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80년 11월 29일, 오스트리아의 여제 (女帝) ·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여왕 마리아 테레지아 (Maria Theresia, 1717 ~ 1780) 타계
마리아 테레지아 (독: Maria Theresia, 헝: Mária Terézia, 1717년 5월 13일 ~ 1780년 11월 29일)는 합스부르크 군주국의 유일한 여성 통치자이자, 합스부르크 왕가의 마지막 군주였다. 그녀는 오스트리아, 헝가리, 크로아티아, 보헤미아, 만토바, 밀라노, 갈리치아와 로도메리아, 오스트리아령 네덜란드와 파르마 등의 통치자였다. 결혼을 하면서 로렌 공작 부인이 되었으며, 후에 토스카나 대공비, 신성로마황후의 지위를 얻었다.
그녀는 태어나자마자, 1713년 국사조칙에 의해서 합스부르크 왕가의 상속녀로 공표되었으며, 카를 6세는 결국 아들을 낳지 못하고 죽었으므로, 그의 사후 합스부르크 왕가의 수장이 되었으며, 영토들을 물려받았다. 하지만, 카를 6세 사후 프로이센과 바이에른, 프랑스, 작센에서는 그녀의 계승의 반발하였고, 그 결과 오스트리아 계승 전쟁이 발발하게 되지만, 프로이센에 슐레지엔을 내주는 대신 각 국으로부터 그녀의 승인을 인정받는다. 그녀는 후에 슐레지엔을 찾으려고, 7년 전쟁을 일으키지만 실패하고 만다.
그녀는 로트링겐의 프란츠 슈테판과 혼인하였는데, 16명의 자녀를 낳았다. 그녀의 자녀들 중에는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된 요제프 2세와 레오폴트 2세를 비롯하여서, 프랑스의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나폴리의 왕비 마리아 카롤리나, 파르마의 공비 마리아 아말리아 등이 있다. 그녀가 생전에 사용했던 칭호는 Königin (여왕)과 Kaiserin (황후)의 머릿글자를 딴 ‘K.K’이다.

– 마리아 테레지아 (Maria Theresia)
.이름: 마리아 테레지아 발부르가 아말리아 크리스티나 (Maria Theresia Walburga Amalia Christina)
.출생: 1717년 5월 13일, 오스트리아 빈 호프부르크 왕궁
.사망: 1780년 11월 29일, 오스트리아 빈 호프부르크 왕궁
.부모: 카를 6세, 엘리자베트 크리스티네 폰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녀
.배우자: 프란츠 1세 (1736 ~ 1765년)
.자녀: 마리 앙투아네트, 요제프 2세, 레오폴트 2세, 마리아 카롤리나 폰 외스터라이히 등
.저서: An Entity Unto Myself: The Musings of Maria Theresa
.형제자매: Leopold John, Archduke of Austria, 마리아 아나 폰 외스터라이히 여대공 등
○ 직위들
마리아 테레지아는 수 많은 작위를 지녔다. 대표적인 작위는 다음과 같다.
신성로마제국 황후 (프란츠 1세 사후 황태후)
독일의 왕비 (프란츠 1세 사후 태후)
이탈리아의 왕비 (프란츠 1세 사후 태후)
오스트리아 여대공
헝가리 왕(King)
보헤미아 여왕
토스카나 대공비
그녀의 남편이 사망하고 난 후의 정식 호칭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경애하는 어머니 마리아 테레지아, 신의 은총으로, 신성로마제국의 황태후이자 헝가리와 보헤미아, 달마티아, 크로아티아, 슬라보니아, 갈리치아, 로도메리아의 여왕, 독일의 왕태후이자 이탈리아의 왕태후, 오스트리아의 여대공 (Archduchess), 부르고뉴와 슈타이어마르크, 케른텐, 카르니올라 여공작 (Duchess), 트란실바니아의 여대공 (Grand Princess), 모라비아의 변경백, 브라반트와 림부르크, 룩셈부르크, 겔데른, 뷔르템베르크, 상하 슐레지엔, 밀라노, 만투아, 파르마, 피아첸차, 구아스텔라, 아우슈비츠, 자토르 여공작 (Duchess), 슈바벤의 여후작 (Princess), 합스부르크와 플랑드르, 티롤, 헨네가우, 키부르크, 고리치아그라디스카 여백작, 부르가우와 상하 라우시츠의 여변경백, 나무르의 여백작, 웬디쉬마크와 메클린의 여영주, 로트링겐과 바르 공작의 미망인, 투스카나 대공의 미망인

영어: Maria Theresa, by the Grace of God, Dowager Empress of the Romans, Queen of Hungary, of Bohemia, of Dalmatia, of Croatia, of Slavonia, of Galicia, of Lodomeria, etc.; Archduchess of Austria; Duchess of Burgundy, of Styria, of Carinthia and of Carniola; Grand Princess of Transylvania; Margravine of Moravia; Duchess of Brabant, of Limburg, of Luxemburg, of Guelders, of Württemberg, of Upper and Lower Silesia, of Milan, of Mantua, of Parma, of Piacenza, of Guastalla, of Auschwitz and of Zator; Princess of Swabia; Princely Countess of Habsburg, of Flanders, of Tyrol, of Hennegau, of Kyburg, of Gorizia and of Gradisca; Margravine of Burgau, of Upper and Lower Lusatia; Countess of Namur; Lady of the Wendish Mark and of Mechlin; Dowager Duchess of Lorraine and Bar, Dowager Grand Duchess of Tuscany.
독일어: Maria Theresia von Gottes Gnaden Heilige Römische Kaiserinwitwe, Königin zu Ungarn, Böhmen, Dalmatien, Kroatien, Slavonien, Gallizien, Lodomerien, usw., Erzherzogin zu Österreich, Herzogin zu Burgund, zu Steyer, zu Kärnten und zu Crain, Großfürstin zu Siebenbürgen, Markgräfin zu Mähren, Herzogin zu Braband, zu Limburg, zu Luxemburg und zu Geldern, zu Württemberg, zu Ober- und Nieder-Schlesien, zu Milan, zu Mantua, zu Parma, zu Piacenza, zu Guastala, zu Auschwitz und Zator, Fürstin zu Schwaben, gefürstete Gräfin zu Habsburg, zu Flandern, zu Tirol, zu Hennegau, zu Kyburg, zu Görz und zu Gradisca, Markgräfin des Heiligen Römischen Reiches, zu Burgau, zu Ober- und Nieder-Lausitz, Gräfin zu Namur, Frau auf der Windischen Mark und zu Mecheln, Herzoginwitwe zu Lothringen und Baar, Großherzoginwitwe zu Toskana.
○ 자녀
16명의 자녀 중 12명이 성인으로 자랐으나, 마리아 테레지아의 편애로 남매 간의 사이가 좋지 않았고, 결혼 이후 건강이 좋지 않거나, 배우자가 일찍 세상을 뜨거나, 프랑스 혁명에 휘말려 비명에 가거나 나라를 떠나기도 하는 등 불행을 겪기도 했다.
마리아 안나 요제파 안토니아 요한나 (1738~1789)
요제프 베네딕트 아우구스트 요한 안톤 미하엘 아담 (1741~1790)
마리아 크리스티나 요한나 요제파 안토니아 (1742~1798)
마리아 엘리자베트 요제파 요한나 안토니아 (1743~1808)
카를 요제프 에마누엘 요한 네포무크 안톤 프로콥 (1745–1761)
마리아 아말리아 요제파 요한나 안토니아 (1746~1804)
페터 레오폴트 요제프 (1747~1792)
마리아 요제파 가브리엘라 요한나 안토니아 안나
마리아 카롤리나 루이자 요제파 요한나 안토니아 (1752~1814)
페르디난트 카를 안톤 요제프 요한 스타니슬라스 (1754~1806)
마리아 안토니아 요제파 요한나 (1755~1793)
막시밀리앙 프란츠 그자비에 요제프 요한 안톤 (1756~1801)

참고 = 위키백과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