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3년 8월 19일, 이탈리아 사회학자 · 경제학자 · 정치학자 · 철학자 빌프레도 파레토 (Vilfredo Federico Damaso Pareto, 1848 ~ 1923) 별세
빌프레도 페데리코 다마조 파레토 (이: Vilfredo Federico Damaso Pareto, 1848년 7월 15일 ~ 1923년 8월 19일)는 이탈리아 출신의 정치학자, 사회학자, 경제학자, 정치학자이자 철학자이다.

– 빌프레도 파레토 (Vilfredo Federico Damaso Pareto)
.출생: 1848년 7월 15일, 프랑스 파리
.사망: 1923년 8월 19일, 스위스 쎌리늬
.국적: 이탈리아
.분야: 신고전파 경제학
.배우자: 잔느 레지스 (1923 ~ 1923), Alexandrina Bakounine (1889 ~ 1923)
.부모: 부) 라파엘레 파레토, 모) Marie Metenier
.영향을 준 인물: 레옹 발라스, 오귀스트 콩트, 허버트 스펜서, 니콜로 마키아벨리 등
경제학에 있어 그의 중요한 기여 중에는 부의 분배에 대한 그의 이론과 개인 차원에서 이뤄지는 선택에 관한 분석이 있다.
또한 사회학에 있어 ‘엘리트’란 개념을 널리 쓰이게 한 당사자이기도 하다.
피셔와 거의 동시기에 무차별곡선을 고안했으며, 효용의 서수주의 (ordinalism)을 통해 한계혁명 이후 해결되지 않은 문제점이었던 주관적 효용이 객관적 가치인 가격으로 이어지 밝히는데 돌파구를 마련했다. 또한 파레토 효율성으로 후생경제학 (welfare economics은 인류 경제활동의 궁극적 목표가 ‘행복추구’라는 전제하에 사회구성원의 소비효용 또는 복리증진을 목표로 하는 경제학의 일부)의 새 지평을 열었다.
사회학자로서 그는 이탈리아 파시즘 (fascism은 이탈리아에서 생겨난 사상으로 국가주의, 전체주의, 권위주의, 국수주의, 반공주의적인 정치 이념이자 국가자본주의, 조합주의 경제 사상)의 탄생에 기여했다고 평가받는다.

○ 생애 및 활동
빌프레도 페데리코 다마조 파레토 (이: Vilfredo Federico Damaso Pareto, 1848년 7월 15일 ~ 1923년 8월 19일)는 이탈리아의 경제학자이자 정치학자이며 사회학자이다. 1848년 7월 15일,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난 파레토는 이탈리아의 토리노공예학교를 졸업한 후 20년 동안 엔지니어와 철도회사 관리자로 일했다. 그 후 그는 왈라스의 새로운 수리경제학 공부를 계승하여 일반균형이론을 재구성하고 1893년부터 스위스 로잔느대학 정치경제학 교수로 재직하며 후생경제학을 개척했다.
정치학자로서 파레토는 엘리트 순환론을 제시하여 권력을 장악한 지배 엘리트와 권력에서 밀려난 비지배 엘리트 사이에서 권력이 교체되는 과정으로 인류 역사를 보았다. 또한 사회학자로서 파레토는 인간은 이성에 따라 합리적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본능과 감성의 지배를 받고, 인간의 내면에 깊숙이 자리 잡은 정서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하며, 인간 행위는 논리적 사고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감성에서 시작되고 이것이 합리적 과정을 거쳐 정당화된다고 보았다.
파레토 법칙 (Pareto principle, law of the vital few, principle of factor sparsity; 또는 80 대 20 법칙, 영: 80–20 rule)은 현대에도 자주 인용된다.
그는 1923년 8월 19일, 스위스 쎌리늬에서 별세했다
저서로는 『경제학 제요 : Manuale d’economia politica』(1906) 및 『일반사회학개론 :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2권, 1916) 등이 있다.
한국어 번역서로는 『파레토의 엘리트 순환론』 (간디서원, 2018)이 있다.

○ 연구관련
그는 이탈리아의 상위 20%의 인구가 80%의 부를 소유한다는 사실을 관찰해 낸 것으로 유명하다. 관련한 그의 선구적 연구결과는 후일 루마니아 태생으로 미국의 엔지니어이자 품질연구가였던 조지프 엠 주란 (Joseph M. Juran)에 의해 파레토 법칙, 파레토 분포라는 이름을 얻게 된다. 또한 이 통계적 법칙은 물리학자이자 과학사학자인 데릭 존 데 솔라 프라이스 (Derek J. de Solla Price)에 의해 프라이스의 법칙 (Price’s Law)으로 발전하기도 했다.
한국어 번역서로는 2018년 말 현재 정헌주가 번역한 『파레토의 엘리트 순환론』(간디서원, 2018)이 유일하다. 역사가 진보하지 않고 반복된다는 사관을 견지한 그는 이 책에서 인류 역사를 소수 엘리트가 다수의 대중을 지배하는 가운데 그저 그 엘리트 계층이 교체되는 틀로 서술하고 있다. 또한 당시 부흥하고 있던 사회주의 운동을 일종의 종교적 정서에 휩싸인, 소수의 사회주의 운동가들 (산업 발달과 함께 노동자층이 증가하는 가운데 새로이 엘리트 층으로 진입하려는 세력)이 견인하는 가운데 다수 노동자 대중이 끌려오는 그러한 현상으로 보아 비판하는 동시에 이에의 부르주아의 무능한 대응 또한 지적한다.
이탈리아 파시즘과 관련하여 그에게 흔히 던져지는 비난에 관하여는 학자들의 여러 입장들이 서로 갈린다.
한 예로 칼 포퍼 (Karl Popper)는 “전체주의 이론가 (theoretician of totalitarianism)”로 그를 비난하나, 레나토 치릴로 (Renato Cirillo)는 이를 두고 포퍼가 당시 반파시스트들 사이에서 흔히들 떠도는 낭설쯤에 불과했던 그러한 표현들을 파레토에게 씌우기 전에 그의 글을 본인이 직접 제대로 읽기나 했었는지 이를 뒷받침할 증거조차 존재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 파레토 법칙 – 80:20
파레토 법칙 (Pareto principle, law of the vital few, principle of factor sparsity) 또는 80 대 20 법칙 (영: 80–20 rule)은 ‘전체 결과의 80%가 전체 원인의 20%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20%의 고객이 백화점 전체 매출의 80%에 해당하는 만큼 쇼핑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이 용어를 사용한다. 2 대 8 법칙라고도 한다.
이 용어를 경영학에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조셉 M. 주란이다. ‘이탈리아 인구의 20%가 이탈리아 전체 부의 80%를 가지고 있다’라고 주장한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의 이름에서 따왔다.
– 80:20의 예들
.통화한 사람 중 20%와의 통화시간이 총 통화시간의 80%를 차지한다.
.즐겨 입는 옷의 80%는 옷장에 걸린 옷의 20%에 불과하다.
.전체 주가상승률의 80%는 상승기간의 20%의 기간에서 발생한다.
.20%의 운전자가 전체 교통위반의 80% 정도를 차지한다.
.20%의 범죄자가 80%의 범죄를 저지른다.
.성과의 80%는 근무시간 중 집중력을 발휘한 20%의 시간에 이뤄진다.
.두뇌의 20%가 문제의 80%를 푼다.
.우수한 20%의 인재가 80%의 문제를 해결한다. 혹은 뇌의 20프로만 사용하여 문제 해결에 필요한 80%를 해결한다.
.운동선수 중 20%가 전체 상금 80%를 싹쓸이한다.
.인터넷 유저의 20%가 80%의 양질의 정보를 생산한다.

○ 저서
저서로는 『경제학 제요 : Manuale d’economia politica』(1906) 및 『일반사회학개론 :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2권, 1916) 등이 있다. 한국어 번역서로는 『파레토의 엘리트 순환론』 (간디서원, 2018)이 있다.
* Major works
Cours d’Économie Politique Professé a l’Université de Lausanne (in French), 1896–97. (Vol. I, Vol. II)
Les Systèmes Socialistes (in French), 1902. (Vol. I, Vol. II)
Manuale di economia politica con una introduzione alla scienza sociale (in Italian), 1906.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 (in Italian), G. Barbéra, Florence, 1916. (Vol. I, Vol. II)
Compendio di sociologia generale (in Italian). Florence: Barbèra. 1920. (Abridgement of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
Fatti e teorie (in Italian), 1920. (Collection of previously published articles with an original epilogue)
Trasformazione della democrazia (in Italian), 1921. (Collection of previously published articles with an original appendix)
– English translations
The Mind and Society, New York: Harcourt, Brace and Company, 1935 (translation of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 (Vol. I, Vol. II, Vol. III, Vol. IV)
Compendium of General Sociology,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0 (abridgement of The Mind and Society; translation of Compendio di sociologia generale).
Sociological Writings, Praeger, 1966 (translations of excerpts from major works).
Manual of Political Economy, Augustus M. Kelley, 1971 (translation of 1927 French edition of Manuale di economia politica con una introduzione alla scienza sociale).
The Transformation of Democracy, Transaction Books, 1984 (translation of Trasformazione della democrazia).
The Rise and Fall of Elites: An Application of Theoretical Sociology, Transaction Publishers, 1991 (translation of essay Un applicazione di teorie sociologiche).
– Articles
“The Parliamentary Régime in Italy,”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 VIII, Ginn & Company, 1893.
“The New Theories of Economics,”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Vol. 5, No. 4, Sep. 1897.
“An Italian View,” The Living Age, November 1922.



참고 = 위키백과, 교보문고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