시대에 이러한 치세를 두고 정관의 치라고 부른다.
당(唐) 황실은 오호십육국시대 서량의 태조 흥성제의 8세손이 당 고조 이연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당태종이 장안성에 입성한 직후의 노자 사당부터 만들었던 이유가, 노자의 후손과 선비족(어머니)이 결합한 가문의 후손이기 당태종이기 때문이었다. 당나라 황실의 계보를 따지면 농서 이씨인 당 황실의 시조는 춘추전국시대 유명한 사상가 노자이며 이후 전국시대 이신, 한나라의 명장 이광, 이릉 등을 조상으로 두고 있다. 이후 당 황실은 오호십육국시대 서량의 태조 흥성제의 8세손이 당 고조 이연이 된다고 자처했다.

○ 당 (唐) 개관
7세기와 8세기의 기록에 따르면 당시 정부에 등록된 인구 수는 약 5,000만 명으로 추산된다. 이후 중앙 정부가 붕괴되어 인구 수를 제대로 조사하기 어려웠던 9세기에도 인구 수는 8,000만 명 정도로 증가했다고 추산된다. 당나라는 발해, 신라, 베트남,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각국의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당나라는 오랫동안 안정된 정치를 유지했으나, 안사의 난 이후 중앙집권체계가 쇠퇴하기 시작했다. 수나라 때와 마찬가지로, 당나라는 사대부들을 통해 백성들을 다스렸으며, 이들 사대부들은 과거제나 관리들의 추천을 통해 관직에 등용되었다. 9세기에 절도사로 알려진 지역 군 통치자들이 성장하면서 이러한 통치 체계는 흔들리기 시작했다.
중국 도자기 문화가 이 시기에 유명해졌다고 평가받고 있다. 중국의 유명한 시인인 이백과 두보가 당나라 시대에 살았으며, 유명한 화가들인 한간, 장훤, 주방도 당나라 사람이다. 이 시기의 학자들은 다양한 역사책을 출간했으며, 지리서와 백과사전도 많이 출판되었다. 목판 인쇄의 발달과 같은 수많은 기술적 혁신도 당나라 시대 때 일어났다. 당나라 시대에 불교가 중국 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확산되었고, 중국 고유의 불교 종파가 확대되었다. 하지만 당 무종이 폐불을 선언하면서 불교의 영향력은 쇠퇴했다. 9세기에는 왕조와 중앙 정부가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예술과 문화는 계속 융성했다. 또한 9세기에도 여전히 당나라의 상업 활동과 무역은 지속되고 있었다. 그러나 9세기 후반 각지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인해 관료제 전체가 타격을 입었고, 이는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위구르가 당나라의 요청을 받고 안사의 난을 막기 위해 당나라 수도인 장안을 쳐들어가 장안은 불태워지고 많은 당나라 후궁들이 약탈당했다. 안사의 난으로 인해 쇠퇴하기 시작했던 당나라는 황소의 난 (875 ~ 884) 당시 장안과 낙양이 모두 약탈당하면서 큰 피해를 입었다. 당나라는 황소의 난을 진압하는데 성공했지만, 이 과정에서 황소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준 군벌들이 성장했다. 이후 군벌 중 한 명이었던 주전충이 당 애제를 축출하고 907년 스스로 황제가 되어 후량을 건국함으로써 당나라는 멸망했다.

○ 당(唐)나라 역사
– 초기
수나라 황제와의 이종사촌이며 이연이 수나라 말기 혼란을 수습하고 장안에서 당나라의 개국을 선포하였다.
수나란를 멸하고 당나라를 건국하였다. 또한 조세제도와 토지제도와 군사제도도 정비하였다.(조용조) 이러한 것들이 복합적으로 이뤄져 당나라 시대의 율령 체제가 완성되었다. 태종이 황제였던 시대에 이러한 치세를 두고 정관의 치라고 부른다.
당 태종은 즉위할 무렵 돌궐의 도움을 받고 장안에 들어가 당나라를 세우게 된다.이때 고구려의 장군 연개소문은 영류왕을 죽였고, 실권 잡고서 보장왕을 옹립했다. 이 사실을 안 태종은 일단은 고구려와 동맹을 맺어 국력을 강화시키는 데 주력했고 그러는 한편 첩자를 파견해 지리를 파악해 요동 일대에 천리장성을 쌓았다는 정보를 얻는다. 그렇지만 아직까지도 태종은 관심을 두지 않았고 오히려 남쪽으로 베트남의 부족들을 토벌해 교지 지역을 얻었다. 고구려를 상대로 전쟁의 빌미를 잡자 군사를 모아 정벌을 떠난다. 당시의 군사는 보병 7만명, 수병 6만명과 기병 3만명으로 추정한다. 고구려의 요동방어선이 무너지자 연개소문은 15만 구원군을 급파하지만, 보병과 기병으로 구성된 태종의 친정군에게 크게 패하고 3만명이 사로잡혔다. 그러나 태종은 안시성을 점령하지 못하고 시간을 끌게 되자, 겨울이 되어 결국은 철수했다. 이후로도 태종이 고구려에 병력을 파견하기도 하지만 번번히 실패했다.
이후 즉위한 고종은 신라의 요청이란 명분으로 출병해서 660년 백제가 멸망하고, 곧바로 661년 고구려로 향해 평양성을 포위하지만 투르크계 철륵의 반란과 결정적으로 옥저도 행군총관 방효태의 패배와 소정방의 고립 등으로 말미암아 실패했지만, 연남생의 귀순으로 고구려의 내분을 감지하고서 667년 병력을 일으켜 668년 9월 고구려가 멸망한다.
750년에 현종은 카랄루크가 변방을 침공해와 비단길이 끊기자 고구려 출신 장수 고선지(高仙芝)에게 명령하여 석국과의 전쟁을 감행한다. 그러자 석국 왕자가 당나라 군을 몰아내기 위해 압바스 왕조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결국 751년 4만 명의 아랍&투르크 연합군이 오늘날의 키르기스스탄에 있는 탈라스 강에서 고선지의 군대와 맞섰다., 아랍군은 당이 다민족 군대 인걸 이용해 내분을 일으켜 고선지는 대패했다. 이 전투로 겨우 몇 천 명의 당나라 군사만이 살아 돌아갔고, 압바스 왕조가 승리하여 당나라는 현 신깅 지역을 잃고 이슬람의 영향권에 들게 되었다.

– 중기
무측천은 후궁이자 고종의 황후였으나 자신에게 반기를 든 세력들을 처참하게 제거함은 물론 자신의 아들이자 황제인 중종과 예종을 연이어 폐하고 자신이 직접 즉위했다. 그렇지만 그녀가 통치한 시기는 태종의 정관의 치에 버금간다 하여 무주의 치라고 불린다. 무측천은 황제에 오를 당시 국호를 주로 고치고 수도를 낙양으로 옮겼다.
무측천 내란으로 잠시 쇠퇴하였다가 현종 때에 다시 부흥하니 이를 개원의 치라고 한다. 이 시기는 이란의 조로아스터교와 기독교 교회인 경교가 전래될 정도로 국제적이고 개방적인 모습을 띠었다. 현종은 안으로는 민생의 안정을 꾀하고 조운 개량과 둔전 개발 등으로 경제를 충실히 하였으며 부병제의 붕괴에 대처하여 신병제를 정비하였다. 또한 동돌궐, 토번, 거란 등의 이민족의 침공을 막았고, 수년간의 태평성세를 이루었다.
토번, 돌궐 등의 이민족의 당나라를 침공 정복 유린하면서 당나라는 약화된다. 국력이 약화된 당나라는 현종 재위 말기부터 귀족들의 장원토지가 증가하여 각지에서 민란이 일어났다. 755년에는 안사의 난이 일어났는데 이 사건은 중앙 정부의 통치력을 매우 약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후기
결국 당나라는 조세 제도를 양세법, 군사 제도는 모병제로 바꾸었다. 수많은 반란 속에서 절도사 세력이 커지고, 중앙에서는 환관과 외척이 권력다툼을 벌였다. 결국 당나라는 황소의 난을 거쳐 절도사인 주전충에게 멸망하였다.
○ 정치 체계
당 (唐)나라는 3성 6부제를 실시하여, 3성은 중서성 (中書省), 문하성 (門下省), 상서성 (尚書省)으로 나누고, 6부는 이부 (吏部), 호부 (戶部), 예부 (禮部), 병부 (兵部), 형부 (刑部), 공부 (工部)로 나눴다.
율령 체제는 당나라의 행정법으로써 당나라 통치의 기본을 이루었다. 3성 6부로 이뤄진 통치 조직과 지방에 설치한 주, 현 체제로 황제권을 강화하였다. 지방관리는 중앙에서 파견하였다.
토지 제도는 균전제, 조세 제도는 조용조, 군사 제도는 부병제를 실시했다.
당 (唐) 나라는 귀족 중심 사회였고 그들은 과거와 음서라는 제도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다.
당 (唐) 나라 때는 차가 처음으로 재배되어서 해외로 많이 수출됐다. 또한 화북 지방에는 2년 3모작이 가능하게 되어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영토가 넓어짐에 따라 비단길을 통한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상업이 발달하고 양저우 같은 도시들이 크게 성장하였다. 또한 화폐 유통도 활발하게 이루어져 어음인 비전이 사용되었고 행 (行)이라는 상인 조합도 생겼다.
○ 기원
당 (唐) 나라 황실의 생물학적 혈통에 대해선 여러 주장이 있는데 선비화한족설, 한화선비설, 호한혼혈설 등이 있다. 설들의 출처는 진인각 (陳寅恪), 장경 (張競), 요미원 (姚薇元) 등이다. 진인각이나 장경, 요미원 등의 학자는 한족화된 선비족이라는 이 학설을 제기하고 있다. 이미 선비족 왕조는 북위 효문제 이래 적극적인 한화 정책을 펼쳤다. 그 중 하나인 제도가 선비족과 한족의 통혼이었다. 효문제 스스로 최씨, 노씨, 정씨, 왕씨 그리고 롱서 이씨 가문의 여식들을 입궁 시키고 효문제의 여섯 형제들에게도 한족 사대부의 여식을 정부인으로 들이도록 강제했다. 당시 선비족 황족과 한족 사대부의 통혼이 이루어지자 일반 선비인들도 한인과 통혼하는 것이 유행했다. 이때부터 사실상 한족과 선비족의 혼혈과 교류가 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대당 황실 이씨는 선비족화한 한족이며, 선비족과 혼혈인 한족의 혈통으로 봐야 한다.
당 (唐) 왕조 수립의 주체는 북주 시대 6진을 중심으로 형성된 군벌인 8주국 관롱집단이라 불리는 세력으로, 이들은 북주에서 군벌집단으로 활동하며 집안끼리의 통혼을 통해 연척으로 맺어져 있었다. 북주의 우문씨와 수의 양씨, 당의 이씨 모두 당시 실세인 무천진 군벌, 소위 관롱집단 (關隴集團)이라 불렸던 세력에서 나왔다. 당 고조 (이연)의 할아버지 이호는 대야씨 (大野氏, 다얀씨), 수문제 (양견)의 아버지 양충은 북주 때만 해도 보육여 (普六茹)라는 선비족 성명을 하사받았기도 했고 (수 왕조 개창 전후에 다시 개명) 당 고조 이연의 어머니도 관롱집단의 일원인 독고씨에서 나왔다. 진인각은 한족설에 어느정도 동조를 하면서 이당의 선세는 조군 이씨의 몰락한 집안이 아니면 조군 이씨로 모칭한 것이라 보았다. 진인각의 주장은 중국 학계에서 대체로 수용되는 편이다.
이후 당 황실은 오호십육국시대 서량의 태조 흥성제의 8세손이 당 고조 이연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당태종이 장안성에 입성한 직후의 노자 사당부터 만들었던 이유가, 노자의 후손과 선비족 (어머니)이 결합한 가문의 후손이기 당태종이기 때문이었다. 당나라 황실의 계보를 따지면 농서 이씨인 당 황실의 시조는 춘추전국시대 유명한 사상가 노자이며 이후 전국시대 이신, 한나라의 명장 이광, 이릉 등을 조상으로 두고 있다. 이후 당 황실은 오호십육국시대 서량의 태조 흥성제의 8세손이 당 고조 이연이 된다고 자처했다.
오늘날 수당 황실의 혈통이 선비족이라는 점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데는 대개 수당의 황실이 한족이 아니므로 원나라, 청나라와 유사한 이민족 왕조에 불과하다는 식으로 펌하하려는 의도가 있다.
○ 문화
과거 제도에서는 유교에 관련된 서적에 대한 지식을 테스트했다. 그래서 유학과 문학이 크게 발달하였는데 당나라 때에는 훈고학이라는 것이 크게 발달하였다. 이로 인해 사상의 획일화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문학 역시 귀족 중심의 시가 발달하였는데 이백과 두보가 대표적인 시인이다.
종교적으로는 불교가 매우 발전하였고 현장이 지은 대당서역기라는 책은 인도와 동남 아시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당나라 때는 무역이 크게 발달하였기 때문에 조로아스터교, 네스토리우스파 기독교, 마니교 등도 전파되었다. 도교는 황실의 지원을 받았다.
당나라의 문화는 아시아 각국에 영향을 미쳤으며 일본에서도 나라 시대와 헤이안 시대에 견당사를 파견하여 당나라 문물을 수입해갔다.
○ 대외 관계
그 당시 나라 시대였던 일본은 때 당 (唐) 나라와 긴밀하게 통교하고 있었다. 당나라와 교역을 하면서도 항상 견제를 하던 발해는 812년 당나라가 신라와 손을 잡고 발해원정에 나서자 일본과 동맹하여 신라를 적대시 하였다. 따라서 당시 동아시아 정세는 신라와 당나라, 발해와 왜의 이분구도를 이루게 되었다. 일본은 836년에 견신라사 파견을 중단하고 이어서 838년에 견당사 파견을 중단하여 발해와의 관계만을 유지했다.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