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년 9월 25일, 미국의 심리학자 유리 브론펜브레너 (Urie Bronfenbrenner, 1917 ~ 2005) 별세
유리 브론펜브레너 (Urie Bronfenbrenner, 1917년 4월 29일 ~ 2005년 9월 25일)는 러시아계 미국인 발달심리학자로서 아동발달의 생태학적 심리이론으로 유명하다.
– 유리 브론펜브레너 (Urie Bronfenbrenner)
.출생: 1917년 4월 29일, 러시아제국 모스크바
.사망: 2005년 9월 25일 (88세), 미국 뉴욕 이타카
국적: 러시아어 – 미국
.배우자: Liese Price (m. ?–2005)
학력: 코넬 대학교, 하버드 대학교, 미시간 대학교
업적: 생태 시스템 이론,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 공동개발
.분야: 발달 심리학
그의 연구와 이론은 아동 발달에 있어서 지대한 환경적 사회적 영향에 주목하게 함으로써 발달 심리학의 관점을 바꾸는 핵심이 되었다.
○ 생애 및 활동
모스크바에서 태어났으며 6세에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로 이주했고 몇 년 후 뉴욕주의 농촌 지역으로 이사갔다. 부친은 병원에서 신경 병리학자로 근무했다.
브론펜브레너는 후에 코넬대학교에서 1938년 심리학과 음악 학사 학위, 1940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 학위, 그리고 1942년 미시간 대학교에서 발달 심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박사 학위 취득 후 군입대를 하여 심리학자로서 복무했다.
전후, 교육 기관에서 임상 심리학자의 조교로 일했다. 이후 2년 간 미시간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일했고 1948년 코넬대학교 조교수로 옮겼다. 코넬대학교에서 그는 아동 발달과 사회적 영향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평생 300편 이상의 연구 논문과 14편의 저서를 남겼다. 당뇨병 합병증으로 2005년 사망했다.
○ 아동발달의 생태학적 심리이론
Urie Bronfenbrenner는 1917년 러시아의 모스코에서 태어났고, 6살때에 미국으로 가게 되었다. 1938년 Cornell University에서 심리학과 음악을 복수 전공하였으며, 그 후 Michigan 대학에서 발달심리학을 전공하였다. 지금은 코넬 대학의 인간발달과 가족학을 연구하는 심리학 교수이다.
– 생태학적 이론 (ecological theory)
생태학적 이론 (ecological theory)은 유전적 요소, 가정의 역사, 사회경제적 수준, 가정 생활의 질, 문화적인 배경과 같은 요인들이 발달과 관련된다고 보고 있으며, 인위적인 실험실 연구가 아닌 실제 삶의 맥락 내에서 행하고 연구하고자 하는 접근을 취한다.
생태학적 접근은 최근 발달심리학의 여러 영역에서 강하게 부각되고 있는 경향이며, 특히 지각발달과 성적 및 사회성 발달 연구에서 중시되고 있다. 아동발달에 대한 생태학적 이론은 환경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는 통합된 유기체로서의 전인적 유아 (whole child)를 생각한다. 생태학적 이론은 2가지 접근으로 나눌 수 있는데, 생물학적 요인에 강조를 두는 동물행동적 접근과 환경에 중점을 주는 생태학적 접근이다. 여기서는 환경에 강조를 두고 있는 생태학적 접근을 살펴본다.
– 브론펜브레너의 생태학적 접근
생태학적 접근의 대표적인 학자인 브론펜브레너 (Uri Bronfenbrenner)는 ‘맥락 속의 발달 (development-in-context)’ 혹은 ‘발달의 생태학 (ecology of development)’을 연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서 생태학(ecology)이란 개인이나 유기체가 경험하고 있는 혹은 개인과 직접․간접으로 연결되어 있는 환경적 상황을 의미한다.
생태학적 접근 (ecological approach)에서는 가족, 지역사회, 문화 등 인간이 몸담고 있는 생태환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구조화하고 이들 환경체계와 개인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을 인간발달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즉, 활동적이며 성장하는 인간이 환경과 어떻게 관계되어 있는지를 이해하는 방법으로 인간 발달의 생태학을 생각하였다. 그는 유아의 발달이 이루어지는 주변 세계와 더 넓은 세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하려고 하였고 유아들의 주변 세계에 대한 해석과 그 해석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브론펜브레너는 그의 저서, 『인간 발달의 생태학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1979)에서 사람과 상황이 상호작용한 방식들을 설명했다. 브론펜브레너의 모델을 가장 잘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그 모델에 대한 그의 은유 (metaphor), 즉 러시아 인형이란 가장 큰 인형 속에 점차 작은 인형들이 차례로 들어 있는 것이다. 상황들도 역시 더 큰 상황 속에 담겨 있다. 미시체계는 중간체계 속에 담겨 있고, 중간체계는 외체계 속에 담겨 있다. 그는 이러한 각각의 상황들 속에서의 역동성과 그 상황들간의 전이 (轉移)에 관심을 가졌다.
브론펜브레너는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생태학적 환경을 가장 가까운 것에서부터 가장 먼것에 이르기까지 네 개의 구조체계로 구분하였다.
.미시체계 (microsystem)
미시체계 (microsystem)는 가정환경이나 학교환경처럼 개인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체계이다. 어머니와 아동의 의사소통, 또래집단에서 인기도 (예를 들면 가정, 학교, 친구간의 관계 등을 말하며) 그에 관한 연구가 그 예이다.
즉 미시체계는 발달하는 아동과 사회사이의 직접적이고 복잡한 관계를 말한다. 특별히 가정, 학교, 또래집단, 이웃, 운동팀, 수련캠프, 교회 등과 같이 일대일로 만나서 직접적으로 친숙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이다. 이 환경에서 상호교류함으로 아동은 자아정체감을 획득한다. 개인이 발달하고 변화하는 것처럼 미시체계의 환경도 매일 매순간 변화한다. 따라서 항상 변화하고 유동하는 존재로 파악된다.
미시체계는 일개인의 일생에 있어서 가장 절실하고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특히 청소년기에 미시체계가 동료집단일 경우 개인의 심리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은 대단하다. 동료집단은 지위, 우정, 인기, 소속감 같은 중요한 심리적 보상을 제공하기도 하고 절도, 흡연, 음주, 약물사용, 성적 행동 등을 부추기는 역기능적인 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제까지 청소년에 대한 거의 모든 연구는 미시체계에 귀속되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브론펜브레너의 정의에 따르면, 미시체계란 “특정한 물리적․물질적 특징들의 주어진 장면에서 발달하고 있는 개인이 시간과 더불어 경험하는 활동들, 역할들, 대인 관계들의 패턴”이다. 물적, 자원적 특성을 지닌 환경 (학교, 집, 또래친구)에서 유아는 활동과 역할 및 대인적 관계의 패턴을 경험한다. 활동이란 사람의 행동이며, 역할이란 사회가 그 개인의 위치에 근거하여 요구하는 행동이다. 그리고, 대인적 관계란 언어, 비언어적으로 사람끼리 서로 반응하는 것을 의미한다. 유아의 발달은 그들의 활동, 역할, 상호 개인적 관계를 어떻게 해석하고 지각하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브론펜브레너는 아동들이 여러 가지 미시체계들 사이에서, 그리고 미시 체계들 속에서 전이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미시 체계들 사이에서의 전이는 집에서 보육 기관으로 가는 아동에 해당될 수 있다. 미시 체계 속에서의 전이는 새 동생이 생겨서 가족 장면에서 새로운 역할을 갖게 되는 아동에 해당될 수 있다.
브론펜브레너는 발달의 정의를 그러한 전이의 설명에 연결시켰다 : 발달적 변화는 둘 이상의 미시체계에서의 행동변화 측면에서 설명되어야 한다. 변화가 발달적 변화로 간주되기 위해서는 아동들이 여러 장소와 시간에 걸쳐 더욱 진보된 태도나 행위를 나타내야 한다.
.중간체계 (mesosystem)
그 다음 수준의 중간체계 (mesosystem)는 미시체계들을 연결시켜주며 미시체계들이 중복되어서 생기는 대인관계를 의미한다. 즉, 아동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두 개 또는 더 많은 수의 환경들간의 상호관계를 말한다. 아동의 경우, 가정과 학교의 관계, 가정과 동료집단과의 관계가 대표적이다. 예를 들면, 가정의 경험이 학교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 또는 또래간의 사회성과 학교성적과의 관련성 여부를 살펴보는 연구 등을 말한다
중간체계는 한 개의 미시체계와 다른 한 개의 미시체계 사이의 연결관계를 말하기 때문에 어떤 하나의 미시체제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은 다른 미시체제에서 일어나는 아동의 행동과 발달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 있다. 따라서 가정, 학교, 동료집단에서 각각 경험한 것들이 아동에게 통합적으로 맥락을 가지면서 경험된다. 그래서 한 개인이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데 그 역할사이에 적절한 조정이나 비율이 발생하고 각각의 미시체계의 구성원들 사이에도 조화와 통일이 발생한다.
미시체계 수준의 분석과 마찬가지로, 중간 체계 분석도 중간체계 속의 여러 가지 다른 장면에서 걸쳐 아동이 전이하는 것을 조사한다. 브론펜브레너와 크루터는 중간체게 분석의 예로서, 아동들이 장기화된 입원체류로 전이되는 것을 조사했다 (Bronfenbrenner & Crouter, 1983). 그 연구에서는 두 집단의 아동들이 조사되었다: 한 집단은 부모 방문이 주당 2시간만 허용되는 상태로 정규 치료를 받았다. 다른 집단의 아동들은 더 빈번하게 부모의 방문을 받을 수 있었다. 후자 집단의 아동들은 4개월간의 입원치료 동안 정서적 고통을 덜 경험했다. 브론펜브레너와 크루터가 강조하는 바는, 친근한 장면에 있던 대상이 아동들을 따라서 낯선 장면으로 온다면, 다른 장면으로의 전이가 아동들에게 덜 상처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론은 다시, 유아원의 경험과 관련해서 유치원에서의 성공적인 적응을 예측하게 하는 것은, 유아원 시절의 또래들이 그 유치원에 함께 다니는 것과 유치원에서 협동 놀이에 참여하는 것이었다.
.외체계 (exosystem)
외체계 (exosystem ; 외부체계)는 개인이 직접적인 관련성은 없으나 개인에게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구조인 환경요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부모의 직업은 그들의 사고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자녀의 양육방식에 영향을 미쳐 마침내 자녀의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외체계(exosystem)는 발달하는 개인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발달의 장은 아니지만 아동의 발달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사건이나 장면을 말하며 그러한 예로는 아동의 경우, 부모의 직장, 손위형제가 다니는 학교, 학급, 이웃의 특징, 학교와 지역사회간의 관계가 속한다.
즉 정치적ㆍ경제적ㆍ사회적 의사결정기구 (예: 교육부, 문화관광부, 법무부, 보건복지부 등 청소년 관련기관 등)와 같이 보다 큰 환경맥락을 일컬어 외체계라고 한다. 개인이 속해 있는 체계도 있지만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체계도 있다. 청소년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체계는 부모의 직장, 부모의 친구집단, 이웃공동체 등이다. 그 이외에도 대중매체, 교육위원회, 지방의회, 지방교통체계, 종교단체, 시민단체, 산업체 등이 외체계에 포함될 수 있다. 비록 청소년은 이러한 외체계의 의사결정과정에 직접적으로 참여하지는 않지만, 외체계 내에서 결정된 사항들은 중간체계와 미시체계를 통해 직접적으로 혹은 간접적으로 청소년의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
외체계 분석의 요점은 부모들과 아동들의 행동이 수많은 비직접적인 변인들에 의해서 영향받는다는 것이다. 직업적 요구, 가족 외의 지원 체계, 또래 집단과 같은 변인들은 모두 아동들과 부모들의 행동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외체계의 또 다른 주요양상은 학교정책이다. 학교 정책은 교실에서 중요시되는 것과 저지되는 것을 결정한다. 유치원 수준에서 예를 들면, 놀이의 역할에 대한 정책이 교사들과 아동들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거시체계 (macrosystem)
거시체계 (macrosystem ; 거대체계)는 개인이 속한 사회나 하위문화의 이념 및 제도의 유형으로 사회문화적 규범과 같은 커다란 체계를 말하며 개인에게 간접적 영향을 준다.
앞서 설명한 세가지 체계를 포섭하는 신념체계 또는 이데올로기라고 할 수 있다. 규칙, 규범, 기대, 가치, 역사 등이 여기에 속한다. 한 사회가 다른 사회가 다른 이유는 바로 이 거시체계가 다르기 때문이다. 여자로서 행동해야하는 방법, 남에게 존경을 표현하는 방법이 각 사회마다 다른 경우가 이에 속한다. 그의 저서 『Two World of Childhood (1970)』에서 나타난 것 처럼, 소련에서 자라난 아동과 미국에서 자라난 아동이 여러 가지 면에서 다르게 행동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따라서, 거시체계는 문화적, 정치적, 사회적, 법률적, 종교적, 경제적, 교육적 가치와 공공정책의 핵심을 구성한다. 개인과 직접적인 관련이 거의 없지만 기장 근본적이고 중대한 변화를 초래한다. 거시체계가 가지는 시대정신이나 풍토는 청소년의 신념과 구체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오늘날 포스트모더니즘은 청소년 세대의 행동준거틀이 되었으며, 성적 매력에 대한 사회전반의 거시체계적 가치는 거식증 , 폭식증과 같은 청소년의 섭식장애를 유발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러한 네 가지 체계는 서로 상호작용을 하며 영향을 미친다.
시간체계는 시간에 걸쳐 일어나는 변화와 사회, 역사적인 환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가족 제도의 변화, 결혼관의 변화, 직업관의 변화 등을 들 수 있다.
그래서 인간은 처음에는 일차적인 양육자를 이해하고 그 다음으로 가정, 학교환경을 이해하며 사회, 문화 등 더 큰 측면들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발달해 간다.
– 교육적 함의
생태학적 관점에서 나타난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별화 교육이다. 생태학적 관점에서 보면, 개개인의 생태학적 관점은 각각 다르다. 때문에 개개인의 학습목표와 내용은 개인의 특성, 소질과 생태학적 특성에 맞취 개별화되어야 한다. 즉, 개인의 소질과 특성, 그리고 생태학적 환경에 따른 개별화된 교수-학습 방법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유아교육의 특징 중의 하나인 개별화교육을 생태학적 관점에서 강조함으로써 교육의 목표가 ‘한 줄 세우기“에서부터 ’여러줄 세우기‘로 전환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즉, 하나의 일관된 목표가 아닌 유아의 흥미와 개인별 특성에 맞는 목표가 세워져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교육의 내용이 ’학생중심‘에서부터 ’학생을 포함한 생태학적 환경으로 확대되어야 하며, 결과적 지식 중심에서 과정적 지식중심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가 교육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강조하였다. 사람들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는 문제들이 일어나면 언제나 교육을 이야기한다. 학교에서의 인성교육과 가정에서의 부모의 무관심 등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곧장 학교를 질책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교육은 학교의 노력만으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 교육은 가정과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서만이 가능하다. 따라서 당연하게도 저자가 말하는 아동과 성인의 관계가 조화롭게 구성되기 위해서는 사회의 세심한 배려가 요구되는 것이다.
인간은 발달과정에서 다양한 환경들과 복잡한 상호작용 과정을 거치며, 발달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환경의 맥락들이 인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하는 발달심리 연구에서의 새로운 노력의 표현이라 할 수 있다.
○ Awards
The James McKeen Catell Award from the American Psychological Society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renamed its “Lifetime Contribution to Developmental Psychology in the Service of Science and Society” as “The Bronfenbrenner Award.”
Chair, 1970 White House Conference on Children
○ 저서
주요 저서로 ‘두 어린 시절의 세계’ (1972), ‘인간 개발에 영향’ (1963), ‘인간 발달의 생태학 : 자연과 디자인에 의한 실험’ (1979) 등이 있다.
– Publications
Two Worlds of Childhood: US and USSR. Simon & Schuster, 1970.
Influencing Human Development. Holt, Rinehart & Winston, 1973.
Influences on Human Development. Holt, Rinehart & Winston, 1975.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The State of Americans: This Generation and the Next. New York: Free Press, 1996.
Making Human Beings Human: Bioecological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Sage, 2005.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