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적소개
모차르트 이야기 : 칼 바르트가 쓴
칼 바르트 / 예솔 / 2006.12.5
‘로마서주해’와 ‘교회교의학’으로 저명한 20세기를 대표하는 신학자 칼 바르트는 모차르트 음악 애호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칼 바르트가 모차르트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며 신문사에 기고한 글과 연설문, 방송 인터뷰 내용을 모은 것이다.
일반 독자들의 이해를 위해 칼 바르트에 대한 소개와 음악 상식에 대한 주석도 담았다.
음악가가 아닌 노 신학자가 모차르트에 대한 애정과 존경의 마음으로 쓴 고백이 모차르트를 새롭게 보게 할 것이다.
책에 언급된 모차르트의 음악을 CD로 감상할 수 있다.
○ 목차
옮긴이의 말
- 모차르트에 관한 고백
- 모차르트에게 보내는 감사의 편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모차르트의 자유
부록1. 초대 손님을 위한 음악
부록2. 칼 바르트에 대하여
옮긴이의 주석
[ CD 목차 ]
01) 피아노5중주 KV 452 내림 마장조 제3악장 Allegretto
02) 교향곡 K 201 <작은 가장조> 제2악장 Andante
03) 오페라 <후궁으로부터의 탈출> 중에서 Nie werd ich deine Huld vergessen
04) <미사 브레비스> K 194 중에서 Agnus Dei
05) 가곡 K 476 <제비꽃>
06)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중에서 Voi Che Sapete Che Cose e Armor
07) 현악4중주 <불협화음> K 465 1악장 Adagio-Allegro
08) 오페라 <피가로의 결혼> 서곡
09) 오페라 <마술피리> 서곡
10) 오페라 <돈 조반니> 서곡
11) 오페라 <코지 판 투테> 서곡
○ 저자소개 : 칼 바르트 (Karl Barth)
20세기의 위대한 신학자 칼 바르트는 스위스의 개혁교회 목사이자 신학자이다.
전지구적 차원에서 진행된 세속화 물결에 흔들리지 않고 예수의 복음과 신앙을 지키려 한 그의 신학을 일컬어 ‘신정통주의’라고 한다.
그의 완고한 신학은 때로는 자유주의 신학자와 마찰을 일으키기도 했으나, 개신교 근본주의와 복음주의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고 평가된다.
그는 스위스 바젤에서 태어나서 독일의 베르린, 튀빙겐, 마르부르그의 대학에서 공부한 후 스위스 자펜빌의 교구목사가 되었다.
거기서 그는 1918년 8월 『로마서 주석』을 완성하였다. 이 저서를 통해 자유주의와 단절하고 새로운 변증법적 신학의 기수가 되었다.
바르트는 이후 나치의 등장으로 1935년 스위스로 가 바젤대학의 신학교수가 되었다.
그는 1962년 3월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 있었다.
1962년 4월 시카고 대학과 프린스턴 신학교의 초청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일련의 강연을 했는데, 그것이 『복음주의 신학 입문』이다.
그의 평생의 역작은 『교회 교의학』이라고 평가된다.
그 외 저서로는 『이해를 추구하는 믿음』, 『로마서 강해』등이 있다.
– 역자 : 문성모
1954년 대전 출생
서울예술고등학교와 서울음대 국악과에서 작곡 전공
장로회신학대학교 신대원(M.Div.)과 대학원(Th.M.)에서 실천신학 공부
독일 뮌스터 대학과 오스나부뤼크 대학에서 예배학과 음아교육학 연구
호남 신학대학교 교수, 광주 제일교회 담임목사, 대전신학대학교 총장 역임
현재 서울장신대학교 총장
○ 출판사 서평
<로마서주해>와 <교회교의학>으로 저명한 20세기를 대표하는 신학자 칼 바르트는 모차르트 음악 애호가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은 칼 바르트가 모차르트 탄생 200주년을 기념하며 신문사에 기고한 글과 연설문, 방송 인터뷰 내용을 모은 것이다. 올해는 모짜르트 애호가와 음악가들에게 있어 매우 특별한 달인 만큼 모짜르트와 관련된 여러 음악회와 다양한 기획 공연이 많이 열리고 있다.
이 책 또한 음악회나 공연이외의 매체를 통해 모짜르트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모짜르트 애호가와 음악인에게 모짜르트에 대한 새로운 경험을 선사할 것이다.
이 책에 수록된 음반을 활용하여 모짜르트에 대한 이해와 감동을 맘껏 누리길 바란다.
크리스천라이프 편집부